KR200159871Y1 - 오토 텐셔너(Auto-Tensioner) - Google Patents

오토 텐셔너(Auto-Tens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9871Y1
KR200159871Y1 KR2019960060054U KR19960060054U KR200159871Y1 KR 200159871 Y1 KR200159871 Y1 KR 200159871Y1 KR 2019960060054 U KR2019960060054 U KR 2019960060054U KR 19960060054 U KR19960060054 U KR 19960060054U KR 200159871 Y1 KR200159871 Y1 KR 2001598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pressure chamber
tension
low pressure
van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00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6898U (ko
Inventor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600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9871Y1/ko
Publication of KR199800468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68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98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98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06Compression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12Fluid pressure
    • F16H2007/0814Fluid pressure with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89Path of movement of the finally actuated member
    • F16H2007/0891Linear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압실과 저압실 및 플런저를 테이퍼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특히 상기 플런저는 외주면으로 다절 베인 플레이트가 형성되도륵 하므로서 스프링력에 의한 플런저와 오일 실의 이탈이 방지되면서 벨트 장력이 클 때에는 대경의 고압실로부터 플런저의 베인 플레이트간으로 다량의 오일이 소경의 저압실로 신속하게 유도되므로서 작동 응답성이 대단히 민감하게 작용되도록 하는 오토 텐셔너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한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바디(1) 내부로 로드(2A)가 일체로 형성되는 플런저(2)와 리턴 스프링(3E)이 내장되도록 하여 벨트의 장력변동시 유압에 의해서 항상 일정한 장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디(1)의 내주면과 플런저(2)의 외주면을 로드(2A)측으로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진 구조로 형성하고, 저압실(5)과 고압실(4)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플런저(2) 외주면으로는 다수개의 돌출 가이드(2C)에 의해 안내되는 베인 플레이트(2D)가 탄지되도록 하여 항시 바디(1)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하는 구조가 특징이다.

Description

오토 텐셔너(Auto-Tensioner)
본 고인은 벨트나 체인의 장력 변화에 대한 자동 응답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오토 텐셔너(Auto-Tensioner)에 대한 것이다.
타이밍 벨트는 크랭크축과 캠측을 연결하여 크랭크축 2회전에 캠축이 1회전하도록 하여 정확한 밸브 타이밍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인바 장시간 구동에 따라 상기 타이밍 벨트가 이완되거나 장력이 강해지게 되면 밸브 타이밍이 어긋나면서 엔진 구동력에 직접적으로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타이밍 벨트의 장력 변화를 방지시키기 위하여 장착하게 되는 것이 오토 텐셔너인바, 상기 오토 텐셔너는 유압을 이용하여 텐셔너 풀리와 결합된 텐셔너 암을 밀어 타이밍 벨트의 장력이 항상 일정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즉 제4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벨트의 장력에 따라 로드(12B)와 플런저(12)가 이동하면서 체크볼(17)을 작동시켜 오일이 리저버실(19)이나 저압실(15)로 유도되도록 하면서 타이밍 벨트의 장력과 리턴 스프링(13) 힘의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벨트 장력이 일정한 상태로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벨트의 장력이 이완되면 리턴 스프링(13)이 플런저(12)를 밀어 저압실(15)의 오일이 플런저(12)에 형성된 오일 홀(12B)을 통해 고압실(14)로 이동하면서 플런저(12)를 저압실(15)측으로 이동시켜 벨트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며, 벨트 장력이 강해지면 저압실(15)의 오일이 플런저(12)와 바디(11) 사이의 간극을 통해 이동하게 되어 플런저(12)를 이동시키므로서 벨트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오토 텐셔너에서의 플런저(12)와 바디(11) 사이 간극은 워낙 좁게 형성되어 오일의 이동성이 좋지 못한바 따라서 벨트의 장력에 따른 오토 텐셔너의 응답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오토 텐셔너틀 장착전 리턴 스프링(13)에 의해서 플런저(12)와 함께 오일 실(16, Seal)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의 플런저(12)와 오일 실(16)을 고정시키는 핀(18)을 별도로 구비해야만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고압실과 저압실 및 플런저를 테이퍼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특히 상기 플런저는 외주면으로 다절 베인 플레이트가 형성되도록 하므로서 스프링력에 의한 플런저와 오일 실의 이탈이 방지되면서 벨트 장력이 클 때에는 대경의 고압실로부터 플런저의 베인 플레이트간으로 다량의 오일이 소경의 저압실로 신속하게 유도되므로서 작동 응답성이 대단히 민감하게 작용되도록 하는 오토 텐셔너를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바디 내부로 로드가 일체로 형성되는 플런저와 리턴 스프링이 내장되도록 하여 벨트의 장력변동시 유압에 의해서 항섕 일정한 장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내주면과 플런저의 외주면을 로드측으로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진 구조로 형성하고, 저압실과 고압실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플런저 외주면으로는 다수개의 돌출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는 베인 플레이트가 탄지되도록 하여 항시 바디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하는 구조가 특징이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 장력이 이완된 상태일때의 플런저 장착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 장력이 강할 때의 플런저 장착 단면도
제4도는 종래의 오토 텐셔너 단면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디 2 : 플런저
2A : 로드 2B : 오일 홀
2C : 가이드 2D : 베인 플레이트
3 : 리턴 스프링 4 : 고압실
5 : 저압실 6 : 오일 실
이를 첨부한 실시예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단면 구조도로서, 도면부호 1은 바디이다.
상기 바디(1)는 내주면이 일측으로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진 구조로 형성되도록 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에는 플런저(2)가 내장되도록 하면서 플런저(2)를 중심으로 리턴 스프링(3)이 탄설되는 고압실(4)로부터 저압실(5)측으로 검차 직경이 작아지도록 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저압실(5)측 단부로는 오일 실(6)이 장착되며, 상기 플런저(2)로부터는 로드(2A)가 일체로 돌설되어 오일 실(6)을 통해 일부가 인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한 플런저(2)는 중심부로 오일 홀(2B)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로드(2A)의 플런저(2)와의 연결단부측 외주면을 통해서 저압실(5)과 연통되도록 하며, 플런저(2)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가이드(2C)를 방사상으로 일체가 되게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2C)간으로는 베인 플레이트(2D)가 삽입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의 베인 플레이트(2D)는 플런저(2)로부터 스프링(2E)으로 탄지되어 바디(1)의 내주면과 항상 밀착되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벨트가 이완되면 제3도에서와 같이 로드(2A)가 인출되면서 플런저(2)는 스프링(3)의 탄력으로 밀려나가게 되고, 저압실(5)내 오일은 중앙의 오일 홀(2B)을 통해 밸브(7)를 열고 고압실(4)로 유입된다.
이때 오일은 직경이 작은 저압실(5)에서 직경이 더 큰 고압실(4)로 유도되면서 대단히 빠르게 이동하게 되므로 벨트 이완에 따른 텐셔너작동이 대단히 민감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벨트 장력이 강해지게 되면 제4도에서와 같이 로드(2A)가 인입되면서 플런저(2)를 밀게 되므로 상기 플런저(2)의 외주에 형성시킨 베인 플레이트(2D)가 바디(1) 내주면을 따라 스프링력에 의해 획장되면서 플런저(2)와 베인 플레이트(2D)간으로 일정 간극(G)을 형성하므로서 상기 간극(G)을 통해 고압실(4)내 오일은 원활하게 저압실(5)로 유도되면서 대단히 신속한 응답성을 나타내게 된다.
한편 상기의 베인 플레이트(2D)는 벨트가 이완되면서 플런저(2)가 직경이 작은 저압실(5)측으로 이동을 하게 될 때 어느 정도 이동하게 되면 플런저(2)와 베인 플레이트(2D)와 바디(1) 내주면이 서로 밀착하게 되므로서 플런저(2)와 베인 플레이트(2D)간 간극(G)을 제로로 형성하면서 더 이상 플런저(2)가 밀려나가지 못하도록 하여 종전과 같은 별도의 핀(18) 삽입이 없이도 안정된 오일 실의 장착성을 유지시킬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벨트의 장력이 이완될 때에는 저압실(5)에서 고압실(4)로 오일이 대단히 빠르게 이동하게 되고, 벨트의 장력이 강해지게 되면 바디(1)와 플런저(2) 즉 더욱 상세하게는 플런저(2)와 베인 플레이트(2D)간 간극(⒥을 통해 고압실(4)에서 저압실(5)로 오일이 신속히 이동하면서 벨트의 장력 변화에 따른 응답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구조 개선으로 벨트의 장력이 변하게 되면서 플런저(2)를 통한 오일의 유동성을 보다 향상시켜 작동 응답성을 향상시키므로서 항상 적절하게 벨트 장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로드(2A)의 인출이 일정정도에서 멈춰지도록 하여 플런저(2)와 오일 실(6)의 과도한 인출을 방지시키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바디(1) 내부로 로드(2A)가 일체로 형성되는 플런저(2)와 리턴 스프링(3E)이 내장되도록 하여 벨트의 장력변동시 유압에 의해서 항상 일정한 장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바디(1)의 내주면과 플런저(2)의 외주면을 로드(2A)측으로 직경이 축소되는 테이퍼진 구조로 형성하고, 저압실(5)과 고압실(4)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플런저(2) 외주면으로는 다수개의 돌출 가이드(2C)에 의해 안내되는 베인 플레이트(2D)가 탄지되도록 하여 항시 바디(1)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오토 텐셔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2)와 베인 플레이트(2D)간으로는 스프링이 탄설되도록 하여 상기 베인 플레이트(2D)가 항상 바디(1) 내주면으로 밀착되어 이동하게 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오토 텐셔너.
KR2019960060054U 1996-12-28 1996-12-28 오토 텐셔너(Auto-Tensioner) KR2001598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0054U KR200159871Y1 (ko) 1996-12-28 1996-12-28 오토 텐셔너(Auto-Tens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0054U KR200159871Y1 (ko) 1996-12-28 1996-12-28 오토 텐셔너(Auto-Tens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898U KR19980046898U (ko) 1998-09-25
KR200159871Y1 true KR200159871Y1 (ko) 1999-11-01

Family

ID=19484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0054U KR200159871Y1 (ko) 1996-12-28 1996-12-28 오토 텐셔너(Auto-Tens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987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898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147551A (ja) カートリッジ型テンショナ
US6244982B1 (en) Hydraulic chain tensioner with a piston having a plurality of sliding elements
JP3703588B2 (ja) 液圧テンショナ
US5370584A (en) Piston design for removing air from a hydraulic tensioner
JPH08285018A (ja) 液圧テンショナ
US10030744B2 (en) Tensioner
KR970027964A (ko) 전동체인의 텐션장치
JPH09119488A (ja) 油圧式テンショナ装置
GB2422415A (en) Hydraulic tensioner having a friction ring
US20040266572A1 (en) Hydraulic tensioner
US10066707B2 (en) Tensioner
US5885179A (en) Hydraulic tensioner with grooved reservoir cover
US20050059517A1 (en) Tensioner for a chain or belt
KR200159871Y1 (ko) 오토 텐셔너(Auto-Tensioner)
KR20180061212A (ko) 체인 구동부용 유압 인장 장치
JP3580424B2 (ja) 油圧式テンショナ
CN110388425B (zh) 张紧装置
JP4072306B2 (ja) 油圧式チェーンテンショナ
KR0141330B1 (ko) 체인 인장 장치
US6656071B1 (en) Chain or belt tensioner
JP4880428B2 (ja) 給油式オートテンショナ
JPH11101318A (ja) チェーンテンショナ
KR101294045B1 (ko) 유압식 체인 텐셔너
US20040214671A1 (en) Check valve for hydraulic chain tensioner
JP7324019B2 (ja) 油圧チェーンテンショ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