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9704Y1 - 오일연소기의 수평기 - Google Patents

오일연소기의 수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9704Y1
KR200159704Y1 KR2019960048562U KR19960048562U KR200159704Y1 KR 200159704 Y1 KR200159704 Y1 KR 200159704Y1 KR 2019960048562 U KR2019960048562 U KR 2019960048562U KR 19960048562 U KR19960048562 U KR 19960048562U KR 200159704 Y1 KR200159704 Y1 KR 2001597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burner
leveler
level
shade
fan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85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5586U (ko
Inventor
윤필모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600485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9704Y1/ko
Publication of KR199800355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5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97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97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99/00Subject-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1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2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a single pendulum plumb lines G01C15/10
    • G01C9/14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a single pendulum plumb lines G01C15/10 movable in more than one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Direct Air Heating By Heater Or Combustion Ga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일연소기의 수평기에 관한 것으로서, 오일연소기의 일면에 형성되어 수평을 잡기 위해 설치되는 수평기에 있어서, 상기 오일연소기의 일면에 고정되게 상단에 걸림턱(2)이 하단에는 걸림구(3)가 형성되는 브라켓트(4)가 형성되고, 이 브라켓트(4)의 상측으로 상면에 확인공(5)이 형성된 갓(6)이 지지핀(7)에 의해 고정되며, 하측에는 상기 갓(6)의 내부 중심부에 위치하게 상부에 표시구(8)가 형성된 탄성재의 축핀(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연소기의 수평기를 제공함으로서, 오일연소기의 일면에 설치되어 수평을 맞추는 데 사용되는 수평기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청각적으로도 확인이 가능한 오일연소기의 수평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일연소기의 수평기.
본 고안은 오일연소기의 수평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오일연소기의 일면에 설치되는 수평기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청각적으로도 확인이 가능한 오일연소기의 수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일연소기에 설치되는 수평기는 연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오일연소기의 일면에 설치되어 오일연소기의 설치시에 제대로 수평이 맞았는지 안맞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오일연소기의 수평기를 본 원에서는 팬히터에 적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은 종래 수평기가 팬히터의 배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사시도와 요부단면도로서, 상부면에는 전방으로 리모콘수신부와 조작표시판이 형성되고, 연료탱크가 삽입되게 일측으로 도어(44)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공기청정 토출구(42)가 형성된 상부판(40)과, 일측면으로 손잡이(37)가 형성되고, 그 하단으로 연소에 필요한 2차공기를 공급하는 2차공기흡입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며, 전면에는 하측으로 온풍을 토출시키도록 루버가 형성된 온풍토출구를 형성시킨 전면판이 형성한다.
한편, 후면에는 일측으로 송풍팬이 설치된 송풍모터(28)가 송풍기안전망(26)에 설치되고, 그 측으로 스포이드(24)와 수평기(22)가 형성되며, 타측으로는 가습장치(31)가 설치되고, 상기 송풍기안전망(26)의 하측에 실온써미스터(25)가 형성되며, 일측 하부에는 전원플러그(21)가 형성되고, 하단으로는 밑판(49)이 설치되며, 상기 팬히터(50)의 리모콘수신부를 통해 팬히터(50)를 조작할 수 있는 리모콘(도시되지않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팬히터(50)의 작동은 상부판(40)의 전방으로 형성된 리모콘수신부에 리모콘이나, 조작표시판의 스위치를 온(ON)시키면, 팬히터(50) 내에 설치된 버너에 연료가 공급됨과 아울러 점화가 이루어지고, 버너의 뒤에 설치되어 있는 송풍모터(28)가 구동되어 송풍팬이 회전하면서 버너의 열기를 내부에 설치된 덕트를 통해 팬히터(50)의 전면판에 형성되어 있는 온풍토출구로 온풍을 토출하여 실내를 난방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작표시판이나 리모콘를 사용하여 공기청정 토출구(42)를 통해 공기를 맑게 할 수 있고, 가습장치(31)를 작동하여 공기가 건조하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팬히터(50)의 수평기(22)는 요부단면도에서와 같이 바닥면에 중심원선(도시되지않음)이 형성되고 이 중심원의 중심에 상측으로 원뿔형 표시구(201)가 지지축(202)에 재치되어 형성되는 투명의 케이스(210)로 형성되어 후면에 부착된다.
이렇게 형성된 수평기(22)는 사용자가 상부에서 육안으로 원뿔형 표시구(201)와 투명의 케이스(210) 바닥면에 형성된 중심원선을 일치하여 수평을 바로 잡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지지축(202)의 제작시 즉, 원뿔형 표시구(201)가 재치되는 부분이 컷팅시에 형성된 리이브로 인해 원뿔형 표시구(201)가 기울어지게 설치되던가 상기 리이브로 인해 원뿔형 표시구(201)가 지지축(202)에 고정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수평기(22)의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오일연소기의 일면에 설치되는 수평기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청각적으로도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오일연소기의 일면에 형성되어 수평을 잡기 위해 설치되는 수평기에 있어서, 상기 오일연소기의 일면에 고정되게 상단에 걸림턱이 하단에는 걸림구가 형성되는 브라켓트가 형성되고, 이 브라켓트의 상측에는 상면으로 확인공이 형성된 갓이 지지핀에 의해 고정되며, 하측으로는 상기 갓의 내부 중심부에 위치하게 상부에 표시구가 형성된 탄성재의 축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팬히터의 배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사시도와 요부 단면도.
도 2는 종래 수평기가 팬히터의 배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사시도와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 : 걸림턱 3 : 걸림구
4 : 브라켓트 5 : 확인공
6 : 갓 7 : 지지핀
8 : 표시구 9 : 축핀
10 : 수평기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에서와 같이 본 고안을 팬히터에 적용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팬히터의 배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사시도와 요부 단면도로서, 상부면에는 전방으로 리모콘수신부와 조작표시판이 형성되고, 연료탱크가 삽입되게 일측으로 도어(44)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공기청정 토출구(42)가 형성된 상부판(40)과, 일측면으로 손잡이(37)가 형성되고, 그 하단으로 연소에 필요한 2차공기를 공급하는 2차공기흡입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며, 전면에는 하측으로 온풍을 토출시키도록 루버가 형성된 온풍토출구를 형성시킨 전면판이 형성한다.
한편, 후면에는 일측으로 송풍팬이 설치된 송풍모터(28)가 송풍기안전망(26)에 설치되고, 그 측으로 스포이드(24)와 수평기(10)가 형성되며, 타측으로는 가습장치(31)가 설치되고, 상기 송풍기안전망(26)의 하측에 실온써미스터(25)가 형성되며, 일측 하부에는 전원플러그(21)가 형성되고, 하단으로는 밑판(49)이 설치되며, 상기 팬히터(50)의 리모콘수신부를 통해 팬히터(50)를 조작할 수 있는 리모콘(도시되지않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에서 수평기(10)는 상기 팬히터(50)의 후면으로 고정되게 상단에 걸림턱(2)이 하단에는 걸림구(3)가 형성된 브라켓트(4)로 고정되고, 이 브라켓트(4)의 상측에는 상면으로 확인공(5)이 형성되어 동재로된 갓(6)이 지지핀(7)에 의해 고정되며, 하측으로는 상기 갓(6)의 내부 중심부에 위치하게 상부에 표시구(8)가 형성된 탄성재의 축핀(9)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 도 1에 의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측에 상면으로 확인공(5)이 형성된 갓(6)을 지지핀(7)으로 고정시키고, 하측에는 상기 갓(6)의 내부 중심부에 위치하게 상부에 표시구(8)가 형성된 탄성재의 축핀(9)으로 고정된 브라켓트(4)를 팬히터(50)의 후면에 고정하되, 이 브라켓트(4)는 상단에 걸림턱(2)이 하단으로는 걸림구(3)가 형성되어 있어 팬히터()의 후면에 원활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가 완료된 수평기(10)의 사용은 사용자가 수평기(10)의 상부에서 갓(6)의 확인공(5)을 통해 갓(6)의 내부 중심부에 탄성재의 축핀(9)으로 설치된 표시구(8)를 확인하여 팬히터(50)의 수평을 바로 잡는 것이다.
이때, 팬히터(50)의 정확한 수평은 갓(6)의 확인공(5) 외주연과 표시구(8)의 외주연 간격이 일정하게 맞았을 때 정확한 수평을 이루게 된다.
상기에서 축핀(9)을 탄성재로 형성시킨 것은 처음에 수평을 잡고자 팬히터(50)를 옮길 때 표시구(8)가 전후좌우로 유동되어 동재로 형성된 갓(6)의 내부를 때리면서 소리를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유동되면서 발생되는 소리는 팬히터(50)가 수평의 위치에 놓이게 되면서 점차적으로 약하게 유동는 축핀(9)으로 인해 표시구(8)가 멈추게 되어 소리를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팬히터(50)가 수평의 위치에 안착되면 다시 육안으로 갓(6)의 확인공(5)을 통해 표시구(8)와 정확한 수평의 위치를 잡아 안정되게 연소를 진행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오일연소기의 일면에 설치되는 수평기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수평기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통해 청각적으로도 오일연소기의 수평 위치를 잡을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오일연소기의 일면에 형성되어 수평을 잡기 위해 설치되는 수평기에 있어서, 상기 오일연소기의 일면에 고정되게 상단에 걸림턱(2)이 하단에는 걸림구(3)가 형성되는 브라켓트(4)가 형성되고, 이 브라켓트(4)의 상측으로 상면에 확인공(5)이 형성된 갓(6)이 지지핀(7)에 의해 고정되며, 하측에는 상기 갓(6)의 내부 중심부에 위치하게 상부에 표시구(8)가 형성된 탄성재의 축핀(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연소기의 수평기.
KR2019960048562U 1996-12-13 1996-12-13 오일연소기의 수평기 KR2001597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8562U KR200159704Y1 (ko) 1996-12-13 1996-12-13 오일연소기의 수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8562U KR200159704Y1 (ko) 1996-12-13 1996-12-13 오일연소기의 수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586U KR19980035586U (ko) 1998-09-15
KR200159704Y1 true KR200159704Y1 (ko) 1999-11-01

Family

ID=19479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8562U KR200159704Y1 (ko) 1996-12-13 1996-12-13 오일연소기의 수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970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586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07192B2 (en) Hybrid hotair heater
KR200159704Y1 (ko) 오일연소기의 수평기
AU2003266778B2 (en) Hybrid hotair heater
CN220270067U (zh) 一种纤维织物耐燃性试验炉
KR940003315B1 (ko) 온풍난방기
KR0155464B1 (ko) 연소장치
US4488536A (en) Warm air blowing heater
KR200408483Y1 (ko) 숯불 로스터
JP5313940B2 (ja) ガスファンヒータ
JPH0159499B2 (ko)
KR200226559Y1 (ko) 벽걸이형 전기히터
JP2000234807A (ja) 温風暖房機
KR19990074392A (ko) 가스온풍기의 공기공급관 연결상태 감지장치
JP2543263B2 (ja) 温風暖房機の制御装置
KR0178337B1 (ko) 팬히터의 보조탱크
KR0127127Y1 (ko) 팬 히터용 안전망
KR0135822Y1 (ko) 팬히터 실온써미스터의 고정구
KR100281067B1 (ko) 가스온풍기의연소실압력해제장치
KR0143691B1 (ko) 오일연소기
KR100290847B1 (ko) 가스온풍기의 연소실 폭발 방지장치 및 방법
KR19980011047U (ko) 팬히터의 온풍 토출구
KR20000020090A (ko) 가스난방기의 풍압검지 장치 및 방법
KR940004178B1 (ko) 온풍난방기의 제어장치
JPH0573461U (ja) 空気調和機
KR200284269Y1 (ko) 직물 마감처리용 열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