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9553Y1 - 포터블 에어컨 - Google Patents

포터블 에어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9553Y1
KR200159553Y1 KR2019960041565U KR19960041565U KR200159553Y1 KR 200159553 Y1 KR200159553 Y1 KR 200159553Y1 KR 2019960041565 U KR2019960041565 U KR 2019960041565U KR 19960041565 U KR19960041565 U KR 19960041565U KR 200159553 Y1 KR200159553 Y1 KR 2001595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condensate
air conditioner
portable air
cond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15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8546U (ko
Inventor
김석균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20199600415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9553Y1/ko
Publication of KR199800285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85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95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95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4Arrangements for portabil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터블 에어컨을 개시한다. 본 고안은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고압의 증기냉매를 액화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의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방열팬과, 액화된 냉매를 압력강화시키는 팽창밸브와, 저압의 액체냉매를 기화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의 인접한 위치에 송풍팬이 구비되는 포터블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82)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82)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수집하며, 수집된 응축수를 배수하는 배수관(38)이 하면에 형성되는 수집용기(36)와; 상기 배수관(38)의 끝단에 경사지게 설치되고, 그 경사면에는 상기 응축수가 흘러내리면서 상기 방열팬(58)에 의해 증발되도록 하는 차단벽(44)을 가지는 복수의 통풍구멍(42)이 형성되며, 경사면의 하부에는 증발되고 남은 응축수를 저수하는 저수대(46)가 형성된 증발대(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증발기의 주위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포터블 에어컨의 내부에서 증발시킴으로서, 응축기의 응축효율을 상승시키고, 응축수를 수시로 버려야 하는 번거러움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포터블 에어컨 {PORTABLE AIR CONDITIONER}
본 고안은 에어컨(air conditioner)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이동이 가능한 에어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매(冷媒)의 순환에 의한 냉각사이클(cooling cycle)을 이용한 에어컨은 압축기(compressor)에서 냉매를 압축시키고, 응축기(condenser)에서 액화시킨 뒤 팽창밸브(expansion valve)를 통해 증발기(evaporator)에서 다시 기화시켜 흡수되는 기화열에 의해 실내를 냉각시키는 공기조절기이다.
이와같은 에어컨은 그 사용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데, 일정한 장소에 설치되는 고정형(fix type)과, 이동이 가능한 포터블형(portable type)으로 나뉘어 진다.
도 1에는 이동이 가능한 포터블 에어컨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포터블 에어컨(portable air-conditioner)의 내부에는 차단막(10)이 설치되어 내부를 제1,2실(11)(12)로 분리시키는 데, 제1실(11)에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13)가 설치되고, 고압의 증기냉매를 액화시키는 응축기(14)가 압축기(13)에 연결된다. 그리고 액화된 고압의 액체냉매를 압력강화시키는 팽창밸브(15)가 응축기(14)에 연결되고, 응축기(14)의 인접한 위치에는 응축기(14)에서 발생되는 응축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열팬(16)이 설치되며, 이 때 형성되는 공기를 플렉시블 덕트(flexible duct;17)를 통해 외부로 방출시킨다.
또한, 제2실(12)에는 압력강화된 냉매를 기화시켜 찬공기를 발생시키는 증발기(18)가 설치되고, 이 증발기(18)의 인접한 위치에는 송풍팬(19)이 설치되어 증발기(18) 주위에서 발생되는 찬공기를 송풍그릴(20)을 통해 실내로 송풍한다.
아울러, 증발기(18)의 하부에는 증발기(18)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수집하는 드레인팬(drain pan;21)이 설치되고, 수집된 응축수는 적절한 시기에 버려진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포터블 에어컨은 이동이 되어야 하므로 응축수를 드레인시키는 배관을 별도로 구비할 수 없고, 드레인팬(21)을 구비하여 수집되는 응축수를 수시로 버려야 하는 번거러움이 따른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증발기의 주위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수시로 버리지 않고 포터블 에어컨의 내부에서 증발시킬 수 있는 증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고압의 증기냉매를 액화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의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방열팬과, 액화된 냉매를 압력강화시키는 팽창밸브와, 저압의 액체냉매를 기화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의 인접한 위치에 송풍팬이 구비되는 포터블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수집하며, 수집된 응축수를 배수하는 배수관이 하면에 형성되는 수집용기와; 상기 배수관의 끝단에 경사지게 설치되고, 그 경사면에는 상기 응축수가 흘러내리면서 상기 방열팬에 의해 증발되도록 하는 차단벽을 가지는 복수의 통풍구멍이 형성되며, 경사면의 하부에는 증발되고 남은 응축수를 저수하는 저수대가 형성된 증발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포터블 에어컨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포터블 에어컨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응축수 증발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응축수 증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증발장치 36 : (응축수의) 수집용기
40 : 증발대 42 : (증발대의) 통풍구멍
44 : (증발대의)차단벽 46 : (증발대의) 저수대
52 : 압축기(compressor) 54 : 응축기(condenser)
56 : 팽창밸브(expansion valve) 82 : 증발기(evaporator)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서, 포터블 에어컨(100)의 내부에는 본 고안에 의해 제공되는 증발장치(30)가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포터블 에어컨(100)의 내부를 제1,2실(50)(80)로 분리시키는 데, 제1실(50)에는 저압의 증기냉매를 고압의 증기냉매로 압축시키는 압축기(52)가 설치되고, 이 압축기(52)에는 고압의 증기냉매를 고압의 액체냉매로 액화시키는 응축기(84)가 연결된다.
그리고, 이 응축기(54)에는 액화된 고압의 액체냉매를 저압의 액체냉매로 압력강화시키는 팽창밸브(56)가 연결된다.
또한, 응축기(54)의 인접한 위치에는 방열팬(58)이 설치되어 응축기(54)의 내부에서 냉매가 좀더 원활하게 액화될 수 있도록 공기를 송풍하고, 아울러 열교환된 따뜻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 때 열교환된 따뜻한 공기가 실외로 배출될 수 있도록 제1실(50)의 케이스에 공기배출구(53)가 형성되고, 이 공기배출구(53)에 플렉시블 덕트(55)를 설치하여 외부로 인출시킴으로서 열교환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제2실(80)에는 팽창밸브(56)와 연결되는 증발기(82)가 경사지게 설치되어 압력강화된 저압의 액체냉매가 증발기(82)를 통과하면서 흡열작용이 이루어지므로 증발기(82)의 주위에서는 찬공기가 형성된다.
이러한 찬공기는 증발기(82)의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송풍팬(84)에 의해 송풍되고, 제2실(80)의 케이스에 형성되는 그릴(86)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그리고, 증발기(82)의 주위에서는 흡열작용에 따른 공기의 응축이 이루어지고, 이 때 발생되는 응축수는 경사지게 설치된 증발기(82)의 표면을 타고 흘러내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설치되는 증발장치(30)로 수집된다.
도 3과 도 4에는 이와같은 증발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증발장치(30)는 경사진 증발기(82)의 하단부에 다수의 구멍(32)이 형성되는 플레이트(34)가 설치되는 데, 이 플레이트(34)로 흘러내리는 응축수는 응축기(54)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1차로 증발된다.
그리고, 플레이트(34)의 하부에는 다수의 구멍(32)을 통해 하부로 흘러내리는 응축수를 임시로 수집하는 수집용기(36)가 설치된다. 이 수집용기(36)에는 복수의 배수관(38)이 설치되는데, 배수관(38)의 끝부분을 수집용기(36)의 하부면보다 약간 돌출되게 설치하여 수집용기(36)로 흘러내리는 응축수의 소정량이 저수되도록한다. 이와같이 저수된 응축수는 응축기(54)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2차로 증발이 이루어진다.
또한, 수집용기(36)의 하단부에는 일정각도로 경사진 증발대(40)가 설치되는 바, 바람직하게는 응축수가 느린속도로 흘러내릴 수 있는 경사각도로 설치된다.
아울러, 이 증발대(40)의 경사진 부분에는 복수의 통풍구멍(42)을 형성하고, 이 통풍구멍(42)의 선단부에는 응축수가 통풍구멍(42)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벽(44)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응축수는 차단벽(44)의 주위을 타면서 흘러내리고, 방열팬(58)에서 송풍되는 바람이 증발대(40)를 흘러내리는 응축수를 3차로 증발시킨다.
그리고, 증발대(40)의 하부에는 미쳐 증발되지 않고 흘러내린 응축수를 모으는 저수대(46)가 설치되고, 이 저수대(46)에 수집되는 응축수는 4차로 증발이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따른 포터블 에어컨(100)은 증발기(82)의 주위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4차에 걸쳐 증발시키는 증발장치(30)를 설치하여 포터블 에어컨(100)의 내부에서 응축수가 증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응축기(54)가 응축수를 증발시키는 잠열에 의해 응축기(54)의 효율이 상승하게 되어 증발기(82)에서의 냉방효율도 상승하고, 응축수를 수집하였다가 버려야 하는 번거러움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포터블 에어컨은, 응축수를 버리지 않고 재활용할 수 있어 포터블 에어컨의 에너지효율을 상승시키고, 응축수를 수집하였다가 버려야 하는 번거러움도 줄일 수 있어 종래의 제품에 비해 제품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Claims (3)

  1.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고압의 증기냉매를 액화시키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의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방열팬과, 액화된 냉매를 압력강화시키는 팽창밸브와, 저압의 액체냉매를 기화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의 인접한 위치에 송풍팬이 구비되는 포터블 에어컨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82)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82)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수집하며, 수집된 응축수를 배수하는 배수관(38)이 하면에 형성되는 수집용기(36)와;
    상기 배수관(38)의 끝단에 경사지게 설치되고, 그 경사면에는 상기 응축수가 흘러내리면서 상기 방열팬(58)에 의해 증발되도록 하는 차단벽(44)을 가지는 복수의 통풍구멍(42)이 형성되며, 경사면의 하부에는 증발되고 남은 응축수를 저수하는 저수대(46)가 형성된 증발대(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에어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용기(36)에 다수의 구멍(32)이 형성되는 플레이트(34)를 설치하여 상기 증발기(82)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상기 응축기(54)에서 발생되는 응축열에 의해 1차증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에어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38)은, 소정량의 응축수가 수집용기(36)의 바닥면에 저수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집용기(36)의 바닥면에 대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에어컨.
KR2019960041565U 1996-11-22 1996-11-22 포터블 에어컨 KR2001595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565U KR200159553Y1 (ko) 1996-11-22 1996-11-22 포터블 에어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565U KR200159553Y1 (ko) 1996-11-22 1996-11-22 포터블 에어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546U KR19980028546U (ko) 1998-08-05
KR200159553Y1 true KR200159553Y1 (ko) 1999-10-15

Family

ID=19474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1565U KR200159553Y1 (ko) 1996-11-22 1996-11-22 포터블 에어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955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2859A1 (zh) * 2015-04-28 2016-11-03 杭州灿维影像科技有限公司 冷风机及其冷却系统以及 ct 扫描机温度调节及均衡方法
KR102036032B1 (ko) * 2018-07-05 2019-11-26 (주) 영인텍 이동형 에어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330B1 (ko) * 2005-09-08 2007-06-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일체형 에어컨
KR102171872B1 (ko) * 2013-05-10 2020-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2407655B1 (ko) * 2013-05-10 2022-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일체형 공기조화기
WO2014206846A1 (en) * 2013-06-24 2014-12-31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An air-conditioner
CN106461238A (zh) 2014-06-05 2017-02-22 三星电子株式会社 一体式空调机
KR102519566B1 (ko) * 2016-05-23 2023-04-1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로봇 공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2859A1 (zh) * 2015-04-28 2016-11-03 杭州灿维影像科技有限公司 冷风机及其冷却系统以及 ct 扫描机温度调节及均衡方法
KR102036032B1 (ko) * 2018-07-05 2019-11-26 (주) 영인텍 이동형 에어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546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0160B2 (en) Building exhaust and air conditioner condensate (and/or other water source) evaporative refrigerant subcool/precool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2008533426A (ja) 遷臨界二酸化炭素冷蔵システムの凝縮水による熱伝達
KR102171872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159553Y1 (ko) 포터블 에어컨
TWI753323B (zh) 除濕裝置
KR100225502B1 (ko) 에어컨디셔너(air-conditioner)
KR100708621B1 (ko) 냉장고용 방열장치의 송풍장치
KR200313220Y1 (ko) 에어컨 응축수를 이용한 응축기 냉각장치
KR100395569B1 (ko) 에어컨의 응결수 처리장치
KR100202009B1 (ko) 응축수를 이용한 이중효율 에어컨
KR20060121034A (ko) 이동식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제거장치
KR200285314Y1 (ko) 에어컨 장치
KR200285315Y1 (ko) 에어컨 장치
KR100202010B1 (ko) 냉난방 겸용 포터블 에어컨
KR100436935B1 (ko) 과냉각응축기 일체형 증발기
KR100436934B1 (ko) 과냉각응축기를 구비한 에어콘
KR100406047B1 (ko) 에어컨의 응축수를 이용한 실외열교환기 냉각장치
KR100531089B1 (ko) 공기조화기
KR200151866Y1 (ko) 냉동사이클장치
KR100370084B1 (ko) 소형 공기조화기용 응축수 제거장치
JPH06341757A (ja) 冷却装置の蒸発装置
KR100243083B1 (ko) 일체형에어컨
KR20220080065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554267B1 (ko) 냉매응축장치
KR20040039766A (ko) 창문형 에어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