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5502B1 - 에어컨디셔너(air-conditioner) - Google Patents

에어컨디셔너(air-conditioner)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5502B1
KR100225502B1 KR1019960081259A KR19960081259A KR100225502B1 KR 100225502 B1 KR100225502 B1 KR 100225502B1 KR 1019960081259 A KR1019960081259 A KR 1019960081259A KR 19960081259 A KR19960081259 A KR 19960081259A KR 100225502 B1 KR100225502 B1 KR 100225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outdoor unit
refrigerant
drain pan
expansion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81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1881A (ko
Inventor
김우곤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1019960081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5502B1/ko
Publication of KR19980061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5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55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2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condensate, e.g. for enhanced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5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by evaporating the condensate in the cooling medium, e.g. in air flow from the cond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에 버려지던 응축수를 재활용하여 응축기의 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에어컨디셔너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압축기와 응축기를 구비하는 실외기와, 팽창밸브와 증발기 및 드레인 팬을 구비하는 실외기를 포함하는 에어컨디셔너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팬에 수집된 응축수를 따로 모아서 진공상태에서 증발시킴으로써 상기 실외기의 응축기로부터 1차 응축된 후 상기 실내기의 팽창밸브로 이동되는 고압의 냉매로부터 증발잠열을 취하여 냉매를 2차 응축 및 과냉각시키는 보조응축 수단이 마련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응축기의 용량을 최대 25%까지 줄일 수 있게 되고, 실외기의 부피를 그만큼 줄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에어컨디셔너
본 발명은 에어컨디셔너(air-conditioner)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실내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재활용함으로써 응축기의 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에어컨디셔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매사이클을 이용한 에어컨디셔너는 압축기(compressor)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condensor)에서 액화시킨 뒤 팽창밸브(expension valve)를 통해 증발기(evaporator)에서 다시 기화시켜 흡수되는 기화열에 의해 실내를 냉각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에어컨디셔너는 날씨가 더운지방이나 계절에 실내를 냉방하기 위해서 사용되는데, 최근 그 사용영역이 널리 확대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에어컨디셔너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에어컨디셔너는, 실외기(1)와 실내기(5)를 구비한다. 그리고 실외기(1)내에는 저압의 증기냉매를 고압의 증기냉매로 압축시키는 압축기(2)가 설치되고, 이 압축기(2)에 연결된 응축기(3)에서 고압의 증기냉매를 고압의 액체냉매로 응축시킨다.
그리고, 응축기(3)의 인접한 위치에 실외블로어(blower; 4)를 설치하여 냉매가 응축되며 발생하는 열을 방열시킨다.
한편, 실내기(5) 내부에 설치된 팽창밸브(6)는 실외기(1)의 응축기(3)와 연결되어 냉매를 저압으로 압력강하시킨다. 이어서, 팽창밸브(6)에 연결된 증발기(7)로 유입되는 저압의 증기냉매는 증발기(7)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기화되어 저압의 증기냉매로 변화한다.
그리고 실내블로어(8)는 실내공기를 실내기(5) 내부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하고, 실내기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증발기(7) 내부에서 기화되는 냉매에 의해 열을 빼앗겨 찬공기로 전환되어 실내로 송풍된다.
이 때 증발기(7)의 주위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는 드레인 팬(drain pan; 9)에 수집된 후 드레인호스(drain hose; 1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에어컨디셔너는 드레인 팬에 수집되는 응축수를 전부 버림으로써 에너지 재활용 측면에서 낭비를 초래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내기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버리지 않고 재활용함에 따라 응축기의 용량을 줄일 수 있는 에어컨디셔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압축기와 응축기를 구비하는 실외기와, 팽창밸브와 증발기 및 드레인 팬을 구비하는 실내기를 포함하는 에어컨디셔너디셔너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팬에 수집된 응축수를 따로 모아서 진공상태에서 증발시킴으로써 상기 실외기의 응축기로부터 1차 응축된 후 상기 실내기의 팽창밸브로 이동되는 고압의 냉매로부터 증발잠열을 취하여 냉매를 2차 응축 및 과냉각시키는 보조응축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디셔너디셔너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은, 상기 보조응축수단이, 상기 실내기의 드레인 팬과 호스에 의해 연결되는 진공용기와, 상기 진공용기의 일측에 설치되는 진공펌프와, 상기 진공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 일단이 상기 응축기쪽 파이프와 연결되고 그 타단이 상기 팽창밸브쪽 파이프와 연결되는 지그재그 형태의 응축관으로 이루어지는 점에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에어컨디셔너를 도시한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디셔너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실외기 21 : 압축기(compressor)
22 : 응축기(condensor) 30 : 실내기
31 : 팽창밸브(expension valve) 32 : 증발기(evaporator)
33 : 드레인 팬(drain pan) 40 : 보조응축수단
41 : 진공용기(vacuum case) 42 : 진공펌프(vacuum pump)
43 : 응축관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디셔너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디셔너는, 실외기(20)와 실내기(30)를 구비한다.
그리고 실외기(20)내에는 저온저압의 증기냉매를 고온고압의 증기냉매로 압축시키는 압축기(21)가 설치되고, 이 압축기(21)에는 고온고압의 증기냉매를 통과시켜 저온고압의 액체냉매로 액화시키는 응축기(22)가 연결된다.
그리고, 응축기(22)의 인접한 위치에는 실외블로어(23)가 설치되어 응축기(22)로 외부공기를 송풍함에 따라, 응축기 내부에서 냉매가 액화되는 것을 촉진시킴과 동시에 응축기 내부에서 냉매가 액화되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킨다.
한편, 실내기(30)의 내부에는 응축기(22)에서 액화되는 저온고압의 액체냉매를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로 압력강하시키는 팽창밸브(31)가 설치된다.
이러한 팽창밸브(31)에는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를 저온저압의 증기냉매로 기화시키는 증발기(32)가 연결되고, 증발기(32)의 하단부와 인접한 위치에는 드레인 팬(33)이 설치되어 증발기(32)의 하단부로 흐르는 응축수를 수집하게 된다.
그리고 드레인 팬(33)의 하단부에는 실내블로어(34)가 설치되는데, 이 실내블로어(34)에 의해 실내공기가 실내기(30)의 내부로 흡입되고, 흡입되는 실내공기는 증발기(32)의 주위에서 열을 빼앗기고 찬공기로 변화된 후 다시 실내로 송풍됨으로써 실내가 냉방된다.
그리고 드레인 팬(33)의 하단부에는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드레인 팬(33)에 수집된 응축수를 따로 모아서 진공상태에서 증발시킴으로써 실외기(20)의 응축기(22)로부터 실내기(30)의 팽창밸브(31)로 이동되는 고압의 냉매로부터 증발잠열을 취하여 냉매를 과냉각시키는 보조응축수단(40)이 마련된다.
그리고 보조응축수단(40)은, 실내기(30)의 드레인 팬(33)과 호스(35)에 의해 연결되는 진공용기(41)와, 이 진공용기(41)의 일측에 설치되는 진공펌프(42)와, 진공용기(41)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 일단이 응축기(22)쪽 파이프와 연결되고 그 타단이 팽창밸브(31)쪽 파이프와 연결되는 지그재그 형태의 응축관(43)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보조응축수단(40)에서는, 드레인팬(33)에 수집된 응축수가 호스(35)를 통해 진공용기(41) 내부로 살포된다. 이때, 진공용기(41)는 진공펌프(42)에 의해 진공을 유지한다.
그리고 진공용기(41) 내부로 살포된 응축수는, 진공용기(41) 내부에 설치되며 그 내부로 저온고압의 액체냉매가 흐르는 지그재그 형태의 응축관(43) 표면에서 냉매로부터 증발열을 얻어 증발하게 된다.
이때 진공용기(41) 내부가 진공상태이므로 응축수는 상온 이하의 온도에서 증발이 가능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90% 정도의 진공상태에서 물의 증발온도는 4℃~5℃ 정도임)
따라서, 응축수의 증발열에 상당하는만큼의 열량이 제거된 냉매는 과냉각되어 증발기(32)로 유입되게 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그만큼 실외기(20)에 설치된 응축기(22)의 용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현열비를 65%라 하고, 압축일을 증발열량의 40%로 가정할 때, 보조응축수단에서 응축수의 재증발을 통해 제거가능한 보조응축열량은, 아래의 계산식에서와 같이 총 응축열량의 25%에 해당한다.
(1-0.65) / (1+0.4)=0.25
따라서 실외기에 설치된 응축기의 용량을 최대 25%까지 축소시킬 수 있게 되고, 실외기의 부피를 그 만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에어컨디셔너에 의하면, 종래에 버려지던 응축수를 재활용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또한 응축수가 냉매로부터 증발잠열을 취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응축기의 용량을 최대 25%까지 줄일 수 있게 되고, 실외기의 부피를 그 만큼 줄일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압축기와 응축기를 구비하는 실외기와, 팽창밸브와 증발기 및 드레인 팬을 구비하는 실내기를 포함하는 에어컨디셔너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의 드레인 팬과 호스에 의해 연결되는 진공용기와, 상기 진공용기의 일측에 설치되는 진공펌프와, 상기 진공용기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 일단이 상기 응축기쪽 파이프와 연결되고 그 타단이 상기 팽창밸브쪽 파이프와 연결되는 지그재그 형태의 응축관으로 이루어지는 보조응축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디셔너.
KR1019960081259A 1996-12-31 1996-12-31 에어컨디셔너(air-conditioner) KR100225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1259A KR100225502B1 (ko) 1996-12-31 1996-12-31 에어컨디셔너(air-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81259A KR100225502B1 (ko) 1996-12-31 1996-12-31 에어컨디셔너(air-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881A KR19980061881A (ko) 1998-10-07
KR100225502B1 true KR100225502B1 (ko) 1999-10-15

Family

ID=19493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81259A KR100225502B1 (ko) 1996-12-31 1996-12-31 에어컨디셔너(air-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55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44013A (zh) * 2013-07-05 2013-10-09 上海理工大学 移动空调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127A (ko) * 2002-07-29 2004-02-05 주식회사 웃샘씨이테크 냉각수가 공급되는 공기조화기
KR20040020709A (ko) * 2002-09-03 2004-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458467B1 (ko) * 2002-11-13 2004-11-2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응축수 결빙을 이용한 공기 조화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44013A (zh) * 2013-07-05 2013-10-09 上海理工大学 移动空调系统
CN103344013B (zh) * 2013-07-05 2016-01-20 上海理工大学 移动空调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881A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0160B2 (en) Building exhaust and air conditioner condensate (and/or other water source) evaporative refrigerant subcool/precool system and method therefor
AU748789B2 (en) Building exhaust and air conditioner condensate
US6857285B2 (en) Building exhaust and air conditioner condensate (and/or other water source) evaporative refrigerant subcool/precool system and method therefor
WO1982003449A1 (en) Precool/subcool system and condenser therefor
JP2003004321A (ja) 冷凍空調装置
US4528823A (en) Heat pump apparatus
KR100225502B1 (ko) 에어컨디셔너(air-conditioner)
JP3465574B2 (ja) 冷凍空調装置、及びその設備選択方法
KR200159553Y1 (ko) 포터블 에어컨
JPH0953864A (ja) エンジン式冷房装置
JPH10160269A (ja) 冷凍装置
KR100965114B1 (ko) 냉난방 냉온수 시스템
JPH078999Y2 (ja) 空気熱源ヒートポンプ
KR100202009B1 (ko) 응축수를 이용한 이중효율 에어컨
JPH08178445A (ja) 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
KR0118457B1 (ko) 냉동사이클 장치
KR100367175B1 (ko) 히트 펌프 시스템
JP2685583B2 (ja) ヒートポンプ熱回収装置
KR200371335Y1 (ko) 착상 방지 건조기를 구비한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
KR100291107B1 (ko) 냉난방기의 저압 냉매 온도 상승 장치
KR100226361B1 (ko) 이중 냉방식 에어컨
JPH02213652A (ja) 2段圧縮冷凍サイクルと空気調和機
KR19980037827A (ko) 냉난방 겸용 포터블 에어컨
KR0120035Y1 (ko) 에어콘의 냉매 분리장치
JPS633982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8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