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9531Y1 - 용강내 슬래그 혼입 방지용 턴디쉬 - Google Patents

용강내 슬래그 혼입 방지용 턴디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9531Y1
KR200159531Y1 KR2019950047754U KR19950047754U KR200159531Y1 KR 200159531 Y1 KR200159531 Y1 KR 200159531Y1 KR 2019950047754 U KR2019950047754 U KR 2019950047754U KR 19950047754 U KR19950047754 U KR 19950047754U KR 200159531 Y1 KR200159531 Y1 KR 2001595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steel
tundish
ladle
slag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77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7498U (ko
Inventor
서경태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500477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9531Y1/ko
Publication of KR9700274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74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95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95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2Li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속 주조설비에서 래들과 몰드의 중간에 설치되어 용강이 채워지는 턴디쉬(tundish)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래들로 부터 공급받은 용강내에 비금속 개재물과 불순물을 혼입하지 않고, 몰드내로 용강을 공급하여 우수한 주편을 주조할 수 있는 용강내 슬래그 혼입방지용 턴디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래들(110)로 부터 공급된 용강(10)이 채워지며, 내부의 사각벽면에 일정크기의 직경을 가지고, 다수개의 반원구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돌출부(220)가 일정간격으로서 서로 엇갈리는 열을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220)는 사각벽면 높이의 중간위치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내 슬래그 혼입방지용 턴디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용강내 슬래그 혼입 방지용 턴디쉬
제1도는 종래의 턴디쉬를 갖춘 연속주조 설비의 개략도.
제2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턴디쉬의 실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턴디쉬를 갖춘 연속주조설비의 개략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턴디쉬의 실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강 20 : 슬래그(slag)
110 : 래들(ladle) 120 : 롱 노즐(long nozzle)
140 : 침지노즐 150 : 몰드(mold)
220 : 돌출부 200 : 슬래그 혼입방지용 턴디쉬
본 고안은 연속 주조설비에서 래들과 몰드의 중간에 설치되어 용강이 채워지는 턴디쉬(tundish)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래들로 부터 공급받은 용강내에 비금속 개재물과 불순물을 혼입하지 않고, 몰드내로 용강을 공급하여 우수한 주편을 주조할 수 있는 용강내 슬래그 혼입방지용 턴디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연속주조설비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용강(10)이 채워진 래들( ladle)(110)로 부터 롱노즐(long nozzle)(120)을 통하여 하부에 형성된 턴디쉬(130)로 상기 용강(10)을 공급하고, 상기 턴디쉬(130)의 하부에 장착된 침지노즐(140)을 통하여 연속주조 몰드(150)내로 상기 용강(10)을 공급함으로서, 연속적으로 주편을 생산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연속주조 설비를 이용하여 주편의 주조시에, 상기 턴디쉬(130)는 래들(110)로 부터 공급받은 용강(10)이 일정높이로 용강풀을 형성하고, 상기 용강풀의 용강(10)상부면에는 턴디쉬 파우더(tundish powder)로서 덮여져 슬래그층(20)을 형성하며, 상기 슬래그층(20)의 하부에 채워진 용강(10)을 몰드(150)내로 주입하여 주조작업을 실시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턴디쉬(130)내로의 용강공급이 중단되어 비금속 개재물이 발생되는 것을 제2도에 도시하고 있으며, 용강(10)이 채워지는 상기 턴디쉬(130)의 형상은 내벽이 일정각도(8°~ 15°)로 경사진 사각평면벽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턴디쉬( 130)의 단면적은 상부로 부터 하부바닥면으로 내려갈수록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래들(110)로 부터 용강(10)의 공급이 중단되면, 턴디쉬(130)내에 채워진 용강(10)의 높이가 내려가고, 동시에 턴디쉬 파우더로 인하여 용강상부면에 형성된 슬래그층(20)도 하부로 내려가게 된다. 이때, 상기 슬래그층(20)은 일반적으로 100~150mm의 두꺼운 층으로 형성되며, 상부는 분말형태의 고체층으로 이루어지고, 중간은 액체층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용강(10)이 하강할 경우, 턴디쉬(130) 형상에 따른 단면적의 감소로 압측력이 발생되고, 슬래그층(20)이 응집되어서 상기 턴디쉬(130)의 내부벽면에 고착되며, 하강된 상기 용강(10)상부면과 일시적으로 분리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턴디쉬(130)의 내부벽면에 고착되어 분리된 상기 슬래그층(20)은 일정시간이 경과된 후에, 자중(自重)으로 인하여 하부의 용강(10)내에 떨어지게 되고, 용강상부면에 잔존하는 슬래그층(20)의 액상과 함께 용강(10)내로 혼입되어 비금속 개재물(30)을 형성하며, 상기 비금속 개재물(30)이 혼입된 용강(10)이 몰드(150)주형내로 주입되면 제품의 품질에 막대한 영향을 주며, 특히 주조작업의 말기에 매우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주조작업 말기 또는 용강공급이 중단될시에 슬래그층이 응집, 압축되어 턴디쉬 벽면에 고착되고, 용강상부면과 일시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분리된 상기 슬래그층의 용강내 혼입을 미연에 예방하여 비금속 개재물과 같은 불순물이 포함되지 않은 우수한 품질의 주편을 주조할 수 있는 용강내 슬래그 혼입방지용 턴디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래들로 부터 용강을 공급받아서 몰드로 공급하는 연속 주조설비의 턴디쉬에 있어서, 상기 래들로 부터 공급된 용강이 채워지며, 내부의 사각벽면에 일정크기의 직경을 가지고, 다수개의 반원구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돌출부가 일정간격으로서 서로 엇갈리는 열을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는 사각벽면 높이의 중간위치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내 슬래그 혼입방지용 턴디쉬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용강내 슬래그 혼입방지용 턴디쉬( 200)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3도와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슬래그 혼입방지용 턴디쉬(200)의 상부에는 용강(10)이 채워진 래들(ladle)(110)이 위치하여 롱노즐(long nozzle)(120)을 통하여 상기 용강(10)을 공급하고, 상기 턴디쉬(200)의 하부에 장착된 침지노즐(140)을 통하여 연속주조 몰드(150)내로 상기 용강(10)을 공급함으로서, 연속적으로 주편을 생산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용강(10)이 채워지고, 몰드(150)내로 용강(10)을 공급하며, 사각벽면을 가지는 본 고안에 따른 슬래그 혼입방지용 턴디쉬(200)의 내부벽면에는 상기 용강의 유동흐름이 방해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상기 사각벽면에 일정크기 바람직하게는 60~100mm의 직경을 가지는 다수개의 반원구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돌출부( 220)를 일정간격으로 바람직하게는 100~200mm의 간격으로서 서로 엇갈리는 형상을 가지는 형태로 상기 턴디쉬(200)의 사각벽면에 각각 설치한다. 이때, 상기 돌출부(220)는 상기 턴디쉬의 사각벽면 높이의 중간위치에 해당하며 대략 하부면에서 1/5~3/5의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슬래그 혼입방지용 턴디쉬(200)를 갖춘 연속주조설비에서 래들(110)로 부터 용강(10)공급이 중단되어 용강면의 하부로 내려갈때, 반원구의 형상을 가지는 다수개의 돌출부(220)가 형성된 상기 턴디쉬(200)의 내부벽면에서, 상기 돌출부(220)로 인하여 종래의 턴디쉬의 내부벽면에서 보다도 용강의 지금과 턴디쉬 파우더로 인한 슬래그가 더 많이 상호 융착이 된다.
그리고, 상기 지금과 슬래그의 융착에 의하여 용강면의 하강으로 인한 턴디쉬의 하부단면적 측소량만큼 상기 슬래그층(20)이 절단되어 상기 슬래그층(20)의 압축과 응집을 방지할 수가 있으며, 용강(10)면의 높이가 내려가도 상기 용강(10)면과 슬래그층(20)이 서로 분리됨이 발생하지 않고, 분리된 상기 슬래그층(20)은 시간이 경과후에 하부의 용강(20)면으로 떨어져 비금속 개재물과 같은 불순물의 혼입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용강내 슬래그 혼입방지용 턴디쉬에 의하면, 용강의 탕면이 내려감에 따른 단면적 감소로 인하여 발생되던 슬래그층의 압축력 및 응집의 발생을 억제하고, 다수개의 돌출부 주변에 생성된 지금에 의해서 슬래그의 용착을 극대화하여, 상기 슬래그층이 하부로 내려가는 용강과 함께 안정된 탕면을 이루며 내려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용강이 안정된 용탕면을 이루며 내려감으로서, 주조작업중 래들의 교체시 또는 주조말기에서 분리된 슬래그가 떨어져 비금속 개재물이 용강내 혼입되어 몰드내로 유입되는 것을 예방함으로서 종래의 턴디쉬를 이용하여 주조한 주편보다 우수한 품질의 주편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실질적인 효과가 발생한다.

Claims (1)

  1. 래들(110)로 부터 용강(10)을 공급받아서 몰드(150)로 공급하는 연속 주조설비의 턴디쉬(130)에 있어서, 상기 래들(110)로 부터 공급된 용강(10)이 채워지며, 내부의 사각벽면에 일정크기의 직경을 가지고, 다수개의 반원구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돌출부(220)가 일정간격으로서 서로 엇갈리는 열을 형성하며, 상기 돌출부(220)는 사각벽면 높이의 중간위치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내 슬래그 혼입방지용 턴디쉬.
KR2019950047754U 1995-12-26 1995-12-26 용강내 슬래그 혼입 방지용 턴디쉬 KR2001595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7754U KR200159531Y1 (ko) 1995-12-26 1995-12-26 용강내 슬래그 혼입 방지용 턴디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7754U KR200159531Y1 (ko) 1995-12-26 1995-12-26 용강내 슬래그 혼입 방지용 턴디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498U KR970027498U (ko) 1997-07-24
KR200159531Y1 true KR200159531Y1 (ko) 1999-10-15

Family

ID=19438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7754U KR200159531Y1 (ko) 1995-12-26 1995-12-26 용강내 슬래그 혼입 방지용 턴디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953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498U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41179A (en) Tundish for continuous casting of free cutting steel
USRE35597E (en) Refractory article for preventing vortexing in a metallurgical vessel
CN200991751Y (zh) 大方坯连铸用四孔浸入式水口
EP0685282B1 (en) Submerged nozzle for continuous casting
KR19980064013A (ko) 용융금속, 특히 용강을 보유하기 위한 공급조
US3935895A (en) Continuous steel casting method
KR200159531Y1 (ko) 용강내 슬래그 혼입 방지용 턴디쉬
EP0186852B2 (en) Tundish for continuous casting of free cutting steel
AU590120B2 (en) Tundish for mixing alloying elements with molten metal
CN102300654B (zh) 中间包冲击垫
JPS61193755A (ja) 電磁撹拌方法
KR20150002095A (ko) 연속주조설비 및 이를 이용한 연속주조방법
US3934640A (en) Submerged nozzle for continuous casting
KR100498096B1 (ko) 상,하층 엇갈림 2층구조의 용강와류방지체
US3760862A (en) Method for casting steel ingots
KR100779687B1 (ko) 연속주조설비에 사용되는 완충 패드가 부착된 턴디쉬
SU988448A1 (ru) Промежуточный ковш многоручьевой машины непрерывного лить металла
CN209520360U (zh) 一种矩形中间包控流组件
KR920001708B1 (ko) 강의 연속주조에서 턴디쉬로부터 주형으로 용강을 주입하는 장치
KR102033642B1 (ko) 용융물 처리 장치
KR20000044839A (ko) 턴디쉬의 용강중에 포함된 개재물 제거방법
KR20230127551A (ko) 노즐 및 용강의 토출 방법
RU202268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ливки расплава сверху
KR970004748Y1 (ko) 래들 용강 주입용 튜브
KR880002058Y1 (ko) 턴디쉬 슬래그의 유출방지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