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9503Y1 - 전기도금 설비의 아아크 스폿트 발생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전기도금 설비의 아아크 스폿트 발생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9503Y1
KR200159503Y1 KR2019950021081U KR19950021081U KR200159503Y1 KR 200159503 Y1 KR200159503 Y1 KR 200159503Y1 KR 2019950021081 U KR2019950021081 U KR 2019950021081U KR 19950021081 U KR19950021081 U KR 19950021081U KR 200159503 Y1 KR200159503 Y1 KR 2001595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electroplating
hold down
roll
electrop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10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9732U (ko
Inventor
김형태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500210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9503Y1/ko
Publication of KR9700097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7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95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95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14Strip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14Strips or foils
    • C25D7/0657Conducting ro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판의 표면에 아연-니켈(ZN-Ni)합금을 전기 도금하는 경우, 전기 도금 강판에서 발생되는 아아크 스폿트(ARC SPOT)를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도롤과 강판의 접촉 불량에 의한 슬립(SLIP)을 억제함으로서, 전기 도금 강판의 품질 불량을 방지하는 전기 도금 설비의 아아크 스폿트(ARC SPOT) 발생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강판에 압착되는 한 쌍의 홀드 다운 롤을 갖는 홀드 다운 롤부와, 베어링 블록을 매개로 하여 상기 홀드 다운 롤부와 연결되는 에어 실린더부 및 고정 지지부로 구성되어, 고전류 밀도하에 전기 도금 작업시에 발생되는 아아크 스폿트를 방지함으로서, 전기 도금 강판의 손상 우려 및 통판 속도의 저감을 배제하여 양질의 전기 도금 강판을 제조할 뿐만 아니라, 전기 도금 강판의 생산성 및 효율성을 향상 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도금 설비의 아아크 스폿트 발생 방지 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전기도금방식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a도는 수평형 전기 도금 방식을 나타내고,
b도는 수직형 전기 도금 방식을 나타내며,
c도는 레이디얼형 전기 도금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종래의 레이디얼형 전기도금장치의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아아크 스폿트 발생 방지 장치가 장착된 전기 도금 설비의 측면 구성도.
제4도는 제3도를 A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강판 2 : 전도롤
13 : 전도롤 밴드
20 : 홀드 다운 롤(HOLD DOWN ROLL)부
30 : 에어 실린더(AIR CYLINDEK)부 40 : 고정 지지부
50 : 베어링 블록(BEARING BLOCK) P : 간격
D : 전도록 밴드의 폭 d : 홀드 다운롤의 폭
본 고안은 강판의 표면에 아연-니켈(ZN-Ni)합금을 전기도금하는 경우, 전기 도금 강판에서 발생되는 아아크 스폿트(ARC SPOT)를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도롤과 강판의 접촉 접촉후면에 홀드 다운 롤(HOLD DOWM ROLL) 을 설치하여 전도롤과 강판의 접촉불량에 의한 슬립(SLIP)을 억제함으로서, 전기 도금 강판의 품질 불량을 방지하는 전기 도금 설비의 아아크 스폿트(ARC SPOT) 발생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강판 표면에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 종류의 전기도금을 실시하는데 특히, 자동차 내, 외판에 사용되는 아연-니켈(ZN-Ni)전기 도금 강판은 고전류 밀도에서 전기도금을 실시한다.
이때, 전해액으로는 아연-니켈(ZN-Ni) 합금 도금 용액이 사용된다. 종래의 전기도금강판을 제조하기 위한 전기 도금 방식은 전기도금강판의 진행상태에 따라 제1도에 도시한 바 같이, 수평형 전기도금 방식(a) 수직형 전기도금 방식(b), 레이디얼형 전기도금방식(c)등으로 대별이 된다.
상기한 수평형 도금 방식은 제1a도와 같이 강판(1)을 수평상태로 진행시키고 다수의 전도롤(2)을 구비하여 전도롤(2) 외주에 형성된 전극으로부터 전도롤(2)에 접촉되는 강판(1)에 통전이 이루어 진다. 이때, 전극과 전기도금 강판(1) 사이에 합금 도금액이 흘러 전기도금이 된다.
또한, 수직형 전기도금방식은 제1b도에서와 같이 강판(1)을 전도롤(2)과 싱크롤(SINK ROLL)(3)에 의해 지그재그(ZIG ZAG)형태로 수직이동시켜 수평형 전기도금 방식(a)과 동일하게 전기도금 시킨다.
그리고 , 레이디얼 전기도금방식은 제1c도와 같이 전기도금강판(1)이 순차적으로 통과되어 일정비율씩 도금되는 다수의 전해조(8)가 있고, 진행 방향을 전환시키는 디플렉터롤(DEFLECTOR ROLL)(4)과 전기 도금 강판(1) 상부에 물을 분무하여 강판(1) 표면의 얼룩을 방지하기 위한 분무기(5) 등으로 구성된다.
제2도는 종래의 전기 도금 장치의 구성도로서, 전해조(8)에는 아연-니켈(ZN-Ni)합금 도금 전해액(9)이 채워져 순환되고 있으며, 직류 전원 공급 장치(DC POWER SUPPLY)(10)로 부터 전도롤 밴드(13)에는 음극(-)전류가 통입되고, 아노드(ANODE)(6)와 아노드 브릿지(ANODE BRIDGE)(7)에는 양극(+)전류가 통입된다. 이때, 전류의 작용으로 고전류밀도 조건하에서 강판(1) 표면에 아연-니켈(ZN-Ni)전기 도금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전류밀도에서 전기도금작업시에 강판(1)의 칫수와 재질의 변화가 생길때 브라이드롤(미도시)에서 강판을 당기는 힘 즉, 장력(TENSION)의 변동이 유발한다.
이때, 전도롤 밴드(13)의 끝(12)부분에 고전류가 집중된 상태에서 전도롤(2)과 강판(1)사이에 슬립(SLIP)이 발생되며, 순간적인 통전불량이 원인이 되어 아아크 스폿트가 발생된다.
상기 아아크 스폿트(ARC SPOT) 발생은 전기 도금 강판(1)의 표면을 손상시키게 되고, 아아크 스폿트의 발생횟수는 강판(1)의 통판속도와 비례한 관계로 통판 속도의 저하를 유발시키게 된다. 따라서, 전기도금 작업의 생산성이 저하되고 보다 우수한 양질의 전기 도금 강판 제품을 생산할 수 없는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기 도금 강판과 전도롤 사이에 아아크 스폿트를 방지하여, 전기 도금 강판의 손상우려 및 강판의 통판 속도 저감을 배제하며, 양질의 전기 도금 강판을 제조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전기 도금 강판의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게 하는 전기 도금 설비의 아아크 스폿트 발생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기도금 강판 제조시에 발생하는 아아크 스폿트를 방지하는 전기도금 설비의 아아크 발생 방지 장치에 있어서, 표면이 미세한 입자로 돌기 형상인 한쌍의 홀드 다운 롤은 중간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공간을 포함한 강판에 접촉되는 상기 한 쌍의 홀드 다운 롤의 전체 폭은 전도롤 밴드 폭 보다 작게 형성되며, 회전 운동하는 홀드 다운 롤 축에 끼워져서 전도롤의 일측에 배치되는 홀드 다운 롤부; 상기 홀드 다운 롤축의 양단부가 일측에 연결되고 에어 실린더의 작동로드가 또 다른 일측에 연결 되어지는 베어링 블록을 갖추고, 공기의 유입과 배출을 위한 에어 배관을 갖추어 상기한 한 쌍의 홀드 다운 롤을 전도롤측의 강판으로 밀착 시키도록 서로 대칭으로 위치한 한쌍의 에어 실린더를 갖는 에어 실린더부; 와, 상기 에어 실린더부를 육각 보울트와 스프링 와셔로서 고정 프레임에 체결하는 고정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설비의 아아크 스폿트 발생 방지 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기 도금 설비의 아아크 스폿트 발생 방지 장치(100)는, 홀드 다운 롤(HOLD DOWN ROLL)부(20)가 베어링 블록(BEARING BLOCK)(50)(50')을 매개로 하여 전도롤 축(11)에 평행하게 에어 실린더(AIR CYLINDER)부(30)가 연결되고, 상기 에어 실린더부(30)는 고정 지지부(40)에 고정된다.
상기 홀드 다운 롤부(20)는 한 쌍의 홀드 다운 롤(21)(21')을 갖고, 중간에 일정 간격(P)을 유지하는 공간을 마련하며 상기 공간을 포함한 한쌍의 홀드 다운 롤(21)(21')이 강판(1)에 밀착되는 전체 폭(d)을 (-)극에 통전되는 전도롤 밴드(13)의 폭(D)보다 항상 작아야 한다. 그리고, 재질이 고무(RUBBER)인 한 쌍의 홀드 다운 롤(21)(21')의 표면은 미세한 입자로 돌기 형상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홀드 다운 롤(21)(21')은 전기 도금 강판(1)의 표면을 따라 회전 운동하는 홀드 다운 롤축(22)에 끼워져서 전기 도금 강판(1)에 접촉이 된다.
그리고, 상기 홀드 다운 롤 축(22)의 양단부(24)(24')는 베어링(23)(23')을 내재한 한쌍의 베어링 블록(50)(50')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원활한 회전 구동을 이루게 한다.
한편, 에어 실린더부(30)에 갖춰진 한 쌍의 에어 실린더(31)(31')는 서로 대칭구조로 위치하며, 직선 운동을 전달하는 실린더 작동로드(ROD)(32)(32')의 수나사부(34)(34')는 상기 홀드 다운 롤 축(22)으로 부터 90°회전 방향으로 베어링 블록(50)(50')의 일측면에 암나사부(35)(35')를 마련하여 서로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실린더(31)(31')는 공기의 유입과 배출이 일정 압력으로 교환이 될 수 있는 에어 배관(33)(33')을 설치한다.
또한, 고정지지부(40)는 상기 에어 실린더(31)(31')의 안정된 작동을 위해 육각 보울트(42)(42')와 스프링 와셔(43)(43')로서, 상기 에어 실린더(31)(31')를, 그 후면에 위치한 고정 프레임(41)(41')에 체결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전기 도금 작업이 시작되면 에어 실린더(31)(31')의 에어 배관(33)(33')을 통하여 공기의 압력이 에어 실린더 작동 로드(32)(32')에 전달되어 전진함으로서, 한상의 홀드 다운 롤(21)(21')이 강판(1)쪽으로 이동이 되어 전도롤(2)과 강판(1)을 압착하여 준다.
따라서, 강판(1)과 전도롤(2) 사이에 공기 압력으로 압착력이 증가되어, 슬립(SLIP) 및 통전 불량을 억제함으로서 아아크 스폿트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전기 도금 작업 도중에 강판(1)의 용접부가 통과 할때, 공기의 배출로 홀드 다운 롤(21)(21')을 신속히 떨어지게 하고, 상기 강판(1) 용접부가 통과시에는 신속히 홀드 다운 롤(21)(21')을 강판(1) 표면에 압착하여 전기 도금 작업을 재개 한다. 즉, 작업 환경에 따른 전기 도금 작업의 전환이 신속하다.
한편, 한 쌍의 홀드 다운 롤(21)(21')은 전해액(9)온도 상승 및 전기도금시에 발생되는 자체열로 인한 고무(RUBBER) 재질인 홀드 다운 롤(21)(21')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홀드 다운 축(22)에 끼워진 한쌍의 홀드 다운 롤(21)(21')의 사이에 일정 간격(P)을 유지한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간을 포함한 강판에 압착되는 홀드 다운 롤(21)(21')의 전체 폭)d)은 전도를 밴드(12)의 폭(D) 보다 항상 작아야 한다. 이것은 반대 조건(D<d)이 성립되면, 전도롤 밴드(13)와 전기 도금 강판(1) 사이에 단차기 원인이 되어 전기 도금 강판(1)의 표면에 길이 방향으로 전도롤 밴드(13)의 폭(D) 만큼 굴곡 자국이 전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한 쌍의 홀드 다운 롤(21)(21')의 표면을 미세한 입자로 돌기 형상을 형성한 것은, 전기 도금 작업시에 상기 홀드 다운 롤(21)(21')이 강판(1)에 압착하여 회전 구동할때, 상기 홀드 다운 롤(21)(21') 표면의 마찰력 부족으로 밀림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설비이 아아크 스폿트 발생 방지 장치(100)는, 강판(1)의 아연-니켈(ZN-Ni) 합급 전기 도금 시에 고전류 밀도하에서 강판(1)을 전도롤(2)에 완전 밀착하여 슬립(SLIP)을 방지하고, 순간적인 통전 불량을 억제하여 아아크 스폿트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전기 도금 강판의 손상 우려 및 통판 속도의 저하를 배제하여 양질의 전기도금 강판을 제조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전기 도금 강판의 생산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 하는데 큰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고안의 명칭]
    전기도금 설비의 아아크 스폿트 발생 방지 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일반적인 전기도금방식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a도는 수평형 전기 도금 방식을 나타내고,
    b도는 수직형 전기 도금 방식을 나타내며,
    c도는 레이디얼형 전기 도금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종래의 레이디얼형 전기도금장치의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아아크 스폿트 발생 방지 장치가 장착된 전기 도금 설비의 측면 구성도.
    제4도는 제3도를 A방향에서 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강판 2 : 전도롤
    13 : 전도롤 밴드
    20 : 홀드 다운 롤(HOLD DOWN ROLL)부
    30 : 에어 실린더(AIR CYLINDEK)부 40 : 고정 지지부
    50 : 베어링 블록(BEARING BLOCK) P : 간격
    D : 전도록 밴드의 폭 d : 홀드 다운롤의 폭
    [고안의 상세한 설명]
    본 고안은 강판의 표면에 아연-니켈(ZN-Ni)합금을 전기도금하는 경우, 전기 도금 강판에서 발생되는 아아크 스폿트(ARC SPOT)를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도롤과 강판의 접촉 접촉후면에 홀드 다운 롤(HOLD DOWM ROLL) 을 설치하여 전도롤과 강판의 접촉불량에 의한 슬립(SLIP)을 억제함으로서, 전기 도금 강판의 품질 불량을 방지하는 전기 도금 설비의 아아크 스폿트(ARC SPOT) 발생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강판 표면에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 종류의 전기도금을 실시하는데 특히, 자동차 내, 외판에 사용되는 아연-니켈(ZN-Ni)전기 도금 강판은 고전류 밀도에서 전기도금을 실시한다.
    이때, 전해액으로는 아연-니켈(ZN-Ni) 합금 도금 용액이 사용된다. 종래의 전기도금강판을 제조하기 위한 전기 도금 방식은 전기도금강판의 진행상태에 따라 제1도에 도시한 바 같이, 수평형 전기도금 방식(a) 수직형 전기도금 방식(b), 레이디얼형 전기도금방식(c)등으로 대별이 된다.
    상기한 수평형 도금 방식은 제1a도와 같이 강판(1)을 수평상태로 진행시키고 다수의 전도롤(2)을 구비하여 전도롤(2) 외주에 형성된 전극으로부터 전도롤(2)에 접촉되는 강판(1)에 통전이 이루어 진다. 이때, 전극과 전기도금 강판(1) 사이에 합금 도금액이 흘러 전기도금이 된다.
    또한, 수직형 전기도금방식은 제1b도에서와 같이 강판(1)을 전도롤(2)과 싱크롤(SINK ROLL)(3)에 의해 지그재그(ZIG ZAG)형태로 수직이동시켜 수평형 전기도금 방식(a)과 동일하게 전기도금 시킨다.
    그리고 , 레이디얼 전기도금방식은 제1c도와 같이 전기도금강판(1)이 순차적으로 통과되어 일정비율씩 도금되는 다수의 전해조(8)가 있고, 진행 방향을 전환시키는 디플렉터롤(DEFLECTOR ROLL)(4)과 전기 도금 강판(1) 상부에 물을 분무하여 강판(1) 표면의 얼룩을 방지하기 위한 분무기(5) 등으로 구성된다.
    제2도는 종래의 전기 도금 장치의 구성도로서, 전해조(8)에는 아연-니켈(ZN-Ni)합금 도금 전해액(9)이 채워져 순환되고 있으며, 직류 전원 공급 장치(DC POWER SUPPLY)(10)로 부터 전도롤 밴드(13)에는 음극(-)전류가 통입되고, 아노드(ANODE)(6)와 아노드 브릿지(ANODE BRIDGE)(7)에는 양극(+)전류가 통입된다. 이때, 전류의 작용으로 고전류밀도 조건하에서 강판(1) 표면에 아연-니켈(ZN-Ni)전기 도금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전류밀도에서 전기도금작업시에 강판(1)의 칫수와 재질의 변화가 생길때 브라이드롤(미도시)에서 강판을 당기는 힘 즉, 장력(TENSION)의 변동이 유발한다.
    이때, 전도롤 밴드(13)의 끝(12)부분에 고전류가 집중된 상태에서 전도롤(2)과 강판(1)사이에 슬립(SLIP)이 발생되며, 순간적인 통전불량이 원인이 되어 아아크 스폿트가 발생된다.
    상기 아아크 스폿트(ARC SPOT) 발생은 전기 도금 강판(1)의 표면을 손상시키게 되고, 아아크 스폿트의 발생횟수는 강판(1)의 통판속도와 비례한 관계로 통판 속도의 저하를 유발시키게 된다. 따라서, 전기도금 작업의 생산성이 저하되고 보다 우수한 양질의 전기 도금 강판 제품을 생산할 수 없는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기 도금 강판과 전도롤 사이에 아아크 스폿트를 방지하여, 전기 도금 강판의 손상우려 및 강판의 통판 속도 저감을 배제하며, 양질의 전기 도금 강판을 제조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전기 도금 강판의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게 하는 전기 도금 설비의 아아크 스폿트 발생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기도금 강판 제조시에 발생하는 아아크 스폿트를 방지하는 전기도금 설비의 아아크 발생 방지 장치에 있어서, 표면이 미세한 입자로 돌기 형상인 한쌍의 홀드 다운 롤은 중간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공간을 포함한 강판에 접촉되는 상기 한 쌍의 홀드 다운 롤의 전체 폭은 전도롤 밴드 폭 보다 작게 형성되며, 회전 운동하는 홀드 다운 롤 축에 끼워져서 전도롤의 일측에 배치되는 홀드 다운 롤부; 상기 홀드 다운 롤축의 양단부가 일측에 연결되고 에어 실린더의 작동로드가 또 다른 일측에 연결 되어지는 베어링 블록을 갖추고, 공기의 유입과 배출을 위한 에어 배관을 갖추어 상기한 한 쌍의 홀드 다운 롤을 전도롤측의 강판으로 밀착 시키도록 서로 대칭으로 위치한 한쌍의 에어 실린더를 갖는 에어 실린더부; 와, 상기 에어 실린더부를 육각 보울트와 스프링 와셔로서 고정 프레임에 체결하는 고정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설비의 아아크 스폿트 발생 방지 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기 도금 설비의 아아크 스폿트 발생 방지 장치(100)는, 홀드 다운 롤(HOLD DOWN ROLL)부(20)가 베어링 블록(BEARING BLOCK)(50)(50')을 매개로 하여 전도롤 축(11)에 평행하게 에어 실린더(AIR CYLINDER)부(30)가 연결되고, 상기 에어 실린더부(30)는 고정 지지부(40)에 고정된다.
    상기 홀드 다운 롤부(20)는 한 쌍의 홀드 다운 롤(21)(21')을 갖고, 중간에 일정 간격(P)을 유지하는 공간을 마련하며 상기 공간을 포함한 한쌍의 홀드 다운 롤(21)(21')이 강판(1)에 밀착되는 전체 폭(d)을 (-)극에 통전되는 전도롤 밴드(13)의 폭(D)보다 항상 작아야 한다. 그리고, 재질이 고무(RUBBER)인 한 쌍의 홀드 다운 롤(21)(21')의 표면은 미세한 입자로 돌기 형상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홀드 다운 롤(21)(21')은 전기 도금 강판(1)의 표면을 따라 회전 운동하는 홀드 다운 롤축(22)에 끼워져서 전기 도금 강판(1)에 접촉이 된다.
    그리고, 상기 홀드 다운 롤 축(22)의 양단부(24)(24')는 베어링(23)(23')을 내재한 한쌍의 베어링 블록(50)(50')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원활한 회전 구동을 이루게 한다.
    한편, 에어 실린더부(30)에 갖춰진 한 쌍의 에어 실린더(31)(31')는 서로 대칭구조로 위치하며, 직선 운동을 전달하는 실린더 작동로드(ROD)(32)(32')의 수나사부(34)(34')는 상기 홀드 다운 롤 축(22)으로 부터 90°회전 방향으로 베어링 블록(50)(50')의 일측면에 암나사부(35)(35')를 마련하여 서로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실린더(31)(31')는 공기의 유입과 배출이 일정 압력으로 교환이 될 수 있는 에어 배관(33)(33')을 설치한다.
    또한, 고정지지부(40)는 상기 에어 실린더(31)(31')의 안정된 작동을 위해 육각 보울트(42)(42')와 스프링 와셔(43)(43')로서, 상기 에어 실린더(31)(31')를, 그 후면에 위치한 고정 프레임(41)(41')에 체결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전기 도금 작업이 시작되면 에어 실린더(31)(31')의 에어 배관(33)(33')을 통하여 공기의 압력이 에어 실린더 작동 로드(32)(32')에 전달되어 전진함으로서, 한상의 홀드 다운 롤(21)(21')이 강판(1)쪽으로 이동이 되어 전도롤(2)과 강판(1)을 압착하여 준다.
    따라서, 강판(1)과 전도롤(2) 사이에 공기 압력으로 압착력이 증가되어, 슬립(SLIP) 및 통전 불량을 억제함으로서 아아크 스폿트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전기 도금 작업 도중에 강판(1)의 용접부가 통과 할때, 공기의 배출로 홀드 다운 롤(21)(21')을 신속히 떨어지게 하고, 상기 강판(1) 용접부가 통과시에는 신속히 홀드 다운 롤(21)(21')을 강판(1) 표면에 압착하여 전기 도금 작업을 재개 한다. 즉, 작업 환경에 따른 전기 도금 작업의 전환이 신속하다.
    한편, 한 쌍의 홀드 다운 롤(21)(21')은 전해액(9)온도 상승 및 전기도금시에 발생되는 자체열로 인한 고무(RUBBER) 재질인 홀드 다운 롤(21)(21')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홀드 다운 축(22)에 끼워진 한쌍의 홀드 다운 롤(21)(21')의 사이에 일정 간격(P)을 유지한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간을 포함한 강판에 압착되는 홀드 다운 롤(21)(21')의 전체 폭)d)은 전도를 밴드(12)의 폭(D) 보다 항상 작아야 한다. 이것은 반대 조건(D<d)이 성립되면, 전도롤 밴드(13)와 전기 도금 강판(1) 사이에 단차기 원인이 되어 전기 도금 강판(1)의 표면에 길이 방향으로 전도롤 밴드(13)의 폭(D) 만큼 굴곡 자국이 전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한 쌍의 홀드 다운 롤(21)(21')의 표면을 미세한 입자로 돌기 형상을 형성한 것은, 전기 도금 작업시에 상기 홀드 다운 롤(21)(21')이 강판(1)에 압착하여 회전 구동할때, 상기 홀드 다운 롤(21)(21') 표면의 마찰력 부족으로 밀림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기 설비이 아아크 스폿트 발생 방지 장치(100)는, 강판(1)의 아연-니켈(ZN-Ni) 합급 전기 도금 시에 고전류 밀도하에서 강판(1)을 전도롤(2)에 완전 밀착하여 슬립(SLIP)을 방지하고, 순간적인 통전 불량을 억제하여 아아크 스폿트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전기 도금 강판의 손상 우려 및 통판 속도의 저하를 배제하여 양질의 전기도금 강판을 제조하게 될 뿐만 아니라, 전기 도금 강판의 생산성 및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 하는데 큰 효과가 있다.
KR2019950021081U 1995-08-16 1995-08-16 전기도금 설비의 아아크 스폿트 발생 방지장치 KR2001595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1081U KR200159503Y1 (ko) 1995-08-16 1995-08-16 전기도금 설비의 아아크 스폿트 발생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1081U KR200159503Y1 (ko) 1995-08-16 1995-08-16 전기도금 설비의 아아크 스폿트 발생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732U KR970009732U (ko) 1997-03-29
KR200159503Y1 true KR200159503Y1 (ko) 1999-10-15

Family

ID=19420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1081U KR200159503Y1 (ko) 1995-08-16 1995-08-16 전기도금 설비의 아아크 스폿트 발생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950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732U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3155B2 (ja) ストリップの電解被覆装置及びその方法
CN102618903B (zh) 深孔铝件硬质阳极氧化专用阳极及其氧化方法
IE48872B1 (en) Device for continuously electrodepositing with high current density,a coating metal on a metal sheet
KR200159503Y1 (ko) 전기도금 설비의 아아크 스폿트 발생 방지장치
CN114289854B (zh) 利用搅拌摩擦加工制备铜银合金析氢催化剂的方法
CN110158141B (zh) 一种旋转式铜排双头电镀装置
JP2001140100A (ja) 金属板電解処理装置及び金属板電解処理用電極
KR101266455B1 (ko) 도금롤의 이물질 부착 방지장치
KR100951436B1 (ko) 동 전해정련용 음극판
JP3846646B2 (ja) 鋼の電解による表面清浄化方法
CN210657208U (zh) 一种电镀装置
CN114790566B (zh) 电镀导电装置及电镀生产线
CN214788629U (zh) 一种可更换螺栓孔连铸机轴承座
CN217809710U (zh) 节能阴极板
CN214991956U (zh) 一种用于连续电镀的导电装置
JPH0762599A (ja) 導電性板状材の電解処理装置
CN211814672U (zh) 一种节能电解电积导电联接装置
CA2446644C (en) Method for repairing electrolysis cathodes
KR101602854B1 (ko) 롤 이물질 제거장치
CN219508063U (zh) 一种电解抛光液除杂设备
CN117691428A (zh) 一种生箔机导电装置
CN213804026U (zh) 一种局部微弧氧化装置
CN208250428U (zh) 新型氯酸钠电解槽连接结构
KR200161715Y1 (ko) ZN-Ni 도금에 있어서의 아크 스포트 및 슬러지 발생 방지 장치
JP4061688B2 (ja) 金属ストリップの連続電解エッチング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