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9297Y1 - 카트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카트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59297Y1 KR200159297Y1 KR2019970003681U KR19970003681U KR200159297Y1 KR 200159297 Y1 KR200159297 Y1 KR 200159297Y1 KR 2019970003681 U KR2019970003681 U KR 2019970003681U KR 19970003681 U KR19970003681 U KR 19970003681U KR 200159297 Y1 KR200159297 Y1 KR 20015929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lt
- handle
- inclination
- cart
- handle shaf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8—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 B62K21/22—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adjustabl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5/00—Bags for golf clubs; Stands for golf clubs for use on the course; 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 A63B55/60—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 A63B55/61—Wheeled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golf bags motorised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0/00—Land vehicles
- Y10S280/06—Wheeled golf club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트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핸들의 경사 각도를 운전자가 원하는 각도로 용이하면서도 빠른 시간내에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카트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진행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핸들 이 전방으로 마련되어 있는 카트에 있어서, 앞 포크의 위쪽에는 일체로 형성되어 설치된 한쌍의 경사 조절판과; 상기 경사 조절판의 내측에 볼트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핸들축과; 상기 경사 조절판에는 폭방향을 따라 볼트가 삽입되기 위하여 형성된 슬롯과; 상기 볼트와 체결되어 핸들축을 경사 조절판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너트와; 상기 볼트에 장착되어 볼트를 돌려주기 위한 조절레버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카트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핸들의 경사 각도를 운전자가 원하는 각도로 용이하면서도 빠른 시간내에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카트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트(Cart) 함은 밧데리 등에 축적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바퀴를 회전시켜 실내의 바닥면 또는 실외의 노면을 따라 주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카트는 노약자나 장애자와 같이 지체가 부자유한 사람들의 이동수단으로서 또는 골프장의 필드간 이동수단으로서 개발이 급격하게 진전되고 있는 것이다.
상기한 카트의 전방에는 진행방향을 운전자의 임의로 변경하기 위한 핸들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한 핸들은 운전자에 맞게 그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핸들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구조는 공고번호 92-10761로 출원 공고된 본인의 기 특허출원으로 제안된 바 있다.
즉, 앞 포크에는 1쌍의 경사 조절판이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사 조절판의 사이에는 핸들축의 아래단이 핀으로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한 경사 조절판의 위쪽에는 조절레버의 아래단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록킹핀이 관통하여 있고, 상기한 경사 조절판에는 록킹핀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다수개의 구멍을 보유하고, 상기 구멍중에 선택된 구멍에 록킹핀을 삽입하여 경사 조절판을 고정시켜 핸들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핸들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려면 핸들축을 잡은 상태에서 록킹핀을 경사 조절판으로부터 빼낸 후 경사 조절판에 형성된 다수개의 구멍중에 선택된 하나의 구멍과 핸들축에 형성된 구멍을 일치시켜 준 상태에서 상기 구멍에 록킹핀을 삽입하여 록킹시켜 주게 되어 있으므로 핸들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기 곤란하여 운전자에게 불편함을 안겨 주게 됨은 물론 핸들의 각도 조절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핸들의 경사 각도를 운전자가 원하는 각도로 용이하면서도 빠른 시간내에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카트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진행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핸들 이 전방으로 마련되어 있는 카트에 있어서, 앞 포크의 위쪽에는 일체로 형성되어 설치된 한쌍의 경사 조절판과; 상기 경사 조절판의 내측에 볼트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핸들축과; 상기 경사 조절판에는 폭방향을 따라 볼트가 삽입되기 위하여 형성된 슬롯과; 상기 볼트와 체결되어 핸들축을 경사 조절판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너트와; 상기 볼트에 장착되어 볼트를 돌려주기 위한 조절레버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핸들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려면 먼저 조절레버를 일방으로 회전시켜 볼트와 너트의 결합을 해제시켜 준다.
상기 볼트와 너트의 결합이 해제되면 경사 조절판과 핸들축간에 서로 유격이 발생되고, 이때 운전자가 원하는 핸들의 경사각도가 되게 핸들축을 록킹핀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시켜 준다.
상기 핸들축이 소정 각도로 회전된 후 상기 조절레버를 타방으로 회전시켜 주면, 볼트가 타방으로 이동하면서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면서 경사 조절판과 핸들축이 결합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카트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카트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카트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면, 프론트 새시(1)의 뒤쪽에 리어 새시 어셈블리(3)가 래치 플레이트(5)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프론트 새시(1)의 소정 위치에는 앞 포크(7) 고정 설치되고, 상기 앞포크(7)는 아래쪽으로 전륜이 설치되는 요크(9)가 설치되어 있으며, 위쪽으로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경사 조절판(1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경사 조절판(11)의 내측에 핸들축(13)이 볼트(15)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경사 조절판(11)의 아래쪽에는 핸들축(13)을 록킹시켜 주기 위한 록킹핀(17)이 관통하여 있다.
상기 핸들축(13)에는 볼트(15)가 삽입되기 위한 구멍(19)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 조절판(11)에는 폭방향을 따라 볼트(15)가 삽입되기 위한 슬롯(21)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볼트(15)와 체결되어 핸들축(13)을 경사조절판 (11)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너트(23)가 이루어진다.
상기 볼트(15)에는 핸들축(13)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볼트(15)를 돌려주기 위한 조절레버(25)가 장착된다.
상기 슬롯(21)은 핸들축(13)이 록킹핀(17)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원호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조절레버(25)의 내주연에는 볼트(15)의 외주연에 결합된 관체(27)가 게재된다.
상기 볼트(15)와 너트(23)의 사이에는 경사 조절판(11)의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어 경사 조절판(11)과 핸들축(13)을 서로 밀착시켜 주기 위하여 와셔(29)(31)(33)가 게재된다
이에 따라 핸들(9)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려면 먼저 조절레버(25)를 일방으로 회전시켜 볼트(15)와 너트(23)의 결합을 해제시켜 준다.
상기 볼트(15)와 너트(23)의 결합이 해제되면 경사 조절판(11)과 핸들축(13)간에 서로 유격이 발생되고, 이때 운전자가 원하는 핸들(9)의 경사 각도가 되게 핸들축(13)을 록킹핀(17)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켜 준다.
상기 핸들축(13)이 소정 각도로 회전된 후 상기 조절레버(25)를 타방으로 회전시켜 주면, 볼트(15)가 너트(23)쪽으로 이동하면서 볼트(15)와 너트(23)가 체결되고, 상기 볼트(15)와 너트(23)가 체결됨에 따라 와셔(29)(31)(33)에 체결력이 전달되어 와셔가 경사 조절판(11)과 핸들축(13)을 밀착시켜 주면서 경사 조절판과 핸들축이 결합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핸들의 경사 각도를 운전자가 원하는 각도로 용이하면서도 빠른 시간내에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 진행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핸들이 전방으로 마련되어 있는 카트에 있어서, 앞 포크의 위쪽에는 일체로 형성되어 설치된 한쌍의 경사 조절판과; 상기 경사 조절판의 내측에 볼트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핸들축과; 상기 경사 조절판에는 폭방향을 따라 볼트가 삽입되기 위하여 형성된 슬롯과; 상기 볼트와 체결되어 핸들축을 경사 조절판에 고정시켜 주기 위한 너트와; 상기 볼트에 장착되어 볼트를 돌려주기 위한 조절레버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핸들축이 록킹핀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원호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와 너트의 사이에는 경사 조절판의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어 경사 조절판과 핸들축을 서로 밀착시켜 주기 위하여 와셔가 게재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03681U KR200159297Y1 (ko) | 1997-03-03 | 1997-03-03 | 카트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03681U KR200159297Y1 (ko) | 1997-03-03 | 1997-03-03 | 카트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59752U KR19980059752U (ko) | 1998-11-05 |
KR200159297Y1 true KR200159297Y1 (ko) | 1999-10-15 |
Family
ID=19496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03681U KR200159297Y1 (ko) | 1997-03-03 | 1997-03-03 | 카트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59297Y1 (ko) |
-
1997
- 1997-03-03 KR KR2019970003681U patent/KR20015929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59752U (ko) | 1998-11-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16720A (en) | Detachable electric drive unit for collapsible wheelchair | |
US5125468A (en) | Electric control for wheelchair drive unit | |
AU2001238273B2 (en) | Miniaturized motor vehicle | |
AU2001238273A1 (en) | Miniaturized motor vehicle | |
US3282365A (en) | Self-propelled golf cart | |
JPH0725377A (ja) | 個人用移動車 | |
US6302620B1 (en) | Manually operated, walk-behind, roadway roller | |
KR200159297Y1 (ko) | 카트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 | |
WO2012032771A1 (ja) | 自転車用キャリアの車輪保持装置 | |
JP3194326U (ja) | 自転車用キャリアの車輪保持装置 | |
US5540308A (en) | Parking lock for vehicle | |
JP3109484B2 (ja) | 電動車輛における回転シートのロック構造 | |
KR920010761B1 (ko) | 장애자용 셔틀 | |
JP4852748B2 (ja) | 車輪装置 | |
JP2002172143A (ja) | 電動アシスト装置付車椅子 | |
JPH10211146A (ja) | 作業台車 | |
JP2002035041A (ja) | 車椅子 | |
JP3658721B2 (ja) | 自走式作業車 | |
CN211167234U (zh) | 一种滑板车 | |
JP2002225718A (ja) | 多機能型電動車両 | |
JP3269753B2 (ja) | ステアリングワイヤテンショナー | |
JPS5943168Y2 (ja) | 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 | |
KR0140339Y1 (ko) | 운반기의 핸들링장치 | |
JPH0510018Y2 (ko) | ||
JPS6419572U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728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