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8692Y1 - 화분의 수분자동공급기 - Google Patents

화분의 수분자동공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8692Y1
KR200158692Y1 KR2019970031730U KR19970031730U KR200158692Y1 KR 200158692 Y1 KR200158692 Y1 KR 200158692Y1 KR 2019970031730 U KR2019970031730 U KR 2019970031730U KR 19970031730 U KR19970031730 U KR 19970031730U KR 200158692 Y1 KR200158692 Y1 KR 2001586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oil
chamber
fl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17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0030U (ko
Inventor
김이근
Original Assignee
김이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이근 filed Critical 김이근
Priority to KR20199700317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8692Y1/ko
Publication of KR9800000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00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86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8692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변이나 대형건물의 현관입구에 주로 설치되는 대형화분의 수분자동 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대형화분에서 수분자동공급장치가 없기 때문에 관리자가 다니면서 수시로 물을 공급해주고 있는 실정이나 이와 같은 공급은 많은 인건비 부담이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의 공급량이 일정하지 못하여 즉 과도한 양의 수분을 공급하면 꽃뿌리가 부식되고 적은 양의 수분을 공급하면 꽃뿌리가 고사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이의 고안요지는 통상의 대형화분(6)내에 매입되게한 물공급기몸체(1)의 주연부에는 다수의 흡입실(3)과 망판(4)이 있는 끼움판(2)의 걸림턱(2')을 끼움하되 끼움판의 흡입실(3)의 저면에는 미세한 다수의 돌기(2)와 통공(3')이 형성되고 끼움판(2)의 일측에는 수실(5)과 연통되는 주입관(5')을 설치하여 화분내의 흙을 담고 이 흙속에 꽃을 심음과 동시 물주입관(4)을 통해 수실(5) 내에 물을 장입하게되면 흡입실(3)내에 장입된 흙이 모세관 구실을 하면서 장시간에 걸쳐 수실(5)내의 수분을 흡입하여 그 상부에 있는 흙에 보내면 이 흙속에 심어져 있는 꽃뿌리가 수분을 자동으로 흡수할 수 있게한 것이다.

Description

화분의 수분자동공급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별도 실시예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1' : 돌기
2 : 끼움판 2' : 걸림턱
2 : 돌기 3 : 흡입실
3' : 통공 4 : 망판
5 : 수실 5' : 주입관
5 : 마개 6 : 화분
[산업상 이용기술 분야]
본 고안은 도로변이나 대형건물의 현관입구에 주로 설치되는 대형화분의 수분자동 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과 그 문제점]
종래의 대형화분의 화분내에 수분을 장기 저장하는 수분공급 장치가 없기 때문에 화초를 심은 후에 이에 심어진 화초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하여 규모가 큰 경우에는 별도로 관리인을 두고 수시로 수분공급을 실시하고 있는 방 이와 같이 물을 수시 송급하게 되면 공급시와 공급후에 있어 화초가 흡수하는 수분흡수량이 일정하지 못하여 성장에 지장이 있고 또한 수분공급이 정상화되지 못하시는 화초가 정상적인 수분을 공급받지 못하여 즉, 과도한 수분공급시는 뿌리가 부식되고 수분공급이 부족할시는 뿌리가 고사당하는 예가 허다히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이의 고안요지는 통상의 화분내에 매설되게 하는 수분공급기 몸체에 주연부에 다수의 흡입실과 통기만판이 있는 끼움판의 주연 걸림턱을 끼움하여 수실을 형성하고 수실의 일측에는 물주입관을 설치하여 이 주입관을 이용하여 수실내에 물을 주입시키고 화분내에는 흙을 담고 꽃을 심을 때 흙의 일부가 흡입실내의 장입되게 하면 수실내에 저장된 물은 끼움판에 형성된 모세관 구실을 하는 흡입실내의 흙을 통해 적당한 양을 흡입한 후 이를 화분에 담겨진 흙에 보내면 흙에 심어진 꽃뿌리가 수분을 흡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해결수단]
이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대형화분(6)내에 맨입될 수 있게한 수분공급몸체(1)의 저면에는 다수의 받침턱(1')이 형성되고 그 주연부에는 끼움판(2)의 주연에 형성된 걸림턱(2')이 걸림되면서 수실(5)을 형성하고 끼움판(2)의 표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흡입실(3)과 망판(4)이 형성되어 있으되 흡입실(3)의 저면에는 미세한 돌기(2)와 통공(3')이 형성되고 끼움판(2)의 일측에는 수실(5)과 연통되는 마개(5')가 있는 물주입관(5')이 설치되어진 것이다.
그리고 제3도는 본 고안의 끼움판(2)에 형성된 망판의 별도 실시예로서 끼움판(2)의 표면에는 표면이 만곡 돌출된 다수의 망판(104)이 형성된 것이다.
[본 고안의 작용]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화분의 수분자동 공급기로 사용하는 것인바 이를 사용할시는 제4도에 표시한바와 같이 화분(6)내 저면에 끼움판(2)이 덮힌 몸체(1)를 안치한 후 그 위에 흙을 체우며 흙의 일부가 흡입실(3)내 충입되어지게 한 후 꽃을 심는다.
이와 같이 꽃을 심은 후 호우스로서 화분에 물을 주거나 빗물이 화분에 고일시는 그 일부는 몸체(1)의 끼움판(2)에 형성된 흡입실(3)과 망판(4)을 통해 수실(5)내에 유입되고 나머지일부는 몸체(1)의 저면에 형성된 받침 돌기(1')를 통해 화분(6)의 저면 통공으로 배수되는 것이며 자동급수장치로 이용할시는 물주입관(5')을 통해 수실(5)내에 물을 장입한다.
이와같이 하게되면 수실(5)내에 있는 물은 망판(4)을 통해 공기를 흡수하므로서 수실(5)이 진공되는 현상이 생기지 않게 되고 화분(6)에 심어진 꽃의 뿌리는 흙속에 있는 수분을 흡수하게 되는바 이때 흙의 일부는 흡입실(3)에 장입되어 마치 모세관처럼 수실(5)내에 있는 물을 미세돌기(2) 및 통공(3')을 통해 흡입하여 위로 보내는 흡상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수실(5)내에 물은 장시간에 걸쳐 흡입실(3)의 흙을 통해 화분내에 담겨진 흙에 심어진 꽃뿌리에 공급하게 됨으로 종래처럼 화분에 소량의 물을 수시로 주지않고 대량의 물을 한 번준 후는 장시간 물을 주지않아도 이때에는 수실(5)내에 저장된 물이 흡입실(3)내에 흙을 통해 흡상되어 꽃뿌리에 자동공급하여 꽃나무의 정상적인 성장을 할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수분공급기몸체(1)를 대형화분내면에 안치시켜 그위에 흙을 채우고 꽃을 심은 상태에서 물주입관(5')을 통해 수실(5)내에 물을 장입 저장하면 수실내에 물은 흡입실(3)내에 장입된 흙이 모세관구실을 하면서 수실(5)내의 담긴 물을 흡입하여 화분(6)내의 흙속에 심어진 꽃뿌리에 서서히 자동공급할 수 있게 하였기 때문에 생력화는 물론 꽃나무의 정상적인 성장을 기할 수 있어서 매우 실용적이다.

Claims (1)

  1. 저면에 다수의 받침 돌기(1')가 있는 몸체(1)의 주연부에는 끼움판(2)의 주연 걸림턱(2')이 걸림되면서 수실(5)을 형성하고 끼움판(2)의 표면에는 통공(3')이 있는 다수의 흡입실(3)과 망판(4)이 형성되고 흡입실(3)의 저면에는 다수의 미세돌기(2)와 통공(3')이 형성되며 끼움판(2)의 일측에는 수실(5)과 연통되는 물주입관(5')이 설치되어진 화분의 수분자동 공급기.
KR2019970031730U 1997-11-03 1997-11-03 화분의 수분자동공급기 KR2001586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730U KR200158692Y1 (ko) 1997-11-03 1997-11-03 화분의 수분자동공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730U KR200158692Y1 (ko) 1997-11-03 1997-11-03 화분의 수분자동공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030U KR980000030U (ko) 1998-03-30
KR200158692Y1 true KR200158692Y1 (ko) 1999-10-15

Family

ID=19513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1730U KR200158692Y1 (ko) 1997-11-03 1997-11-03 화분의 수분자동공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869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030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98357B2 (ja) 底面灌水式プランター
KR200214155Y1 (ko) 화분
CN2234692Y (zh) 自动吸水式植物栽培盆
KR200158692Y1 (ko) 화분의 수분자동공급기
CN214155504U (zh) 一种用于裸露地盆栽绿化的一体式新型花盆
JPH0724039Y2 (ja) 着生植物用鉢
KR20020032504A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KR101380567B1 (ko) 화분용 급수기
KR200281182Y1 (ko) 저면관수를 이용한 식물재배 용기
KR200251469Y1 (ko) 저수조가 내장된 화분
KR200238318Y1 (ko) 물과공기 공급 기능을 갖는 요철형 화분받침
CN212573647U (zh) 一种均匀自动吸水的陶瓷花盆
JPH0438692Y2 (ko)
JP3084717U (ja) 植木鉢
CN214316362U (zh) 一种自浇灌的陶瓷自吸水花盆
KR20010002902A (ko) 모세관 현상을 이용한 화분의 급수장치
JP3029521U (ja) 植栽容器
CN210094085U (zh) 一种可持续缓慢释水的保水花盆
JP3027161U (ja) 植木鉢
RU6665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нутрипочвенного полива комнатных растений
KR200217113Y1 (ko) 식물 재배용 화분용기
KR200246716Y1 (ko) 화분 구조
KR200461612Y1 (ko) 분무기 화분
KR200238741Y1 (ko) 화분 급수장치
JP3027797U (ja) 植木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