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8450Y1 - 차량의 트렁크 보조 로킹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트렁크 보조 로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8450Y1
KR200158450Y1 KR2019950039811U KR19950039811U KR200158450Y1 KR 200158450 Y1 KR200158450 Y1 KR 200158450Y1 KR 2019950039811 U KR2019950039811 U KR 2019950039811U KR 19950039811 U KR19950039811 U KR 19950039811U KR 200158450 Y1 KR200158450 Y1 KR 2001584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wire
loaded
roller
loc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98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9672U (ko
Inventor
이혁중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398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8450Y1/ko
Publication of KR9700396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96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84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84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Landscapes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렁크 룸에 적재한 물품으로 인한 트렁크 리드의 닫힘이 완벽하지 못하는 경우 보조 로킹 장치로 트렁크 리드를 고정시키도록 한 차량의 트렁크 보조로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기술은 차량의 트렁크 룸에 적재되는 물품의 높이가 트렁크 룸(10)의 높이보다 높은 경우 트렁크 리드(11)을 별도의 끈으로 묶어 운행하므로 번거로울 뿐 아니라 외관상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고안은 트렁크 리드(11)의 내면후측에 스프링이 장착된 로울러(12)를 설치하고, 로울러(12)에 와이어(14)를 소정길이로 감고 와이어(14)의 단부에 후크(13)를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와이어(14)는 로울러(12)의 스프링의 탄성에 의하여 감긴 상태로 유지시킨다.
한편 트렁크 룸(10)는 내부후측에 상기 와이어(14)에 결합된 후크(13)는 대응되는 고리(15)를 부착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트렁크 룸의 사이로 보다 큰 물품을 적재한 경우에도 간편하고, 편리하게 트렁크 리드를 최대한 진동 등이 발생하더라도, 로울러에 장착된 스프링에 의하여 완충되므로 안전하게 물품을 운반할 수 있는 것임.

Description

차량의 트렁크 보조 로킹 장치
제1도는 종래의 트렁크 사용상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트렁크 사용상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상세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트렁크 사용상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트렁크 룸 13 : 후크
11 : 트렁크 리드 14 : 와이어
12 : 로울러 15 : 고리
본 고안은 차량의 트렁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렁크 룸에 적재한 물품으로 인한 트렁크 리드의 닫힘이 완벽하지 못하는 경우 보조 로킹 장치로 트렁크 리드를 고정시키도록 한 차량의 트렁크 보조 로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와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에는 트렁크 룸(10)의 트렁크 리드(11)의 닫힘을 방해하여 로크를 체결할 수 없어 별도의 끈을 준비하는 트렁크 리드(11)의 외주면을 감싸 트렁크 리드(11)을 고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차량의 트렁크 룸에 적재되는 물품의 높이가 트렁크 룸(10)의 높이보다 높은 경우 트렁크 리드(11)을 별도의 끈으로 묶어 운행하므로 번거로울 뿐 아니라 외관상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트렁크 룸에 적재하는 경우, 보조 로킹 장치를 유지할 수 셍한 차량의 트렁크 보조 로킹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트렁크 룸의 후측상단에 고리를 부착하고, 트렁크 리드의 내면후측에 스프링에 장착된 로울러를 설치하되, 로울러에 와이어를 권회하고, 와이어의 단부에 트렁크 룸의 고리와 대응되는 후크를 결합시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트렁크 리드(11)의 내면후측에 스프링이 장착된 로울러(12)를 설치하고, 로울러(12)에 와이어(14)를 소정길이로 감고 와이어(14)의 단부에 후크(13)를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와이어(14)는 로울러(12)의 스프링의 탄성에 위하여 감긴 상태로 유지시킨다.
한편 트렁크 룸(10)는 내부후측에 상기 와이어(14)에 결합된 후크(13)과 대응되는 고리(15)를 부착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트렁크 룸(10)에 트렁크 룸(10)의 높이보다 높이가 높은 물품을 적재하는 경우, 트렁크 룸(10)에 결합된 트렁크 리드(11)가 닫히지 못하고,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때 트렁크 리드(11)의 내면에 설치된 로울러(12)의 와이어(14)를 풀어 와이어(14)의 단부에 결합된 후크(13)를 트렁크 룸(10)에 형성된 고리(15)에 결합시켜 체결한다.
따라서 트렁크 리드(11)가 최대한 닫힌상태를 유지하므로 별도의 끈 등이 불필요할 뿐 아니라 , 간단하고, 편리하게 트렁크 리드(11)가 최대한 닫힌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차량은 운행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이 완료된 경우 고리(15)에 체결로 후크(13)를 해제하면, 로울러(12)의 스프링 탄성에 위하여 와이어(14)가 감기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로 트렁크 룸의 사이로 보다 큰 물품을 적재한 경우에도 간편하고, 편리하게 트렁크 리드를 최대한 진동 등이 발생하더라도, 로울러에 장착된 스프링에 위하여 완충되므로 안전하게 물품을 운반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내면후측에 스프링을 장착한 로울러를 설치하고, 로울러에 와이어를 권회시키되, 와이어의 단부에 후크를 부착한 트렁크 리드와 ; 상기 트렁크 리드의 와이어에 부착된 후크와 대응되게 내부후측 상부에 고리를 부착한 트렁크 룸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트렁크 보조 로킹 장치.
KR2019950039811U 1995-12-11 1995-12-11 차량의 트렁크 보조 로킹 장치 KR2001584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9811U KR200158450Y1 (ko) 1995-12-11 1995-12-11 차량의 트렁크 보조 로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9811U KR200158450Y1 (ko) 1995-12-11 1995-12-11 차량의 트렁크 보조 로킹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672U KR970039672U (ko) 1997-07-29
KR200158450Y1 true KR200158450Y1 (ko) 1999-10-15

Family

ID=19433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9811U KR200158450Y1 (ko) 1995-12-11 1995-12-11 차량의 트렁크 보조 로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845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672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2169A (en) Retractable auxiliary luggage case attachment and security tether mechanism and method
US5816185A (en) Ratcheting means for quickly securing a cover over a boat and the method of using the same
US5522409A (en) Collapsible vehicle cover
KR200158450Y1 (ko) 차량의 트렁크 보조 로킹 장치
US4659122A (en) Automobile trunk tie-down
US11130653B1 (en) Strap winding and storage device
GB2073306A (en) Luggage-carrier and fastener for vehicles
JP3777684B2 (ja) 荷台用線条部材巻取り装置及び荷台
JPS58188763A (ja) スペアタイヤカバ−部の開閉構造
KR19990020193A (ko) 승용차 뒷좌석 화물고정장치
JP2002068358A (ja) 自転車収納ケース
US3734365A (en) Back pack and fastener
KR200315429Y1 (ko) 중량물 인상 운반용 클램프
JP4150139B2 (ja) 自動車のラゲージルーム用トノボード
JPH0420254Y2 (ko)
KR100205182B1 (ko) 화물자동차의 화물 고정벨트
JPH0958934A (ja) 荷台用線条部材巻取り装置及び荷台
JPH0218794Y2 (ko)
JPH10225318A (ja) カバンの締付ベルトの連結装置
JPH04294740A (ja) パレット
JP3066363U (ja) 荷崩れ防止ベルト用収納袋
JP6868464B2 (ja) 自動二輪車の荷物積載装置
US3051302A (en) Garment carrier
JP2021097811A (ja) キャリーケース用物品収納袋
JPH0647294Y2 (ja) かば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