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7400Y1 - 충전기용 콘택단자의 구조 - Google Patents
충전기용 콘택단자의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57400Y1 KR200157400Y1 KR2019960067993U KR19960067993U KR200157400Y1 KR 200157400 Y1 KR200157400 Y1 KR 200157400Y1 KR 2019960067993 U KR2019960067993 U KR 2019960067993U KR 19960067993 U KR19960067993 U KR 19960067993U KR 200157400 Y1 KR200157400 Y1 KR 20015740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terminal
- contact
- charger
- holder
- circuit boar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폰과 같은 피 충전물을 충전함에 사용하는 충전기에 있어서 그 핸드폰과 전기적인 접점을 이루게 하는 접점단자를 변형이 없도록 개량한 충전기용 콘택단자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피 충전물과의 전기적인 회로구성을 이루게 제공되는 회로기판에는 지지턱부와 지지판을 일체로 갖는 콘택단자홀더를 고정하고, 상기 콘택단자홀더에는 콘택단자를 일체로 매설하여 어느일단은 회로기판측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반면, 타단은 상기 피 충전물과 전기적인 접점 상태를 이루게 하고, 또한 상기 콘택단자의 일부위에는 보강용비드를 설치한 것이다. 이에 의하여 상기 콘택단자는 상기 피충전물과의 접점작용시 용이하게 변형되는 일이 없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핸드폰등과 같은 피 충전물을 전기적으로 충전함에 사용하는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피 충전물과 전기적인 접점상태를 이루게 하는데에 사용하는 콘택단자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피 충전물과의 전기적인 접점작용을 행하는 콘택단자 본체와 그리고 그 콘택단자 본체를 지지하는 홀더를 개량한 충전기용 콘택단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폰과 같은 무선전화기들은 그 내부에 구비된 충전용 밧데리로부터 그 핸드폰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고 있다. 또한 상기 충전용 밧데리는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가 없기 때문에 일정 시간 사용에 따른 밧데리의 용량이 떨어지게 되면 필히 재 충전을 하여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상기 핸드폰과 같은 피 충전물들에는 그 피 충전물들의 내부에 설치된 밧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가 필히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충전기에는 핸드폰과 같은 피 충전물과 전기적인 회로 구성을 이루게 하는데에 제공되는 회로기판이 구비되어 있고, 또 상기 회로기판에는 그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홀더에 매설하여 어느일단부는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킨 상태를 이루게한 반면, 타단부는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를 이루도록한 콘택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드폰과 같은 피 충전물의 충전을 위하여 상기 충전기에 삽입하여 위치시키게 되는 경우, 그 피 충전물의 접점부위에 상기 콘택단자의 어느일단부가 전기적인 접점상태를 이루게 되면서 상기 피 충전물의 충전용 밧데리에 충전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고 있음이 일반적인 사실이다.
그러나 상기 핸드폰과 같은 피 충전물은 상기 충전기에 위치시키게 될시 대부분 그 충전기의 윗쪽에서 상기 콘택단자와 전기적인 접점을 이루도록 삽입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콘택단자는 피 충전물이 충전기의 내부에 진입된 상태에서는 그 피 충전물로부터 항시 강한 접촉 압력을 받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충전기를 장기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경우 상기 피 충전물로부터 콘택단자측으로 작용되는 압력으로 인해 상기 콘택단자가 수축변형 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인해 상기 피 충전물과 콘택단자와의 접점 상태역시 불량하게 되어 상기 피 충전물의 충전이 제대로 실해되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제반 결점들을 해소하고, 홀더에 지지된 콘택단자의 피 충전물과의 접점단부에는 보강용 비드를 설치한 것에 의해, 변형 발생을 적게하는 보강력을 갖게한 충전기용 콘택단자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홀더를 개량 한 것에 의해, 상기 콘택단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충전기용 콘택단자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피 충전물에 충전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회로가 인쇄된 회로기판을 갖는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콘택단자 홀더를 구비하고, 그 홀더에 일체로 매설되어 어느일단은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타단은 적어도 3개 이상의 절곡부를 이루게 형성되어 상기 피 충전물과 전기적인 접점을 이루도록 한 콘택단자 본체 ; 및 상기 콘택단자본체들의 피 충전물과의 접점단부에 그 콘택단자본체들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어느일측 표면으로 돌설한 보강용 비드들을 포함하는 충전기용 콘택단자 구조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에 따른 충전기용 콘택단자 구조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충전기용 콘택단자의 외관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충전기용 콘택단자가 충전기에 설치된 일예를 도 1의 Ⅰ-Ⅰ선 방향을 따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 단면도 이고,
도 3은 도 2의 Ⅱ-Ⅱ선 방향에 따른 부분 확대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충전기 12 : 삽입홀
30 : 콘택단자 홀더 32 : 지지턱부
34 : 지지판부 40 : 콘택단자 본체
42 : 접점단부 44a-44b : 절곡부
46a , 46b : 비드 50 : 피 충전물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충전기용 콘택단자의 외관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충전기용 콘택단자가 충전기에 설치된 일예를 도 1의 Ⅰ-Ⅰ선 방향을 따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3은 도 2의 Ⅱ-Ⅱ선 방향에 따른 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충전기용 콘택단자구조는 충전기(10)의 회로기판(20)에 고정된 콘택단자 홀더(30)에 매설된 콘택단자 본체(40)들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콘택단자 본체(40)들은 적어도 2개가 한쌍을 이루어 상기 콘택단자 홀더(30)의 양측 2개소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콘택단자 본체(40)의 구성은 모두 동일하여 이하에서는 어느 하나만을 일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콘택단자 본체(40)은 전기적인 통전이 가능하게 금속물질로서 소정의 탄성을 갖게 제작되며, 상기 콘택단자 홀더(30)의 성형시 양단은 상기 콘택단자 홀더(30)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를 이루게 매설된다.
상기 콘택단자 본체(40)의 어느 일단부는 상기 회로기판(20)과 전기적인 회로 구성을 이루게 접속되어 있는 반면, 그 타단부 즉 접점단부(42)는 상기 충전기(10)에 형성된 핸드폰과 같은 피 충전물(50)의 삽입공(12)의 저부측으로 자유롭게 위치된 상태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상기 피 충전물(50)을 상기 충전기(10)의 삽입공(12)측으로 삽입하게 되면 상기 콘택단자 본체(40)의 접점단부(42)가 상기 피 충전물(50)의 접점부에 전기적으로 접점되는 상태를 이루게 되어 상기 피 충전물(50)을 전기적으로 충전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콘택단자 본체(40)의 접점단부(42)는 상기 피 충전물(50)의 접점부와의 접촉성을 좋게 하기 위해 적어도 3개 이상의 절곡부들(44a∼44d)에 의하여 절곡된 형태를 이루게하고 있으며, 그 절곡부들(44a∼44d)의 어느 일측 표면으로는 보강력을 부여하는 비드들(46a, 46b)가 상기 콘택단자 본체(4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곡부들(44a∼44d)를 이루며 형성된 접점단부(42)는 상기 충전기(50)과 자주 접촉을 하게 되더라도 비드들(46a, 46b)에 의한 보강력 부여로 상기 접점단부(42)의 절곡부들(44a∼44d)를 항시 원래의 형태로서 유지되게 할 수가 있으므로, 상기 충전기(50)과의 접점상태를 항시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가 있다.
상기 홀더(30) 상단부의 어느일측 즉, 상기 제2절곡부(44b)와의 대향면에는 상기 접점단부(42)의 제2절곡부(44b)의 각도를 변형시키는 일이 없이 항시 원래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된 지지턱부(32)가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홀더(30)의 지지턱부(32)와의 반대측의 하부에는 지지판부(34)가 수평상태를 이루며 일체로 돌설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부(34)를 설치한 이유는 상기 접점단부(42)가 충전기(50)과 접점될시 그 접점단부(42)의 자유단부가 상기 지지판부(34)와 맞닿도록 함에 의하여, 그 접점단부(42)가 하부로 심하게 절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핸드폰과 같은 피 충전물(50)을 충전하고져 상기 충전기(10)에 형성된 삽입공(12)의 내부로 삽입하게 되는 경우, 상기 피 충전물(50)의 하부에 기히 형성된 미도시한 접점부위와 상치 충전기(10)의 내부에 설치된 콘택단자 본체(40)의 접점단부(42)와는 접점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 충전물(50)는 회로기판(2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이루는 상기 콘택단자 본체(40)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충전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피 충전물(50)을 충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충전기(10)의 삽입공(12)의 내부로 자주 삽입을 하게 되는 경우, 상기 홀더(30)에 지지된 콘택단자 본체(40)의 접점단부(42)는 상기 충전기(10)의 삽입공(12)를 통해 삽입되는 피 충전물(50)으로부터 접점압력을 받게 되고, 이때의 압력은 상기 접점단부(42)를 변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을 하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기 콘택단자 본체(40)의 접점단부(42)에 형성된 절곡부들(44a∼44d)의 일부에는 비드들(46a, 46b)를 형성하여 높은 텐션강도를 갖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콘택단자 본체(40)의 접점단부(42)는 상기 충전기(50)으로부터 접점압력을 받게 되더라도 용이하게 변형되는 일 없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충전기(50)과는 항시 밀착되는 접점 상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홀더(30)에 형성된 지지판부(34)는 그 콘택단자 본체(40)에 형성된 접점단부(42)가 피 충전물(50)의 가압력을 받게 될시 상기 홀더(30)의 하방을 향하여 심하게 내려가게 되는 것을 억제하여 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콘택단자 본체(40)의 접점단부(42)의 복원력은 상기 지지판부(34)에 의해서 지지되는 만큼 향상되게 되므로, 상기 피 충전물(50)이 상기 콘택단자 본체(40)의 접점단부(42)로부터 이격될시 신속히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면서 항시 피 충전물(50)과의 접점 상태를 양호하게 한다.
또 상기 홀더(30)에 형성된 지지턱부(32)는 상기 콘택단자 본체(40)을 홀더(30)에 조립할시 발생하게 되는 압력이나 혹은 상기 피 충전물(50)을 충전기(10)의 내부로 삽입하게 될시 발생하게 되는 압력이 상기 접점단부(42)에 형성된 제1절곡부(44a)에 미치게 되는 경우, 그 제1절곡부(44a)의 부위가 상기 압력으로 인해 하방을 향하여 변형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여 항시 원래의 각도를 유지하게 하므로서, 상기 접점단부(42)가 피 충전물(50)과의 접점 상태를 양호하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충전기(10)의 피 충전물(50)과 접점 상태를 이루게 설치한 콘택단자 본체(40)의 접점단부(42)에는 탄성강도를 높게한 비드들(46a, 46b)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접점단자(40)을 지지하는 홀더(30)에는 지지턱부(32)와 지지판부(34)를 설치한 것에 의해, 상기 콘택단자 본체(40)의 접점단부(42)를 최초의 상태로서 유지할 수 있게 하여, 항시 상기한 피 충전물과의 접촉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 피 충전물에 충전용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회로가 인쇄된 회로기판을 갖는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콘택단자 홀더를 구비하고, 그 홀더에 일체로 매설되어 어느일단은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타단은 적어도 3개 이상의 절곡부를 이루게 형성되어 상기 피 충전물과 전기적인 접점을 이루도록 한 콘택단자 본체; 및 상기 콘택단자본체들의 피 충전물과의 접점단부에 그 콘택단자본체들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어느일측 표면으로 돌설한 보강용 비드들을 포함하는 충전기용 콘택단자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단자 홀더에는 어느 하나의 절곡부들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부가 더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용 콘택단자의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단자 홀더에는 상기 콘택단자 본체들의 수축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일체로 형성한 지지판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용 콘택단자의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67993U KR200157400Y1 (ko) | 1996-12-31 | 1996-12-31 | 충전기용 콘택단자의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67993U KR200157400Y1 (ko) | 1996-12-31 | 1996-12-31 | 충전기용 콘택단자의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54795U KR19980054795U (ko) | 1998-10-07 |
KR200157400Y1 true KR200157400Y1 (ko) | 1999-09-15 |
Family
ID=19489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60067993U KR200157400Y1 (ko) | 1996-12-31 | 1996-12-31 | 충전기용 콘택단자의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57400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0591Y1 (ko) * | 2008-08-18 | 2010-10-14 | 주식회사 피앤이솔루션 | 바테리 충,방전용 지그의 전극편 구조 |
-
1996
- 1996-12-31 KR KR2019960067993U patent/KR20015740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54795U (ko) | 1998-10-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10257760A1 (en) | Smart key for vehicle | |
CN101436683B (zh) | 二次电池 | |
US6829495B2 (en) | Battery pack locking apparatus for a mobile telephone | |
KR200157400Y1 (ko) | 충전기용 콘택단자의 구조 | |
JP4212637B2 (ja) | 充電器 | |
CN212022355U (zh) | 充电桩、自动导引车以及充电系统 | |
KR960019902A (ko) | 무선마이크용의 충전기 | |
KR100408804B1 (ko) | 전지홀더 | |
JPH10334881A (ja) | 電源端子及びそれに接触する外部端子 | |
KR200248172Y1 (ko) | 휴대폰 충전기의 단자 고정구조 | |
JPH0588150U (ja) | 携帯無線電話機用充電器ホルダ | |
JPH07273849A (ja) | 充電端子構造 | |
JP2925887B2 (ja) | 充電装置 | |
JP2001035459A (ja) | 電池ケース | |
KR100418118B1 (ko) | 배터리 사용 기기용 리셉터클 | |
KR200219022Y1 (ko) | 휴대 전화기의 배터리 전원공급용 커넥터 | |
KR200237123Y1 (ko) | 핸드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용 배터리 접속단자구조 | |
KR970004567Y1 (ko) | 무선 전화기의 충전구조 | |
KR0140568Y1 (ko) | 콘넥터 | |
JPH11168836A (ja) | 充電器 | |
KR100267062B1 (ko) | 휴대 전화기용 전원 충전장치 | |
KR0116377Y1 (ko) | 고정장치의 충전구조 | |
KR200206626Y1 (ko) | 단말기의 충전 단자 구조 | |
KR200299043Y1 (ko) | 배터리-팩 충전장치의 어댑터 | |
KR19980020621U (ko) | 자석접촉부가 형성된 접촉단자를 포함하는 충전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0630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