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6377Y1 - 고정장치의 충전구조 - Google Patents

고정장치의 충전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6377Y1
KR0116377Y1 KR92000509U KR920000509U KR0116377Y1 KR 0116377 Y1 KR0116377 Y1 KR 0116377Y1 KR 92000509 U KR92000509 U KR 92000509U KR 920000509 U KR920000509 U KR 920000509U KR 0116377 Y1 KR0116377 Y1 KR 01163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radle
fixing device
magnet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05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8800U (ko
Inventor
이국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920005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6377Y1/ko
Publication of KR9300188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88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63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63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선전화기용 고정장치의 충전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전단자의 구조를 개선하여 휴대본체를 안정하게 세울 수 있도록 한 고정장치의 충전구조를 개시한다.
이 고정장치의 충전구조는 고정본체의 크래들에 관통공과 리브를 더 구비하고, 이 리브에 돌출부가 마련된 충전용 단자판과 절연지 및 자석을 차례로 삽입하여 크래들 저면과 자석상단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한다. 이에 따라 휴대본체에 외부의 충격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휴대본체를 확실하게 세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을 겸하게 되는 고정장치의 충전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고정장치의 충전구조
제 1 도의 (가)(나)는 종래 고정장치의 충전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 2 도의 (a)(b)(c)(d)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의 충전구조로서,
(a)(b)는 사용상태 종단면도
(c)는 (b)의 요부확대도
(d)는 (c)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크래들 1a : 관통공 1b : 리브 2 : 충전용 단자
2a : 돌출부 3 : 절연지 4 : 자석 5 : 접착제
10 : 고정본체
본 고안은 무선 전화기용 고정장치의 충전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충전단자의 구조를 개선한 고정장치의 충전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고정장치의 충전구조는 제 1 도 (가)(나)에 보인바와 같이, 상측에서 하방으로 요설하여 양측벽(12)을 크래들(11)과 이 크래들(11)의 하단저면에 요설된 리브(11a)에 부착고정된 충전용 판스프링(13)의 만곡형 돌출부(13a)가 크래들(11)의 관통공(11b)으로 현출되는 고정본체(10)와, 하단에 밧데리(22)와 연결되는 충전용 단자(21)가 부착된 휴대본체(20)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종래의 고정장치의 충전구조는 고정본체(10)의 크래들(11)에 휴대본체(20)를 세우면, 휴대본체(20)는 크래들(11)의 양측벽(11a)에 의하여 지탱이 되는 것이었다. 이때, 휴대본체(20)의 충전용단자(21)는 고정본체(10)의 충전용 판스프링(11)의 만곡형 돌출부(11a)와 접촉되어 충전전류가 통전되면서 휴대본체(20)의 충전용 단자(21)와 연결된 밧데리(22)에 충전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고정장치의 충전구조에 있어서는 고정본체(10)에 세워놓은 휴대본체(20)는 주로 크래들(11)의 양측벽(11a)에 의해서만 수직상태로 지탱되기 때문에,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에서 사용자의 실수에 의해 외부의 힘을 받게 될 경우에는 휴대본체(20)의 요동 및 심지어는 넘어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할 뿐만 아니라 휴대본체(20)와 고정본체(10)간에 충전시키기 위해서는 고정본체(10)간에 충전시키기 위해서는 고정본체(10)에 별도의 충전용 판스프링(13) 및 이를 고정시키기 위해 별도의 나사도 필요하여 제품의 제작단가가 부대적으로 높아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본체에 외부의 충격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휴대본체를 확실하게 세울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을 겸할 수 있도록 한 고정장치의 충전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무선전화기의 고정본체와 휴대본체를 구비한 고정장치의 충전구조에 있어서, 고정본체의 크래들에 관통공과 리브를 구비하고, 이 리브에 돌출부가 마련된 충전용 단자판과 절연지 및 자석을 차례로 삽입하여 크래들 저면과 자석 상단 사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의 충전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상술한 특징을 구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도에서, 본 고안에 따른 고정장치의 충전구조는 고정본체(10)의 크래들(1) 하단에 관통공(1a)과 리브(1b)를 구비하고 리브(1b)에 돌출부(2a)가 마련된 충전용 단자판(2)과 절연지(3) 및 자석(4)을 차례로 삽입하여 크래들(1)의 저면과 자석(4)의 상단사이에 접착제(5)를 부착한다.
고정본체(10)의 크레들(1)에는 예를 들어 그 하단에 2개의 직사각형 관통공(1a)을 천설하여, 크래들(1)의 하단저면에 직사각형 또는 원형의 리브(1b)를 돌출형성하여 그 내면에 상측으로 엠보싱에 의해 돌출부(2a)가 형성되어 니켈 도금된 2개의 ㄱ자형 충전용 단자판(2)을 서로 상응되게 끼워서 관통공(1a)으로 돌출부(2a)가 돌출되게 하고, 충전용 단자판(2)의 하단에 하나의 절연지(3)와 자석(4)을 차례로 삽입하여 크래들(1)의 2개 관통공(1a)사이의 저면과 자석(4)의 중간상단 사이에 접착제(5)를 도포하여 이를 부착되도록 하였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를 제 2 도의 (a)(b)(c)(d)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휴대본체(20)를 고정본체(10)의 크래들(1)에 안착시, 휴대본체(20)의 하단에 부착되어 니켈도금된 충전용단자(21) 및 밧데리(22)는 고정본체(10)의 크래들(1) 하단에 설치된 자석(4)의 자력에 의해 크래들(1)에 부착되어 외부의 요동등에도 휴대본체(20)는 안정하게 안착됨과 동시에 휴대본체(20)의 충전용 단자(21)는 고정본체(10)내지 충전용 단자판(2)에 각각 접촉되어짐으로써, 충전전류가 통해져 충전회로를 구성하는 것이다. 한편, 충전용 단자판(2)의 돌출부(2a)에 의해 충전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여러가지 설계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무선전화기의 고정본체와 휴대본체를 구비한 고정장치의 충전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본체의 크래들에 관통공과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리브에 돌출부가 마련된 충전용 단자판과 절연지 및 자석을 차례로 삽입하여 크래들 저면과 자석 상단 사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의 충전구조.
KR92000509U 1992-01-16 1992-01-16 고정장치의 충전구조 KR01163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0509U KR0116377Y1 (ko) 1992-01-16 1992-01-16 고정장치의 충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0509U KR0116377Y1 (ko) 1992-01-16 1992-01-16 고정장치의 충전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800U KR930018800U (ko) 1993-08-21
KR0116377Y1 true KR0116377Y1 (ko) 1998-05-15

Family

ID=19327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0509U KR0116377Y1 (ko) 1992-01-16 1992-01-16 고정장치의 충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637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800U (ko) 199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9495B2 (en) Battery pack locking apparatus for a mobile telephone
US4558396A (en) Display device for portable type electrical equipment
KR0116377Y1 (ko) 고정장치의 충전구조
US5519776A (en) Cordless telephone with battery charger
US20040145872A1 (en) Battery-locking mechanism
JPH0348707B2 (ko)
KR100422474B1 (ko) 단일슬롯 방식의 휴대폰용 배터리 충전장치
JPH08203486A (ja) 電源端子装置
KR200172349Y1 (ko) 무선전화기용 충전기의 충전 단자장치
JPH11127231A (ja) 移動電話機用交流充電器
JP3761610B2 (ja) 充電端子装置
KR100370649B1 (ko) 휴대 기기용 충전기
KR200239833Y1 (ko) 스프링커넥터핀
KR200359958Y1 (ko) 단락 방지 기능을 갖는 휴대폰 배터리 및 이에 적합한충전 거치대
KR200286625Y1 (ko) 데스크 충전기의 바테리 팩 록킹장치
KR900002581A (ko) 휴대용 무전기 충전장치를 가지는 무선 통신기
KR860002419Y1 (ko) 계산기가 부설된 전화기
KR100256924B1 (ko) 휴대전화 충전장치의 충전물 고정판 구조와 고정 브라켓트 구조
JPH11168836A (ja) 充電器
KR200157400Y1 (ko) 충전기용 콘택단자의 구조
KR200359957Y1 (ko) 단락 방지 기능을 갖는 휴대폰 배터리
KR970004566Y1 (ko) 무선 전화기의 핸드폰 고정구조
KR970004567Y1 (ko) 무선 전화기의 충전구조
KR10058576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구조
KR19980047592U (ko) 무선전화기의 충전기의 멀티 포인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