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8804B1 - 전지홀더 - Google Patents

전지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8804B1
KR100408804B1 KR1019960060182A KR19960060182A KR100408804B1 KR 100408804 B1 KR100408804 B1 KR 100408804B1 KR 1019960060182 A KR1019960060182 A KR 1019960060182A KR 19960060182 A KR19960060182 A KR 19960060182A KR 100408804 B1 KR100408804 B1 KR 100408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fixing
terminal
holder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0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6568A (ko
Inventor
료지 다나까
Original Assignee
교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80006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6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8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88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30Preventing polarity revers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반형의 버튼형 전지를 수용하는 요부주벽의 전측에 설치된 고정부에 의해 전지의 전측 상부를 고정하고 요부의 뒤측에 설치된 고정수단에 의해 전지의 뒤측상부를 고정하고, 전지가 요부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전지홀더에 관한 것으로, 요부저면에 장착저면에 장착시킨 제 1단자의 접촉부가 전지의 하면(음극)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요부의 전측에 장착된 제 2단자의 접촉부가 전지의 외주면 전측(양극)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요부의 저판에 설치된 역삽입방지수단은 전지가 앞과 뒤를 잘못하여 반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지홀더
본 발명은, 원반형을 한 버튼형 전지를 수용보지(保支)하는 전지홀더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소형 전자기기 등에는, 리튬전지등 원반형의 버튼형 전지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버튼형 전지의 전지홀더는 소형, 경량(輕量), 박형의 형상이고, 강성(剛性)이 높고, 전지를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수용한 전지가 튕겨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전지를 양극과 음극을 반대로 삽입할 수 없는 것이 필요하다. 또, 프린트기판에 용이하게 취부되는 것도 필요하다. 이와 같은 전지홀더로서, 예를 들자면 일본 특공평 3-40464호공보, 일본 실개평 5-20260호 공보에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전지홀더는 구조상 수용한 전지가 빠지지 않도록 강고하게 보지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제조라인에 있어서 전자기기에 전지를 넣고 벨트 콘베이어로 운송하는 공정에서, 벨트 콘베이어의 진동에 의해 기기가 진동했을 때 홀더내의 전지가 빠질 염려가 있다. 또한, 휴대시에 기기를 떨어뜨리거나, 혹은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전지가 전지홀더에서 빠지거나, 혹은 순간적으로 움직여서 접촉점에서 떨어져, 전원이 꺼지는 일이 있다. 그리고, 전원이 꺼지면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내용이 지워져 버릴 염려가 있는 등의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원반형의 버튼형 전지를 확실하게 수용보지하고, 또 전지의 교환이 용이하며, 소형, 경량, 박형이고, 더욱이 강성이 높은 전지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원반형의 전지를 착탈할 수 있게 수용하는 요부(凹部) 주벽에 설치되어 상기 전지의 전측 상부를 압착시켜 전지를 고정하는 전지 고정부와, 상기 요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지의 뒤측 상부를 압축시켜 전지를 고정하는 전지 고정수단과, 상기 요부 저판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와 협력하여 상기 전지가 앞과 뒤가 반대로 삽입되는 것을 저지하는 역삽입방지수단을 갖는 홀더 본체와, 상기 저판에 설치되고, 상기 전지의 하면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이 전지를 상기 고정부 및 고정수단에 압부(押付)하는 제 1단자와, 상기 주벽에 설치되고, 상기 전지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함께 상기 전지를 상기 고정수단에 압부(押付)하는 제 2단자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 의해 설명한다.
(실시예 1)
제 1도 내지 제 3도는, 본 발명에 관련한 전지홀더를 도시한 것이다. 전지홀더(1)는 원반형의 버튼형전지를 수용하는 홀더 본체(2)와, 이 홀더 본체(2)내에 취부된 제 1단자(예를 들어, 음극단자)(3)와, 제 2단자(예를 들어, 양극단자)(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 4도 내지 제 7도는, 홀더 본체(2)를 도시한 것이다. 홀더 본체(2)는, 버튼형 전지를 수용하는 요부(10)의 주위에 전주에 걸쳐 주벽(11)이 형성되어 있다. 주벽(11)의 좌우양측의 내면에는, 절결(홈)(11a,1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이하「전측」이라 함)의 내면에는, 절결(11c)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절결(11a∼11c)의 저판(12)에는, 절결(11a∼11c)보다도 폭이 좁은 장공(長孔)(슬릿)(12a∼12c)이 설치되어 있다. 저판(12)의 하면에는 구멍(12a∼12c)의 개구단에서 외주면까지, 단자(3,4)의 판두께 정도의 슬릿(얇은 구)(12a'∼12c')가 형성되어 있다(제 6도). 슬릿(12a'∼12c')의 상면은, 외주면측을 향하여 테이퍼(taper)상으로 일단락되어 단자(3)의 접속부(3c, 3d), 단자(4)의 접속부(4c)를 양호하게 절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제 5도, 제 7도). 저판(12)에는, 절결(11c)과 근소한 간극으로 지지부(12d)가 서로 마주보고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부(12d)에는 거의 중앙에서 하면까지 슬릿(12e)가 설치되어 있다(제 5도).
주벽(11)의 상단에는, 좌우의 절결(11a, 11b)과 전측의 절결(11c)과의 사이에, 고정부(11d, 11e)가 내방향, 또는 저판(12)과 평행하게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저판(12)에는, 고정부 11d와 고정부 11e의 사이, 또 지지부(12d)로 부터 중앙측의 소정위치에 횡장공(橫長孔)(12f)이 설치되어 있다. 구멍(12f)의 개구단의 전면(12f')은, 전지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원호상으로 되어 있다. 구멍(12f)의 개구단의 전연(12f')은 지지부(12d)까지 순차적으로 높게 되는 단차부(12g, 12h)에 의해 층이 두텁게 되어 있다(제 7도). 그리고. 구멍(12f)과 단차부(12g)에 의해 층이 두텁게 된 개구단의 전연(12f')에 의해, 전지의 앞과 뒤를 반대로 삽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삽입방지기구가 형성된다. 훅(12i)은 저판(12)의 뒤측(절결11a,11b을 끼우고 지지부(12d)와 반대측)의 소정위치에, 지지부(12d)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다. 훅(12i)은, 주벽(11)과 같은 높이로 되어 있다. 이 훅(12i)은 고정부(11d, 11e)와 협력하여 요부(10)내에 수용하는 전지의 탈락을 방지한다.
저판(12)에는, 대략 중앙에서 훅(12i)의 근방까지 테이퍼(taper)상으로 깊어지는 요부(12k)가 설치되어 있다. 주벽(11)의 훅(12i)측의 고정부(11d, 11e)와 서로 마주보는 내면(11f, 11f)은 하단근방에서 상단까지 약간 테이퍼(taper)상으로 넓혀지고 있다. 또, 저판(12)의 하면에는 위치결정용 돌기(12m, 12n)(제 6도)가 설치되어 있다. 돌기 12m와 돌기 12m은 외경이 다르고, 프린트 기판에 취부될 때, 잘못 취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홀더 본체(2)는, 전기적으로 절연성을 갖는 합성수지 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훅(12i)은 탄성을 갖고, 지지부(12d)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만곡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더우기, 위치 결정용 돌기(12m, 12n)는 상술한 바와 같이 쌍방의 외경을 다르게 해도 좋고, 또는 어느 한쪽의 돌기를 길게 하거나, 혹은 종(縱)방향으로 배치해도 좋다. 또한, 돌기의 수는 2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3개의 돌기를 삼각형상으로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제 8도 내지 제 10도는, 제 1단자(3)를 도시한 것이다. 이 단자(3)는, 평판부(3a)의 중앙부 일측에 접촉부(3b, 3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자(3)는 양단에 평판부(3a)보다도 폭이 좁은 접속부(3c,3d)가 형성되어 있다. 평판부(3a)의 양단에는 일측에 고정후크(3e, 3f)가 설치되어 있다. 평판부(3a)는 중앙부(3a')가 접촉부(3b,3b)와 반대측에 원호상으로 팽창되어 폭이 넓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중앙부(3a')의 면적을 확대함으로써 흡반(吸盤)에 의한 흡착(吸着)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로보트를 사용한 단자(3)의 자동조립이 가능하게 된다. 접속부(3c)의 평판부(3a)가 연결되는 부분 근처의 양측에 홈(3g, 3g)이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이러한 홈(3g, 3g) 사이에 얇은 구(3h)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접속부(3c)는 구(3h)의 한 곳에서 외측방향으로 직각으로 용이하게, 또 정확하게 절곡할 수 있다. 접속부(3d)도 접속부(3c)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평판부(3a)에는 전지의 극성(음극)을 표시하는 마크가 새겨져 있다. 이 단자(3)는 탄성을 갖는 도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접속부(3c)의 절결(3g, 3g) 사이의 구(3h)는,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니라, 양측의 절결(3g, 3g)만으로도 용이하게 절곡할 수 있다.
제 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3)는, 평판부(3a)(제 8도)의 양단이 제 4도에 나타낸 홀더 본체(2)의 좌우의 절결(11a, 11b)에 감입된다. 접속부(3c,3d)가 구멍(12a, 12b)으로 통한다. 그리고, 양단의 멈춤(係止)후크(3e, 3f)가절결(11a,11b)에 설치된 구멍(11g,11h)에 삽입되어 빠지지 않도록 보지된다(제 1도, 제 2도). 양측의 접속부(3c,3d)는, 구(3h) 부분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슬릿(12a', 12b') (제 6도)를 통하여 외방향으로 신장된다. 그리고, 이들 접속부(3c,3d)의 하면은 홀더 본체(2)의 하면과 같은 높이의 면으로 된다 (제 3도). 또, 평판부(3a)의 접촉부(3b,3b)는 저판(12)의 요부(12k)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 1도, 제 2도). 이 요부(12k)는, 접촉부(3b,3b)가 굽을 경우의 스페이스로 된다.
제 11도 내지 제 13도는, 제 2단자(4)를 도시한 것이다. 단자(4)는 원호상으로 만곡된 접촉부(4a)의 중앙이 일측에 철상(凸狀)으로 팽창하여 지지부(4b)로 되어 있다. 이 지지부(4b)의 하부에 접촉부(4c)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4c)의 부근(付根) 근처에는 양측부에 절결(4d, 4d)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절결(4d, 4d) 사이에 얕은 구(4c)가 설치되어 있다. 접속부(4c)는 구(4e)의 위치에서 외측방향으로 직각으로 용이하고 정확하게 절곡할 수 있다. 지지부(4b)의 중앙에는 고정후크(4f)가 돌출함에 따라 내방향으로 향하고, 또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향하여 열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단에는 고정용 돌기(4g)가 내방향을 향하여 팽창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단자(4)는 단자(3)와 동일하게, 탄성을 갖는 도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더우기, 접속부(4c)의 절결(4d, 4d)간의 얕은 구(4e)는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니라, 양측의 절결(4d, 4d)만으로도 용이하게 절곡할 수가 있다.
단자(4)는 중앙의 지지부(4b)가 제 4도에 도시한 홀더 본체(2)의 절결(11c)과 지지부(12d)의 사이에 통해지고 있다. 또, 접속부(4c)가 구멍(12c)을 통하고 있다. 또, 고정후크(4f)가 지지부(12d)의 슬릿(12e)에 넣고 빠지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단의 돌기(4g)는, 지지부(12d)에서 지지부(4b)의 진동을 방지한다. 접속부(4c)는 구(4e)의 부분에서 외측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되고, 슬릿(12c')를 통하여 외방향으로 신장한다. 이 접속부(4c)의 하면은 홀더 본체(2)의 하면과 같은 높이의 면으로 된다 (제 2도). 이와같이 해서, 전지홀더(1)가 구성되어 있다. 이 전지홀더(1)는 프린트기판(도시하지 않음)에 취부된다. 그리고, 단자(3)의 접속부(3c,3d), 및 단자(4)의 접속부(4c)가 프린트기판의 회로패턴에 납땜에 의해 접속되어 고정된다. 전지홀더(1)는, 접속부(3c, 3d, 4c)의 하면이 홀더본체(2)의 하면과 동일한 높이의 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프린트기판에 밀착하여 고정된다.
이하, 작용을 설명한다.
제 14도(a)에 2점쇄선으로 나타낸 버튼형 전지(6)는, 상면(6a)과 외주면(6b)이 양(+)극, 하면(6c)이 음(-)극으로 되어 있다. 이 전지(6)는 같은 도면(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홀더 본체(2)의 요부(10)에 앞과 뒤가 바른 방향(순방향)으로 삽입된다. 이 때, 전지(6)의 전측이 요부(10)의 좌우 고정부(11d, 11e)와 저판(12) 사이에 삽입되고, 외주면(6b)이 단자(4)의 접촉부(4a)에 삽입된다. 그리고, 전지(6)가 삽입되면, 외주면(6b)이 단자(4)의 접촉부(4a)를 밀어 펼치고, 같은 도면(b)와 같이 하면(6b)의 전단이 단차부(12g)의 상면을 미끄러지면서 이동한다. 또, 외주면(6b)의 하단이 단차부(12h)의 상면을 미끄러지면서 이동한다. 동시에 외주면(6b)의 후연부가, 훅(12i)을 후방향으로 밀고 만곡하면서 요부(10) 내에 삽입된다. 또, 전지(6)의 하면(6c)이 단자(3)의 접촉부(3b, 3b)에 삽입되고, 이들 접촉부(3b,3b)를 밀어낸다.
전지(6)를 삽입하여 요부(10) 내에 완전하게 밀어 넣으면, 같은 도면(c)에 나타난 바와 같이 훅(12i)이 탄성에 의해 원래의 위치에 복귀하고, 고정후크(12j)가 상면(6a)의 후면부의 중앙부를 고정한다. 또, 전지(6)의 상면(6a) 전측은, 좌우양측이 고정부(11d, 11e)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전지(6)는, 하면(6c)이 단자(3)의 접촉부(3b, 3b)에 접촉하고, 외주면(6b)의 전측이 단자(4)의 접촉부(4a)에 접촉하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지(6)는 단자(3)의 접촉부(3b,3b)의 탄성력에 의해 밀어올릴 수 있다. 그리고, 전지(6)의 상면(6a)이 고정부(11d,11e), 및 훅(12i)의 고정후크(12j)에 압부될 수 있고, 외주면(6b)의 뒤측이 단자(4)의 접촉부(4a)의 탄성력에 의해 훅(12i)에 압부될 수 있다. 훅(12i)은 홀더 본체(2)에 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변형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전지(6)는 홀더 본체(2)의 요부(10)에서 탈락하지 않고 확실하게 보지된다.
제 14도(c)와 같이, 전지홀더(1)에 장착되어 있는 전지(6)를 꺼낼 경우에는, 훅(12i)의 상단을 화살표와 같이 후방향으로 밀어내어 만곡시키고, 멈춤후크(12j)를 전지(6)의 상면부로 부터 떨어뜨린다. 전지(6)는 고정후크(12j)로 부터 떨어지면, 단자(3)의 접촉부(3b, 3b)의 탄성력에 의해 밀어올릴 수 있고, 홀더 본체(2)의 요부(10)로부터 압출된다. 이 때 주벽(11)의 훅(12i)측의 내주면(11f, 11f)(제 1도) 개구단측이 확장 되기 때문에, 전지(6)가 나오기 쉽게 된다. 이에 따라, 간단하게 전지(6)를 꺼낼 수 있다.
또, 전지(6)가 제 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홀더(1)의 요부(10)에 앞과 뒤가 반대로 삽입되고, 좌우의 고정부(11d, 11e)와 저판(12)과의 사이에 압입되면, 고정부(11d, 11e)에 의해 상방향으로 올라가는 것이 저지된다. 이 때문에 전지(6)의 전연부(6a')가 저판(12)에 설치되어 있는 구멍(12f)에 떨어지고, 전진이 저지된다. 게다가, 구멍(12f)의 재구단전연(12f')은 단차부(12g)에 의해 높게 되어 있기 때문에 만일 구멍(12f)을 통과하는 일이 있더라도 전지(6)의 전면부(6a')를 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지(6)는, 앞과 뒤가 반대로 삽입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실시예 2)
제 16도 내지 제 17도에 본 발명의 전지홀더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다. 또, 도면 중 실시예 1과 동일부품 또는 상당하는 부품에는,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 16도 및 제 17도에 있어서, 저판(12)에는, 전지를 반대로 삽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편(12p)이 이 저판(12) 중앙에, 거의 중앙위치에서 전측을 향하여 소정의 길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편(12p)의 선단에 고정후크(12q)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편(12p)를 부근(付根) 부분이 저판(12)에 연결되어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선단측이 전측을 향하여 비스듬히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편(12p)은, 전지가 요부(10) 내에 앞과 뒤를 바르게 (순방향으로) 삽입될 때에는, 이 전지의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전지가 앞과 뒤를 반대로 해서 삽입되었을 때에는, 고정후크(12q)가 전지의 전연부를 고정하고, 요부(10) 내에 삽입되는 것을 저지한다.
또, 요부(10)의 측벽(11)의 뒤측 거의 중앙에는, 훅단자(13)가 취부되어 있다. 이 훅단자(13)는 탄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훅단자(13)는, 양측부(13a, 13b)가 주벽(11)에 설치된 수용부(11i)에 수납된다. 또, 고정편(13e)이 하부중앙에서 상방향으로 향하고, 또는 외방향으로 향하여 열리게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편(13e)은 주벽(11)에 설치된 슬릿(11j)에 넣어져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단의 중앙부(13c)가 내방향으로 거의 역 L자상으로 구부러져 있고, 고정후크(13d)로 되어 있다. 이 훅단자(13)는, 단자(3,4)와는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절연되어 있다.
훅 단자(13)는 요부(10)에 전지를 삽입할 때에 고정후크(13d)가 후방향으로 밀어낸다. 이 때 양측부(13a, 13b)가 탄성력에 대항하여 만족하고, 전지의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훅 단자(13)는 전지가 요부(10)에 삽입된 후, 양측부(13a, 13b)가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에 복귀한다. 그리고, 고정후크(13d)가 전지의 상면 후면중앙부를 고정하고 빠지지 않도록 보지한다. 요부(10) 내의 전지를 취출할 때에는, 고접후크(13d)를 후방향으로 밀어 전지로부터 분리시킨다. 전지는 고정후크(13d)가 벗어지면, 단자(3)의 접촉부(3b)의 탄성력에 의해 요부(10)로 부터 압출된다.
또, 전지의 역삽입방지수단은 상술한 구조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시예 1에 있어서, 저판(12)에 설치한 구멍(12f)만으로도 좋다. 혹은 구멍(12f)에 대신하여 저판(12)에 돌기를 설치해도 좋다.
제 18도 내지 제 20도에 본 발명의 전지홀더의 제 3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를 나타낸다. 즉, 도면 중 실시예 1과 동일부품 또는 상당하는 부품에는,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3)
제 18도에 도시한 실시예 3에 있어서는, 훅(12i)의 상단에 돌기(12p)가 설치되어 있고, 훅(12i)을 화살표 방향으로 구부릴 때 돌기(12p)에 후크를 걸 수 있고, 용이하게 구부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지의 취출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또, 전지를 역삽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멍(12f)의 개구단(12f')의 전연(前緣)을 올리지 않고 단차부(12h)에 연설한다.
전지홀더(1)의 요부(10)에 전지(6)를 바르게 삽입하는 경우, 및 요부(10)에서 전지(6)를 꺼내는 경우의 동작은, 제 14도에 나타낸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다. 전지(6)가 전지홀더(1)의 요부(10)에 앞과 뒤가 반대로 삽입되고, 좌우의 고정부(11d,11e)와 저판(12)과의 사이에 삽입되면, 고정부(11d, 11e)에 의해 상방향으로의 부상이 저지된다. 이 때문에 전지(6)의 전면부(6a')가 구멍(12f)에 떨어저 들어가고, 개구단(12f')에 의해 멈춰 전진이 저지된다. 이 때, 전지(6)를 무리하게 압입되고, 전면부(6a')가 개구부(12f')에서 벗어나 안으로 압입된 경우에는, 전연부(6a')가 단차부(12h)에 정지되어(係止) 삽입이 저지된다. 이에 따라 전지(6)는 앞과 뒤가 반대로 삽입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실시예 4)
제 19도에 나타낸 실시예 4에 있어서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훅(12i)의 상단에 돌기(12p)가 설치되어 있고, 전지의 취출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전지를 역삽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멈춤수단으로서 상기 구멍(12f) 대신에 구(12q)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12q)는 저면이 전지의 삽입측으로부터 단차부(12h)측을 향하여 테이퍼(taper)상으로 하여 깊어지도록 형성되고, 개구단면(12q')이 대략 수직으로 올라서고 있다. 이와 같이 구(12q)로 한 것에 의해, 성형성이 향상된다.
전지홀더(1)의 요부(10)에 전지(6)를 바르게 삽입하는 경우, 및 요부(10)에서 전지(6)를 빼 낼 경우의 동작은, 제 14도에 나타낸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다. 전지(6)가 전지홀더(1)의 요부(10)에 앞과 뒤가 반대로 삽입되고, 좌우의 고정부(11d, 11e)와 저판(12)과의 사이에 압입되면, 고정부(11d, 11e)에 의해 상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저지된다. 이 때문에 전지(6)의 전면부(6a')가 구(12q)에 함락되고, 전단면(12q')에 의해 정지되어 전진이 저지된다. 이 때, 전지(6)가 무리하게 압입되어, 전면부(6a')가 전단면(12q')으로 부터 벗어나서 안으로 압입된 경우에는, 전면부(6a')가 단차부(12h)에 의해 멈추고 삽입이 저지된다. 이에 따라 전지(6)는 앞과 뒤가 반대로 삽입되는 것이 확실하게 저지된다.
(실시예 5)
제 20도에 나타낸 실시예 5에 있어서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훅(12i)의 상단에 돌기(12p)가 설치되어 있고, 전지의 취출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전지를 역삽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멈춤수단으로서, 실시예 1, 실시예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구멍(12f), 실시예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12q)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즉, 전지의 역삽입방지수단은 요부(10)의 끝에 설치되어 있는 단차부(12h)만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단순하게 단차부(12h)를 형성하는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게 되고, 성형성이 향상된다.
전지홀더(1)의 요부(10)에 전지(6)를 바르게 삽입하는 경우, 및 요부(10)로 부터 전지(6)를 빼낼 경우의 동작은, 제 14도에 나타낸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다. 전지(6)가 전지홀더(1)의 요부(10)에 앞과 뒤가 반대로 삽입되고, 좌우의 고정부(11d, 11e)와 저판(12)과의 사이에 압입되면, 고정부(11d, 11e)에 의해 상방향으로의 부상이 저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전지(6)가 삽입하기 어렵게 되거나, 역삽입이라고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전지(6)를 또 안으로 압입하면, 전연부(6a')가 단차부(12h)에 의해 정지되어 삽입이 저지된다. 이에 따라 전지(6)는 앞과 뒤가 반대로 삽입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차부(12g)를 없애는 것으로, 전지의 고정부(11d, 11e)와 저판(12)과의 사이의 간극(높이)을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하는 전지의 방법이 변경되고 그 두께가 두껍게 된 경우더라도 전지홀더의 착탈이 용이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홀더 본체의 전지를 수용하는 요부 주벽에 의해 전체의 강성이 향상되고, 전지홀더를 보다 박층, 소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홀더 본체에 전지의 탈락을 방지하는 고정수단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부품점수의 저감 및 조립공수의 저감을 도모한다. 또,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 간단한 구조이고, 게다가 전지의 탈락 및 앞과 뒤가반대로 삽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 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지홀더의 실시예1의 평면도,
제 2도는 제 1도의 전지홀더의 Ⅱ-Ⅱ선 단면도,
제 3도는 제 1도의 전지홀더의 Ⅲ-Ⅲ선 단면도,
제 4도는 제 1도에 도시한 전지홀더의 홀더 본체의 평면도,
제 5도는 제 4도의 홀더 본체의 Ⅴ-Ⅴ선 단면도,
제 6도는 제 4도의 홀더 본체의 저면도,
제 7도는 제 4도의 홀더 본체의 Ⅶ-Ⅶ선 단면도,
제 8도는 제 1도에 도시한 전지홀더의 제 1단자의 평면도,
제 9도는 제 8도에 도시한 제 1단자의 정면도,
제 10도는 제 8도에 도시한 제 1단자의 측면도,
제 11도는 제 1도에 도시한 전지홀더의 제 2단자의 정면도,
제 12도는 제 11도에 도시한 제 2단자의 평면도,
제 13도는 제 12도의 제 2단자의 Ⅷ-Ⅷ선 단면도,
제 14도는 제 1도에 도시한 전지홀더에 전지를 바르게 삽입하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
제 15도는 제 1도에 도시한 전지홀더에 전지를 앞과 뒤가 반대로 삽입하는경우의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
제 16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지홀더의 실시예 2의 평면도,
제 17도는 제 16도의 전지홀더의 ⅩⅤⅡ - ⅩⅤⅡ선 단면도,
제 18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지홀더의 실시예 3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전지를 앞과 뒤가 반대로 삽입하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
제 19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지홀더의 실시예 4의 단면도로서, 전지를 앞과 뒤가 반대로 삽입하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
제 20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전지홀더의 실시예 5의 단면도로서, 전지를 앞과 뒤가 반대로 삽입하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Claims (4)

  1. 전지홀더에 있어서,
    원반형의 전지를 착탈할 수 있도록 수용하는 요부의 주벽에 설치되어 상기 전지의 전측 상부를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요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지의 뒤측 상부를 고정하는 고정수단, 및 상기 요부의 저판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와 협력하여 상기 전지가 앞과 뒤가 반대로 삽입되는 것을 저지하는 역삽입방지수단을 가지는 홀더 본체;
    상기 요부의 저판에 설치되고, 상기 전지의 하면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이 전지를 상기 고정부 및 고정수단에 압부하는 제 1 단자; 및
    상기 요부의 주벽에 설치되고, 상기 전지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전지를 상기 고정수단에 압부하는 제 2단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홀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저판에 일체로 입설되고 상단에 상기 전지의 상연부를 고정하는 고정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전지의 교환전지홀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삽입방지수단이 상기 저판의 전측 근처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와협력하여 상기 요부에 앞과 뒤가 반대로 삽입된 전지의 전단을 함락시키는 구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홀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삽입방지수단이 상기 저판의 전측 근처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와 협력하여 상기 요부에 앞과 뒤가 반대로 삽입된 전지의 전단을 함락시키는 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홀더.
KR1019960060182A 1996-06-17 1996-11-30 전지홀더 KR1004088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55725 1996-06-17
JP15572596A JP3229548B2 (ja) 1996-06-17 1996-06-17 電池ホル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568A KR980006568A (ko) 1998-03-30
KR100408804B1 true KR100408804B1 (ko) 2004-04-13

Family

ID=15612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0182A KR100408804B1 (ko) 1996-06-17 1996-11-30 전지홀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229548B2 (ko)
KR (1) KR100408804B1 (ko)
TW (1) TW3079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1980A (ja) * 1998-02-16 1999-08-27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携帯用電子機器
JP4486301B2 (ja) * 2002-08-23 2010-06-23 株式会社デンソー ボタン型電池用ターミナ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気機器
JP5822730B2 (ja) * 2012-01-06 2015-11-24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電池ユニット
JP5885508B2 (ja) * 2012-01-06 2016-03-15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電池ユニット
JP5822731B2 (ja) * 2012-01-06 2015-11-24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電池ユニット
CN104183800B (zh) * 2013-05-28 2017-02-08 赛尔富电子有限公司 一种灯具电池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29548B2 (ja) 2001-11-19
KR980006568A (ko) 1998-03-30
JPH1012208A (ja) 1998-01-16
TW307929B (en) 1997-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3293B1 (en) Battery holder having means for securely retaining battery in position
JPH08186505A (ja) コイン形電池の電極端子
JP2002063882A (ja) 電池ホルダ
KR20060115914A (ko) 카드용 커넥터
KR100408804B1 (ko) 전지홀더
JP4212637B2 (ja) 充電器
US20030118875A1 (en) Battery holder with battery releasing mechanism
JP4773136B2 (ja) 電池ホルダ
JP3621615B2 (ja) マイクホルダ
JP4578310B2 (ja) 電池ホルダ
JPH0340464B2 (ko)
JP2009021059A (ja) 電池収納ユニット
JP3501739B2 (ja) 電池ホルダ
JP3711035B2 (ja) 電池ホルダ
JP3086398B2 (ja) 電池ホルダー
WO2004055944A1 (ja) コネクタ
KR100850832B1 (ko) 건전지 수납용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JP3104139U (ja) ボタン型バッテリーのホルダ
JPS6216028A (ja) 充電装置
JP4719523B2 (ja) 電池ホルダ
CN213368099U (zh) 用于蓝牙耳机充电盒的具有良好接触的充电弹针
KR100357921B1 (ko) 편평형 전지의 전지 홀더
JPH0673858U (ja) バッテリホルダ
JP2578866Y2 (ja) 電池ホルダ
JP2003317690A (ja) ボタン形電池用電池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