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7163Y1 - 자동겸용 수동식 밸브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겸용 수동식 밸브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7163Y1
KR200157163Y1 KR2019970001908U KR19970001908U KR200157163Y1 KR 200157163 Y1 KR200157163 Y1 KR 200157163Y1 KR 2019970001908 U KR2019970001908 U KR 2019970001908U KR 19970001908 U KR19970001908 U KR 19970001908U KR 200157163 Y1 KR200157163 Y1 KR 2001571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shaft
bushing
jaw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19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7647U (ko
Inventor
이희섭
Original Assignee
이희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섭 filed Critical 이희섭
Priority to KR20199700019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7163Y1/ko
Publication of KR199800576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6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71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71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5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specially adapted for operating hand-operated valves or for combined motor and hand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겸용 수동식 밸브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축(100) 상에는 일측에 클러치 조(11)가 형성된 부싱(10)과 조 클러치(40)를 메탈부싱과 키이로 각기 조립하고 부싱(10) 상으로는 베벨기어(101)를 키이로, 작동체(20)를 중간끼움으로 조립하되 작동체(20)의 저면에는 타원구멍(21)이 형성되도록 하며 좌우 돌출부에는 구멍(22)이 대칭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조 클러치(40)는 베어링(800)과 스냅링(801)을 통해 작동체(30) 안에 삽입되면서 고정되도록 하되 작동체(30)의 돌출부에도 구멍(31)이 대칭으로 형성되도록 한 후, 감속장치(600)의 회전체(601)에는 클러치 조(602)를 형성시키고 작동체(30)와 작동체(20) 사이에는 스프링(70)이 위치토록 하면서 핀(60)을 구멍(31)(22) 속으로 관통시킨 다음 작동체(20)에 접하도록 다시 스프링(80)을 핀(60)에 끼워 스냅링(90)으로 고정시키며, 축(300) 상면에는 작동체(20)의 타원구멍(21) 속으로 삽입되는 편심핀(302)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고 축(300)의 외부로는 부싱(303)을 끼워 부싱(303)의 상단에는, 베벨기어(301)를 끼워 키이로 조립하며 하단에는, 수동조작핸들(500)을 너트(400)로 고정시키고 축(300)의 하단에는 수동전환레바(50)를 조립하여서 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자동겸용 수동식 밸브개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요부얼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수동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자동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부싱 11 : 클러치 조
20 : 작동체 21 : 타원구멍
22 : 구멍 30 : 작동체
31 : 구멍 40 : 조 클러치
50 : 수동전환레바 60 : 핀
70, 80 : 스프링 90 : 스냅링
100 : 축 101 : 베벨기어
200 : 하우징 300 : 축
301 : 베벨기어 302 : 편심핀
303 : 부싱 400 : 너트
500 : 수동조작핸들 600 : 감속장치
601 : 회전체 602 : 클러치 조
603 : 카바 700 : 에어모터
800 : 베어링 801 : 스냅링
900 : 밸브 901 : 밸브게이트 축
본 고안은 자동겸용 수동식 밸브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 조작시에 수동조작핸들(500)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안전을 도모함과 동시에 동력 손실율을 저하시킬 수 있음이 특징이다.
밸브(900)의 밸브게이트 축(901)을 회전시킴에 따라 밸브게이트가 개방 또는 밀폐됨으로서 유체는 밸브를 통과하거나 차단되는데 과거에는 전부 수동조작에 의해 밸브를 개폐시키도록 되어 있었다.
그 후 수동조작의 불편을 해소키 위해 에어모터(700)를 사용하여 원거리에서 원격조정을 통해 밸브게이트 축(901)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밸브 개폐장치가 안출되었는데 이는 자동 조작시에도 수동조작핸들(500)이 같이 회전하도록 된 비합리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자동 조작시 수동조작핸들(500)이 같이 회전함에 따라 수동조작핸들에 옷이 걸리게 되거나 공구 등이 얹혀 있을 경우 안전사고를 유발시키게 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유형의 안전사고가 다수 발생되었다.
또한 자동 조작시에도 수동조작핸들이 같이 회전함으로서 불필요한 에너지의 소모가 높은 단점과 함께 장치의 내구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밸브개폐장치의 단점을 해결키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밸브게이트 축(901)이 돌출되는 밸브(900)에 밸브개폐장치의 하우징(200)이 조립되고 이 하우징(200)에는 감속장치(600)가 조립되며 감속장치(600)에는 에어모터(700)가 조립되는데, 수동조작핸들(500)과 조립된 축(300) 끝의 베벨기어(301)는 밸브게이트 축(901)과 연결된 축(100) 상의 베벨기어(101)와 치합되며 축(100)은 감속장치(600)의 축 또는 회전체(601)와 연결되어 수동조작핸들(500)을 조작시켜도 밸브게이트 축(901)이 회전하며, 에어모터(700)를 통한 자동조작시 축(100)과 조립된 밸브게이트 축(901)이 회전할 때 상기한 베벨기어끼리 치합되어 있음에 따라 수동조작핸들(500)도 동시에 회전하도록 된 통상의 자동겸용 수동식 밸브개폐장치에 있어서; 축(100) 상에는 일측에 클러치 조(11)가 형성된 부싱(10)과 조 클러치(40)를 메탈부싱과 키이로 각기 조립하고 부싱(10) 상으로는 베벨기어(101)를 키이로, 작동체(20)를 중간끼움으로 조립하되 작동체(20)의 저면에는 타원구멍(21)이 형성되도록 하며 좌우 돌출부에는 구멍(22)이 대칭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조 클러치(40)는 베어링(800)과 스냅링(801)을 통해 작동체(30) 안에 삽입되면서 고정되도록 하되 작동체(30)의 돌출부에도 구멍(31)이 대칭으로 형성되도록 한 후, 감속장치(600)의 회전체(601)에는 클러치 조(602)를 형성시키고 작동체(30)와 작동체(20) 사이에는 스프링(70)이 위치토록 하면서 핀(60)을 구멍(31)(22) 속으로 관통시킨 다음 작동체(20)에 접하도록 다시 스프링(80)을 핀(60)에 끼워 스냅링(90)으로 고정시키며, 축(300) 상면에는 작동체(20)의 타원구멍(21) 속으로 삽입되는 편심핀(302)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고 축(300)의 외부로는 부싱(303)을 끼워 부싱(303)의 상단에는, 베벨기어(301)를 끼워 키이로 조립하며 하단에는, 수동조작핸들(500)을 너트(400)로 고정시키고 축(300)의 하단에는 수동전환레바(50)를 조립하여서 완성되며; 수동전환레바(50)를 작동시킴에 따라 편심핀(302)이 180도 회전하고 이때 작동체(20)가 스프링(70)을 동력 전달 매체로 하여 작동체(30)를 밀어 이동시킴으로서 클러치(40)가 부싱(10)의 클러치 조(11)와 떨어짐과 동시에 회전체(601)의 클러치 조(602)와 결합되어 에어모터(700)의 작동에 의해 축(100)이 회전하는 자동조작이 되어도 부싱(11)이 회전치 않음으로서 에어모터로 부터의 동력이 차단되어 수동조작핸들(500)은 회전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한 편심핀(302)이 원위치하면 조 클러치(40)는 스프링(80)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체(601)의 클러치 조(602)와 분리되어 원위치됨으로서 베벨기어(101)(301) 끼리의 동력전달에 의해 수동조작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제3도는 자동조작상태를 나타낸 것인데, 편심핀(302)은 우측으로 180도 회전되어 있다.
이 상태는 작동체(20)를 우측으로 밀어 주고 있는데 작동체(20)가 우측으로 밀리면 작동체(20)(30) 사이의 스프링(70)에 의해 작동체(30)도 우측으로 탄력있게 밀리게 된다.
그러면 조 클러치(40)는 부싱(10)의 클러치 조(11)와 분리되며 동시에 회전체(601)의 클러치 조(602)와 결합이 된다.
이 상태에서 에어모터(700)를 원격으로 작동시키면, 감속장치(600)의 회전체(601)로 부터의 동력은 조 클러치(40)에서 축(100)으로 바로 전달되어 밸브게이트 축(901)을 회전시킨다.
이때 축(100)은 회전하여도 메탈부싱에 의해 축(100) 상에 조립되어 있는 부싱(10)은 회전치 않는다.
따라서 베벨기어(101) 또한 회전치 않게 되고 베벨기어(101)와 치합되어 있는 베벨기어(301)도 회전치 않으므로 결국 수동조작핸들(500) 역시 회전치 않게 되는 것이다.
이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안전사고 발생 및 불필요한 동력소모의 문제등이 간단히 해결되는데 종래의 장치는 본 고안과 같은 부싱(10), 작동체(20)(30) 및 조 클러치(40) 그리고 클러치 조(602)가 형성된 감속장치(600)의 회전체(601), 수동전환레바(50), 편심핀(302) 등의 기술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자동조작시에도 수동조작핸들(500)이 항상 회전을 함으로서 안전사고의 발생 및 불필요한 동력소모의 폐단, 장치의 내구력 감소라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다음, 수동전환레바(50)를 원래의 위치로 회전시키면 수동조작이 가능한데 편심핀(302)이 좌측으로 180도 회전하면서 작동체(20)를 좌측으로 이동시키게된다.
즉, 작동체(20)는 수동조작시의 위치로 되돌아 오는 것인데 작동체(20)가 좌측으로 이동을 하면 작동체(20)가 좌측의 스프링(80)을 압축시키게 된다.
따라서 핀(60)을 좌측으로 당겨줌으로서 작동체(30)가 당겨지고 결국 작동체(30) 내부에 조립되어 있는 조 클러치(40)도 좌측으로 이동을 하여 부싱(10)의 클러치 조(11)와 결합이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는 에어모터(700)가 작동을 하여도 회전체(601)의 동력이 조 클러치(40)에 전달되지 않아 회전체(601)는 축(100)을 회전시키지 못하고 공회전만 하게 된다.
이때 수동조작핸들(500)을 돌리면 베벨기어(301)(101)가 회전하고 베벨기어(101)와 키이로 조립된 부싱(10)이 회전하며 부싱의 클러치 조(11)와 조 클러치(40)가 결합되어 있음으로서 조 클러치(40)가 회전하고, 조 클러치(40)와 키이로 조립되어 있는 축(100)이 회전함으로서 결국 밸브게이트 축(901)이 회전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간단히 수동으로 조작이 가능하며 수동조작시 축(100)이 감속장치의 축이나 회전체(601)를 회전시키지 않음으로서 손으로 돌릴 때 힘이 적게 들고 감속장치 및 에어모터의 내구력이 저하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안전하고 편리하며 경제적으로 자동겸용 수동으로 밸브를 조작시킬 수 있는 유용한 장치이다.

Claims (1)

  1. 밸브게이트 축(901)이 돌출되는 밸브(900)에 밸브개폐장치의 하우징(200)이 조립되고 이 하우징(200)에는 감속장치(600)가 조립되며 감속장치(600)에는 에어모터(700)가 조립되는데, 수동조작핸들(500)과 조립된 축(300) 끝의 베벨기어(301)는 밸브게이트 축(901)과 연결된 축(100) 상의 베벨기어(101)와 치합되며 축(100)은 감속장치(600)의 축 또는 회전체(601)와 연결되어 수동조작핸들(500)을 조작시켜도 밸브게이트 축(901)이 회전하며, 에어모터(700)를 통한 자동조작시 축(100)과 조립된 밸브게이트 축(901)이 회전할 때 상기한 베벨기어끼리 치합되어 있음에 따라 수동조작핸들(500)도 동시에 회전하도록 된 통상의 자동겸용 수동식 밸브개폐장치에 있어서; 축(100) 상에는 일측에 클러치 조(11)가 형성된 부싱(10)과 조 클러치(40)를 메탈부싱과 키이로 각기 조립하고 부싱(10) 상으로는 베벨기어(101)를 키이로, 작동체(20)를 중간끼움으로 조립하되 작동체(20)의 저면에는 타원구멍(21)이 형성되도록 하며 좌우 돌출부에는 구멍(22)이 대칭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조 클러치(40)는 베어링(800)과 스냅링(801)을 통해 작동체(30) 안에 삽입되면서 고정되도록 하되 작동체(30)의 돌출부에도 구멍(31)이 대칭으로 형성되도록 한 후, 감속장치(600)의 회전체(601)에는 클러치 조(602)를 형성시키고 작동체(30)와 작동체(20) 사이에는 스프링(70)이 위치토록 하면서 핀(60)을 구멍(31)(22) 속으로 관통시킨 다음 작동체(20)에 접하도록 다시 스프링(80)을 핀(60)에 끼워 스냅링(90)으로 고정시키며, 축(300) 상면에는 작동체(20)의 타원구멍(21) 속으로 삽입되는 편심핀(302)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고 축(300)의 외부로는 부싱(303)을 끼워 부싱(303)의 상단에는, 베벨기어(301)를 끼워 키이로 조립하며 하단에는, 수동조작핸들(500)을 너트(400)로 고정시키고 축(300)의 하단에는 수동전환레바(50)를 조립하여서 완성되며; 수동전환레바(50)를 작동시킴에 따라 편심핀(302)이 180도 회전하고 이때 작동체(20)가 스프링(70)을 동력 전달 매체로 하여 작동체(30)를 밀어 이동시킴으로서 클러치(40)가 부싱(10)의 클러치 조(11)와 떨어짐과 동시에 회전체(601)의 클러치 조(602)와 결합되어 에어모터(700)의 작동에 의해 축(100)이 회전하는 자동조작이 되어도 부싱(11)이 회전치 않음으로서 에어모터로 부터의 동력이 차단되어 수동조작핸들(500)은 회전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한 편심핀(302)이 원위치하면 조 클러치(40)는 스프링(80)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체(601)의 클러치 조(602)와 분리되어 원위치됨으로서 베벨기어(101)(301) 끼리의 동력전달에 의해 수동조작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겸용 수동식 밸브개폐장치.
KR2019970001908U 1997-02-04 1997-02-04 자동겸용 수동식 밸브개폐장치 KR2001571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908U KR200157163Y1 (ko) 1997-02-04 1997-02-04 자동겸용 수동식 밸브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908U KR200157163Y1 (ko) 1997-02-04 1997-02-04 자동겸용 수동식 밸브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647U KR19980057647U (ko) 1998-10-15
KR200157163Y1 true KR200157163Y1 (ko) 1999-09-15

Family

ID=19495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1908U KR200157163Y1 (ko) 1997-02-04 1997-02-04 자동겸용 수동식 밸브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716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976B1 (ko) 2010-08-04 2012-07-18 주식회사알피엠텍 전동식 밸브 작동기의 클러치 장치
KR101176899B1 (ko) 2011-03-31 2012-08-3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밸브구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9228B (zh) * 2018-03-29 2024-04-19 四川农业大学 一种可变阻力一片式球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976B1 (ko) 2010-08-04 2012-07-18 주식회사알피엠텍 전동식 밸브 작동기의 클러치 장치
KR101176899B1 (ko) 2011-03-31 2012-08-3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밸브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647U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26332C (en) Dual pawl ratchet mechanism and reversing method
US5180198A (en) Motor driven lock device for trunk lid and the like
EP1600583B1 (en) Apparatus for locking and unlocking vehicle door
KR20020020481A (ko) 창문 개폐장치용 핸들구조
US4538789A (en) Automatic and manual actuator
WO2002059441A8 (en) Solenoi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handle operation in a door lock
KR200157163Y1 (ko) 자동겸용 수동식 밸브개폐장치
AU2024200368A1 (en) Dual pawl ratchet mechanism
JP4971859B2 (ja) バルブ用アクチュエータの手動と自動の切換構造
US4137796A (en) Power opener with manual override
FR2493935A1 (fr) Dispositif de commande, a mecanisme d'embrayage permettant la rotation manuelle d'un element de sortie en cas de panne de moteur
JP2762033B2 (ja) バルブ用アクチュエータの手動操作装置
JP2681573B2 (ja) バルブ用アクチュエータの手動操作装置
JPH10213253A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の手動操作機構
JPH039576Y2 (ko)
KR101488622B1 (ko) 모드 전환 전동 액추에이터
IN162314B (ko)
JPH039577Y2 (ko)
JPH0442627Y2 (ko)
EP0928387B1 (en) Self closing faucet with timing mechanism
KR200256588Y1 (ko) 밸브개폐용 액츄에이터의 모드 절환장치
US4122726A (en) Lever mechanism for a mixing valve
JP3571260B2 (ja) 手動機構付きバルブ用アクチュエータ
KR200327595Y1 (ko) 볼밸브 자동 개폐장치
KR200190283Y1 (ko) 동력인출기의 동력절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