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7060Y1 - 개인 휴대 정보기용 중계 장치 - Google Patents

개인 휴대 정보기용 중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7060Y1
KR200157060Y1 KR2019970001295U KR19970001295U KR200157060Y1 KR 200157060 Y1 KR200157060 Y1 KR 200157060Y1 KR 2019970001295 U KR2019970001295 U KR 2019970001295U KR 19970001295 U KR19970001295 U KR 19970001295U KR 200157060 Y1 KR200157060 Y1 KR 2001570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pu
personal digital
digital assistant
driver
communication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12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7148U (ko
Inventor
고영로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700012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7060Y1/ko
Publication of KR199800571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1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70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70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G06F15/17Interprocessor communication using an input/output type connection, e.g. channel, I/O 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인 휴대 정보기에서 주변 장치들과 CPU와의 데이터 통신을 단일 통신로를 사용하여 중계하는 중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개인 휴대 정보기용 중계 장치는 CPU와 제1주변 장치와의 통신로를 제공하는 통신로와, 통신로와 제2주변 장치 사이에 접속되어 통신로를 경유한 CPU와 제2주변 장치와의 통신로를 절체하는 절환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개인 휴대 정보기용 중계 장치는 하드웨어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고 아울러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인 휴대 정보기용 중계 장치
제1도는 종래의 개인 휴대 정보기에서 중앙 처리 장치의 중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가 적용된 개인 휴대 정보기의 블럭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개인 휴대 정보기용 중계 장치의 중계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잭 11 : 커넥터
12 : RS232 드라이버 20 : 팩스/모뎀 드라이버
21 : 고주파 모듈 30 : 스위칭 드라이버
40 : 중앙 처리 장치
본 고안은 주변 장치들과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이하 "CPU"라 칭한다)간의 중계(스위칭)기능을 가진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통신로를 이용하여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주변 장치들을 CPU와 중계하는 개인 휴대 정보기용 중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개인 휴대 정보기(PDA)는 기지국의 중계에 의해 유선 가입자 또는 다른 개인 휴대 통신 가입자와의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무선으로 수행한다. 그리고 개인 휴대 정보기는 차량용 거치대에 장착시에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개인 휴대 정보기는 유선으로 연결된 원격 제어기에 의해 제어된다. 이를 위하여 개인 휴대 정보기에 포함된 CPU는 원격 제어기와 변복조 장치와 같이 적어도 2개 이상의 주변 장치들과 통신을 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개인 휴대 정보기의 CPU와 주변 장치들간의 통신을 위하여 중계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개인 휴대 정보기용 중계 장치는 두 개의 주변 장치를 CPU의 SIO(Serial Input/Output; 이하 "SIO"라 칭한다)와 GPIO(Global Par Input/Output; 이하 :GPIO"라 칭한다)의 두 단자 각각에 접속하도록 구성된다. 차량에 개인 휴대 정보기가 거치될 경우에 개인 휴대 정보기를 제어하는 리모콘은 SIO단자를 유선으로 CPU와 통신한다. 그리고 개인 휴대 정보기에서 기지국의 중계에 의해 다른 유선 가입자 또는 개인 휴대 통신 가입자와 무선으로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신호를 변복조 하는 변복조 장치는 GPIO단자를 통해 CPU와 통신한다.
이로 인하여 개인 휴대 정보기(PDA)의 CPU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주변 장치들과 각각의 통신로를 사용하여 인터페이스를 수행함으로써 하드웨어 공간의 불필요한 낭비와 이용자에게 개인 휴대 정보기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주변 장치들과 접속시에 항시 접속 상태를 확인해야 하는 이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종래의 개인 휴대 정보기(PDA)의 CPU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주변 장치들과의 인터페이스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를 참조하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주변 장치들과 인터페이스하는 개인 휴대 정보기의 CPU(40)와, CPU와 접속되어 CPU의 제어를 받고 각각 리모콘 데이터, 팩스/모뎀 드라이버를 CPU에 전송하는 RS232 드라이버(12) 및 팩스/모뎀 드라이버를 구비한 종래의 개인 휴대 정보기용 중계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리모콘 데이터가 리모콘의 잭(10)과 개인 휴대 정보기의 커넥터(11)를 통해 유선으로 인가되면 미도시된 인터럽트 처리 루틴이 실행되어 CPU는 리모콘과 인터페이스 대기 상태가 된다. CPU의 SIO단자와 접속된 RS232 드라이버는 CPU의 제어를 받아 리모콘의 데이터를 CPU에 전송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개인 휴대 정보기는 리모콘과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한편, 개인 휴대 정보기와 변복조 장치의 인터페이스는 아래와 같이 수행된다.
개인 휴대 정보기의 안테나와 접속된 고주파 모듈 RF(21)를 통해 팩스/모뎀 데이터의 입력이 인가되면, 미도시된 인터럽트 처리 루틴이 실행되어 CPU는 팩스/모뎀(변복조 장치)과 인터페이스 대기 상태가 된다. CPU의 GPIO단자와 직렬 접속된 팩스/모뎀 드라이버(20)는 CPU의 제어를 받아 팩스/모뎀 데이터를 CPU에 전송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개인 휴대 정보기는 변복조 장치와 인터페이스를 실행한다.
이로 인하여 종래의 개인 휴대 정보기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주변 장치들과의 인터페이스는 각각의 통신로를 경유하여 수행함으로써 개인 휴대 정보기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주변 장치들과의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하드웨어 상의 복잡성을 초래하고 이용자에게는 사용상의 불편함을 주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개인 휴대 정보기에서 주변 장치들과 CPU와의 데이터 통신을 단일 통신로를 사용하여 중계함으로써 하드웨어 구조상의 단순화와 그 결과로 이용자에게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개인 휴대 정보기용 중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개인 휴대 정보기용 중계 장치는 CPU와 제1주변 장치와의 통신로를 제공하는 통신로와, 제2주변 장치 사이에 접속되어 통신로를 경유한 CPU와 제2주변 장치와의 통신로를 절체하는 절환 수단을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개인 휴대 정보기용 중계 장치는 CPU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주변 장치와의 통신을 선택적으로 가능케 하는 임의의 통신로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주변 장치 사이에 접속되어 적어도 2개 이상의 주변 장치를 절체하는 중계 수단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한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를 참조하면, CPU(40)의 SIO 포트에 병렬 접속된 RS232 드라이버(12) 및 스위칭 드라이버(30)와, RS232 드라이버(12)에 직렬 접속된 커넥터(11) 및 잭(10)과, 그리고 스위치 드라이버(30)에 직렬 접속된 팩스/모뎀 드라이버(20) 및 고주파 모듈(21)을 구비하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 장치가 적용된 개인 휴대 정보기가 도시되어 있다. RS232 드라이버(12)는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CPU(40)의 SIO 포트 대신에 스위칭 드라이버(30)에 팩스/모뎀 드라이버(20)와 병렬로 접속될 수 있다. 이 경우, 리모콘의 잭(10)과 개인 휴대 정보기(PDA)의 커넥터(11)를 통하여 리모콘 데이터의 입력이 인가되는 때의 스위칭 드라이버(30)는 CPU(40)의 인터럽트 처리 결과에 따라 CPU(40)와 RS232 드라이버(12)를 접속하여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CPU(40)는 리모콘 데이터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RS232 드라이버(12)에 구동 신호(Enable Signal)를 인가하여 RS232 드라이버(12)를 구동시키고, 이에 따라 리모콘 데이터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개인 휴대 정보기의 안테나와 접속된 고주파 모듈 RF(21)를 통해 팩스/모뎀 데이터의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인터럽트 처리 루틴을 거쳐 스위칭 드라이버(30)는 CPU와 팩스/모뎀 드라이버를 접속하고 CPU(40)와 RS232 드라이버의 접속을 절체한다. CPU(40)는 팩스/모뎀 드라이버에 구동 신호(Enable Signal)를 인가하여 팩스/모뎀 드라이버를 구동시켜 팩스/모뎀 데이터와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개인 휴대 정보기에서 CPU(40)와 주변 장치들과의 데이터를 중계하는 개인 휴대 정보기용 중계 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50단계에서 시스템이 구동된다. 주변 장치에서 데이터가 입력되면 인터럽트 처리 루틴에 의하여 실행중이던 이전 프로그램(혹은 명령)의 실행을 일시 중지하고 데이터의 입력을 받는다(제52단계). 이 입력 데이터는 CPU(40)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가 리모콘 데이터인지 판단한다(제54단계). 그 결과 리모콘 데이터인 경우, 이 리모콘 데이터는 RS232 드라이버(12)의 중계동작에 의해 CPU SIO 단자쪽으로 입력되게 된다(제60단게). 제54단게에서 리모콘 데이터가 아닌 경우 팩스/모뎀 데이터인가를 판단한다(제56단게). 그 결과 입력되는 데이터가 팩스/모뎀 데이터인 경우, CPU(40)로부터의 팩스/모뎀 구동 신호에 의해 스위칭 드라이버(30)는 CPU(40)의 SIO 단자와 팩스/모뎀 드라이버(20)를 접속시킨다(제58단게). 그러면, CPU(60)은 SIO 단자 및 스위칭 드라이버(30)을 경유하여 팩스/모뎀 드라이버(20)와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제60단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개인 휴대 정보기용 중계 장치는 2개의 주변 장치를 절환하여 단일의 통신로를 이용하여 CPU와 두 개의 주변 장치를 중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개인 휴대 정보기용 중계 장치는 하드웨어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고 아울러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잇점을 제공한다.
본 고안을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실시예로써 설명하였으나 이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져야만 한다.

Claims (2)

  1. CPU를 가지는 개인 휴대 정보기(PDA)에 있어서, 상기 CPU와 제1주변 장치와의 통신로를 제공하는 통신로와, 상기 통신로와 제2주변 장치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통신로를 경유한 상기 CPU와 상기 제2주변 장치와의 통신로를 절체하는 절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장치.
  2. CPU를 가지는 개인 휴대 정보기(PDA)에 있어서, 외부의 주변 장치를 상기 CPU에 임의의 포트에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구와, 고주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고주파 모듈과, 상기 고주파 모듈과 상기 CPU의 상기 임의의 포트 사이에 접속되어 데이터를 중계하기 위한 팩스/모뎀 드라이버와, 상기 접속구와 상기 CPU의 임의의 포트와의 데이터를 중계하기 위한 RS232 드라이버와, 상기 CPU의 임의의 포트에 상기 RS232 드라이버와 상기 팩스/모뎀 드라이버를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스위칭 드라이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장치.
KR2019970001295U 1997-01-30 1997-01-30 개인 휴대 정보기용 중계 장치 KR2001570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295U KR200157060Y1 (ko) 1997-01-30 1997-01-30 개인 휴대 정보기용 중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295U KR200157060Y1 (ko) 1997-01-30 1997-01-30 개인 휴대 정보기용 중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148U KR19980057148U (ko) 1998-10-15
KR200157060Y1 true KR200157060Y1 (ko) 1999-09-15

Family

ID=19494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1295U KR200157060Y1 (ko) 1997-01-30 1997-01-30 개인 휴대 정보기용 중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706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1310B1 (en) * 2000-09-15 2003-10-07 General Electric Company Wireless engine-generator systems digital assist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148U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70336A1 (en) Method for communication control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70149244A1 (en) Power-save system and method
KR100773444B1 (ko) 휴대 단말의 외부 연결 인터페이스 에뮬레이션 장치 및방법
KR200157060Y1 (ko) 개인 휴대 정보기용 중계 장치
KR100380632B1 (ko) 키폰 시스템의 다기능 인터페이스 장치
GB2242296A (en) Base station controller and interface
KR100917193B1 (ko) 컴퓨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입력수단을 공유하는 장치 및그 방법
KR100587287B1 (ko) 영상 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선택 방법
KR970055708A (ko) Cdma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이동국 터미널 어댑터 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H10303818A (ja) 赤外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赤外線通信方法
KR890004887B1 (ko) 문서통신 데이터 송수신회로
KR900004030B1 (ko) 다중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KR100440923B1 (ko) 텔레메틱스 장치의 외부 휴대폰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194463B1 (ko) 키폰전화시스템에서 연결전화기에 따른 인터페이스포트 전환회로 및 방법
KR200328928Y1 (ko) 이동통신용 기지국 제어기와 개인용 컴퓨터와의 정합장치
JP2912283B2 (ja) 列車無線システム
JP3307366B2 (ja) 移動電話機用モデム及びその切替え方法
KR20020090797A (ko) 컴퓨터를 이용한 무선단말기의 서비스 장치 및 방법
JPH11313128A (ja) データ転送方法およびデータ伝送装置
KR19990048033A (ko) 노트북의 무선 통신 장치
KR0123720B1 (ko) 휴대용 컴퓨터기기의 데이타 프린트 방법
KR20000038857A (ko) 적외선 포트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데이터 통신장치
JP2003009227A (ja) 回線接続方式
JPH0638344U (ja) 携帯用無線通信機
JP2003008684A (ja) ワイヤレスモデ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3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