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6764Y1 - 주.야간 겸용 발광형 자동차 번호판 - Google Patents

주.야간 겸용 발광형 자동차 번호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764Y1
KR200156764Y1 KR2019970018169U KR19970018169U KR200156764Y1 KR 200156764 Y1 KR200156764 Y1 KR 200156764Y1 KR 2019970018169 U KR2019970018169 U KR 2019970018169U KR 19970018169 U KR19970018169 U KR 19970018169U KR 200156764 Y1 KR200156764 Y1 KR 2001567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cense plate
plate
sheet
license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81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5819U (ko
Inventor
권순일
Original Assignee
권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순일 filed Critical 권순일
Priority to KR20199700181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764Y1/ko
Publication of KR9700558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58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7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7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lluminating registrations or the like, e.g. for licence pla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5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electroluminescent lam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7Electroluminescent display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주·야간 사용이 가능한 발광형 자동차 번호판에 관한 것으로 외부전원에 의해 발광빛을 발하는 EL(전자 발광 쉬트)판, 현재의 칼라 자동차 번호판을 규격에 맞춰 사진, 현상작업을 거쳐 필름화 한 필름 원판 쉬트(Sheet)와 자동차내 전원과 접속시키는 장치 및 이를 작동시키는 스위치 등으로 형성시킨 주·야간 겸용 발광형 자동차 번호판.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현재 사용중인 자동차 번호판은 자동차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가지 색상 및 번호로 구별되어 사용중이다.
이러한 자동차 번호판은 자동차의 매우 중요한 일부분을 이룬다.
또한 자동차 관리의 모든 부분이 자동차 번호판에 의존하여 이루어 진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자동차 번호판이 재질상 알루미늄판 위에 번호를 새기고 그 위에 색상을 칠하여 사용함으로서 매우 많은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즉, 기간이 많이 경과함으로써 자동차 번호판 자체가 마모되고 변색이 되어 식별이 곤란해 지고 또한 관리상의 무책임으로 인한 파손으로 자동차 번호판이 외부로 확연이 식별되지 않음으로써 많은 관리상의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으며, 또한 야간에는 자동차 번호판의 식별은 전구로 인하여 이를 식별하게 되어 있지만 위의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하여 자동차 번호판의 식별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게 되어 자동차 번호판을 기본으로 하는 현재의 자동차 관리가 거의 유명 무실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마모가 되지 않고 야간에도 확연히 번호를 식별할 수 있는 발광물질을 이용한 번호판을 고안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의 발광물질은 자체 발광효과가 없기 때문에 위의 문제점을 개선시킬 수가 없기 때문에 자동차내의 전원을 사용한 EL(전자 발광 쉬트)를 이용한 자동차 번호판을 고안하게 되었다.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크게 3가지의 구성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EL(전자발쾅쉬트)판과 인버터, 자동차 번호판의 칼라 필름 쉬트, 자동차내 전원의 접속장치 및 ON/OFF 장치가 그것으로 EL(전자발광쉬트)판은 야간에서의 발광효과를 내기 위하여 자동차의 내부 전원(12V)에 연결하고 이 판위에 자동차 번호판을 형성한다.
이러한 EL은 형광체 분말로 구성된 발광층에 교류전압을 가하면 형광체내의 고전계 부분에 의해 전자가 가속되어 고(高)에너지 전자가 발생되며 이 상태는 전계 방향이 변할 때마다 얻어지며 교류전압의 작용으로 한 싸이클중 2회발광되게 되는 것을 말하며 이를 형성시켜 두께가 약 0.17mm로 지극히 얇은전자 발광체로 만든 것을 말하며 이러한 EL(전자발광쉬트)판은 자체 인버터에 의해 발광상태가 유지되므로 인버터와 한조를 이룬다.
자동차 번호판의 칼라 필름 쉬트는 현재의 자동차 번호판을 같은 규격의 칼라필름으로 인쇄 편집한 네가(NEGA) 필름 상태의 쉬트로써 발광빛이 투과되도록 한 것으로 EL(전자발광쉬트)판 위에 형성시킴으로써 주간에는 자동차번호판 자체의 색상을 나타내고 야간에는 자동차 번호판 저면의 EL(전자발광쉬트)판의 발광효과에 의해 발광효과가 있는 자동차 번호판이 되는 것이다.
자동차내 전원의 접속장치 및 ON/OFF 장치는 이러한 EL은 6V∼12V에서 작동되므로 자동차내의 전원인 12V의 전원에 연결시키는 단자와 이를 ON/OFF시키는 점화 스위치로 이루어져 있다.
위의 점화 스위치는 헤드라이트 점화 스위치와 연결시켜서 헤드라이트를 켬과동시에 작동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자동점멸(외부 조명) 스위치에 연결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의 3가지 구성요소를 적절히 결합하여 자동차 번호판을 형성함으로서 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은 현재 사용중인 자동차 번호판에 즉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자동차 번호판의 칼라 쉬트 대신 광고용 칼라 쉬트로 대체하고 EL(전자발광 쉬트) 쉬트를 버스의 외부에 형성시킴으로서 자동차 외부광고판이나 외부광고판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Description

주·야간 겸용 발광형 자동차 번호판
본 고안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자동차 번호판에 관한 것으로 알루미늄원판에 자동차 번호를 각인하고 이에 색상을 질하여 사용하는 기존자동차 번호판을 대체하기 위한 것이다.
자동차 번호판의 지지대 (1)위에 EL(전자발광쉬트)판 (2)를 저면에 설치하고 자동차 번호판 칼라 필름 쉬트 (3)을 EL(전자발광쉬트)판위에 접착한 후 이를 라미네이팅 처리하여 마모 및 파손을 방지하게하고 EL(전자발광쉬트)판을 버스내의 전원과 연결하여 일체로 된 주·야간 겸용 발광형 자동차 번호판을 형성하는 것이다.
자동차 번호판이 야간에 식별이 어려운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야광체를 이용한 자동차 번호판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자체 발광효과가 없기 때문에 효용성이 매우 낮았다,
따라서 자동차의 야간 식별을 위하여는 위의 EL(전자발광쉬트)를 이용한 자체 발광 자동차 번호판이 필요한 것이다.
현재 사용중인 자동차 번호판은 자동차의 중류 및 용도에 따라 여러가지 다양한 색상으로 구분 사용중이다.
예를 들어 자가승용차의 경우 푸른색 바탕에 흰색 글씨, TAXI의 경우 노란색 바탕에 청색글씨 등으로 구분 사용중이다.
이러한 자동차 번호판은 자동차의 얼굴으로서 자동차의 매우 중요한 일부분을 이룬다.
또한 도난 자동차 색출, 뺑소니 자동차의 추적, 사고 자동차의 조회 등등 모든 자동차의 관리는 자동차 번호판의 식별이 그 근본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동차 번호판은 현재 위기를 맞고 있다.
즉, 기간이 많이 경과함으로써의 자연 탈색, 마모로 인한 식별의 곤란함, 사용자의 무책임한 관리로 인한 자동차 번호판의 파손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자동차 번호판으로의 기능에 심각한 도전을 받고 있다.
특히, 우천시나 야간에는 그 정도가 심하여 육안으로 자동차 번호판을 식별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상기의 문제로 인하여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가 도출되고 있다.
즉, 야간에 뺑소니 자동차의 증가, 도주 및 도난 차량의 증가, 교통사고의 증가 등등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상기 고안을 도출해 내게 되었다.
즉, 주간에는 현재 자동차 번호판과 같이 사용할 수 있고 야간에는 자동차 자체 전원에 연결된 자동차 번호판내의 EL(전자발광쉬트)판의 발광현상에 의하여 자동차 번호판이 발광현상이 이루어져 육안으로 얼마든지 쉽게 식별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제1도는 정면도
제2도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동차 번호판 지지대 2 : EL(전자 발광 쉬트)판
3 : 자동차 번호판 칼라 필름 쉬트 4 : 인버터
5 : ON/OFF 스위치 장치 6 : 자동차 전원
본 고안은 크게 3가지의 구성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EL(전자 발광 쉬트)판과 인버터, 자동차 번호판의 칼라 필름 쉬트, 자동차내 전원의 접속장치 및 ON/OFF 장치가 그것이다.
EL(전자 발광 쉬트)판은 야간에서 자체 발광효과를 내기 위하여 자동차의 내부전원(12V)에 연결함으로서 자동차내 ON/OFF 장치의 조작에 의해 자체발광효과를 낼 수 있다.
자동차 번호판의 칼라 필름 쉬트는 현재의 자동차 번호판을 칼라 필름으로 인쇄 편집한 네가(NEGA) 필름상태의 쉬트로서 현재 다양하게 사용중인 자동차 번호판의 크기로 제작되며 발광빚이 투과되도록 하여 EL(전자발광 쉬트)판 위에 겹쳐 접착시킴으로서 주간에는 주간의 자동차 번호판을, 야간에는 자체 발광빚을 발하는 자동차 번호판으로 작동하는 것이다.
자동차내 전원의 접속장치 및 ON/OFF 장치는 위의 EL(전자 발광체 쉬트)판은 6V∼12V에서 작동되므로 자동차내의 전원을 접속하면 별도의 장치없이 자동차내의 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자동차 전원과 EL판 및 인버터를 상호 연결시키는 전원 장치로서 이의 작동은 자동차 헤드라이트 점멸장치와 연결시킬 수도 있으며 자체외부조명에 의한 자동점멸 장치에도 연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3가지 구성요소를 적절히 결함시켜 자동차 번호판을 형성시킬 수있는 것이다.
이러한 주·야간 겸용 발광형 자동차 번호판이 고안됨으로써 자동차 번호판식별률이 거의 100%에 도달하여 현재 자동차 번호판의 식별이 곤란함으로써 생기는 사회적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고 자동차 운전자에게는 자기가 운전하는 자동차의 번호판이 주·야간 불문하고 남에게 100% 식별된다는 점을 주지시킴으로서 운전함에 있어 매우 신중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EL(전자발광쉬트)판을 자동차 번흐판의 저면을 형성시키고 자동차 번호판의칼라 필름 쉬트를 그 위에 접착시켜서 하나의 자동차 번흐판을 형성시키고 위의 EL(전자발광쉬트)판을 발광시키기 위하여 자동차내 전원장치에 이를 접속시키고 ON/OFF시키는 작동장치로 구성된 주·야간 겸용 발광형 자동차번호판.
KR2019970018169U 1997-07-10 1997-07-10 주.야간 겸용 발광형 자동차 번호판 KR2001567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169U KR200156764Y1 (ko) 1997-07-10 1997-07-10 주.야간 겸용 발광형 자동차 번호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169U KR200156764Y1 (ko) 1997-07-10 1997-07-10 주.야간 겸용 발광형 자동차 번호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819U KR970055819U (ko) 1997-10-13
KR200156764Y1 true KR200156764Y1 (ko) 1999-09-01

Family

ID=19505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8169U KR200156764Y1 (ko) 1997-07-10 1997-07-10 주.야간 겸용 발광형 자동차 번호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76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819U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0333B1 (en) Phosphorescent lighting assembly
US10400978B2 (en) Photoluminescent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s
JP2617553B2 (ja) 自動車用ヘッドランプ
US9845047B1 (en) Light system
US7804418B2 (en) Vehicle light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0297383B1 (ko) 도로표지구용 축광반사지
KR200156764Y1 (ko) 주.야간 겸용 발광형 자동차 번호판
KR200406910Y1 (ko) 발광띠를 부착한 타이어
CN101566300B (zh) 一种重型卡车用的组合尾灯
US9821710B1 (en) Lighting apparatus for vehicle decklid
KR200286510Y1 (ko) 차량의 브레이크보조등
FR2879981A1 (fr) Plaque d'immatriculation de vehicules automobiles eclairante et pilotee
US20180281666A1 (en) Vehicle illuminated airflow control device
CN201009808Y (zh) 防伪发光车牌
JPH0681836U (ja) 車両用ミラー構造
CN207350167U (zh) 一种新型汽车尾灯结构
CN2294876Y (zh) 多功能汽车高位示警装置
KR100361267B1 (ko) 야간 식별용 자동차 번호판
KR200311136Y1 (ko) 야간 식별용 자동차 번호판
JP3055628U (ja) ナンバープレート電子照明板
KR0124085Y1 (ko) 자동차 제조회사 및 차종 식별용 조명장치
KR101208259B1 (ko) 발광 자동차 번호판
KR0136332Y1 (ko) 자동차용 야간 시인성 번호판
CN2442888Y (zh) 出租汽车求救报警标志灯
CN203242287U (zh) 一种发光警示标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