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6545Y1 - 성애제거 와이퍼 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성애제거 와이퍼 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545Y1
KR200156545Y1 KR2019960067227U KR19960067227U KR200156545Y1 KR 200156545 Y1 KR200156545 Y1 KR 200156545Y1 KR 2019960067227 U KR2019960067227 U KR 2019960067227U KR 19960067227 U KR19960067227 U KR 19960067227U KR 200156545 Y1 KR200156545 Y1 KR 2001565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blade
hollow
defrosting
wip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72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4035U (ko
Inventor
류승훈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672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545Y1/ko
Publication of KR199800540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40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5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5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3Wiper blades heated wiper blades
    • B60S1/3805Wiper blades heated wiper blades electr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퍼 블레이드에서 열을 발생시켜 끝날에 전달함에 따라 전면유리에 맺혀있는 성애를 제거하는 성애제거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와이퍼 블레이드의 끝단에 길이방향의 중공을 형성하고, 상기 중공의 중심선을 따라 분할시키며, 중앙 축방향으로 양측에 작동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각각 도체를 장착하여 그 끝단이 상기 중공을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중공을 따라 도체를 연결하는 열선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애제거 와이퍼 블레이드이다.

Description

성애제거 와이퍼 블레이드
본 고안은 성애제거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와이퍼 블레이드에서 열을 발생시켜 끝날에 전달함에 따라 전면유리에 맺혀있는 성애를 제거하는 성애제거 와이퍼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면유리를 세척하는 와이퍼장치는 와셔액 탱크에서 펌핑된 와셔액을 분사노즐을 매개로 전면유리로 분사해서 와이퍼 아암(wiper arm)을 회동시켜 와이퍼 블레이드로 닦아 주도록 되어 있다. 도1을 참조하면, 와이퍼 모우터(미도시)에 회동축을 매개로 연결된 와이퍼 아암(100)에 와이퍼 블레이드(K)가 연결되어, 상기 와이퍼 모우터를 회동시키면 좌우 양측의 와이퍼 아암(100)이 와이퍼 링크(102, 102')매개로 모우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동되면서 이에 일체로 연결된 와이퍼 블레이드(K)를 회동시키게 되어 있다.
그런데 우천시에나 혹은 동절기에 상기 전방도아유리에 물방울이나 성애 혹은 습기가 맺히게 되면, 이 물방울이나 습기 혹은 성애로 인해 사이드미러의 시야를 방해받게 되고, 전방도아유리에 맺혀 있는 습기 등을 적절히 제거해야만이 사이드미러를 잘 볼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와이퍼장치는 종래에는 우천시에는 유용한 작용을 할 수 있으나, 동절기에 성애를 없애는 데에는 몇번의 움직임이 반복되어야 한다. 이는 종래의 와이퍼 블레이드가 단순히 고무를 단일화하여 형상을 형성시켰기 때문이다.
도3은 종래기술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30)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30)은 단순한 고무로 되어 있으며, 그 형상은 전면 유리면과 접촉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다. 즉,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30)는 상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와이퍼 장치에 장착되고, 하측 끝날(32)로 전면 유리면과 밀착하여 이물질 등을 제거한다. 이에 따라 상측은 일정폭을 형성하고 하측으로 간격을 두고 더욱 큰 폭을 형성하면서 하측 끝날(32)에 작은 폭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같이 하측끝단이 유리면에 밀착되면서 와이퍼암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전면유리에 있는 성애등은 강제적으로 제거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전면유리에 있는 성애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상 살펴본 종래의 와이퍼 블레이드에서 성애를 제거하기 위해 강제적인 방식에 의하였는 바, 성애 제거에 필요한 작동이 반복되고 또 그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와이퍼 블레이드에서 열을 발생시켜 끝날에 전달함에 따라 전면유리에 맺혀있는 성애를 제거하는 성애제거 와이퍼 블레이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끝단에 길이방향의 중공을 형성하고, 상기 중공의 중심선을 따라 분할시키며, 중앙축방향으로 양측에 작동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각각 도체를 장착하여 그 끝단이 상기 중공을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중공을 따라 도체를 연결하는 열선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애제거 와이퍼 블레이드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도체와 연결되는 작동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와이퍼 모터의 작동과 별도로 도체에 전원을 인가시켜 열선에 열이 발생된다. 따라서, 겨울철 자동차의 전면유리에 있는 성애를 녹이면서 작동하기 때문에 한 번의 동작으로 완전히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성애제거 와이퍼 블레이드가 적용되는 와이퍼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도1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단면도,
도3은 종래기술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와이퍼 블레이드 12 : 도체
14 : 끝날 16 : 중공
18 : 열선 19 : 요철
20 : 록킹수단
이하, 본 고안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성애제거 와이퍼 블레이드(10)가 적용되는 와이퍼장치(1)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대한 일반적인 사항은 앞에서 설명하였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와이퍼 블레이드(K)를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성애제거 와이퍼 블레이드(10)가 장착된 것으로 한다.
도2는 도1의 성애제거 와이퍼 블레이드(10)의 단면도로서, 이는 와이퍼장치(1)의 작동으로 전면유리를 접촉하여 지나갈 때에 전면유리에 맺혀있는 성애를 열을 사용하여 제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와이퍼 블레이드(10)의 양단에 축방향으로 도체(12)를 장착하였다. 상기 도체(12)는 와이퍼 모터와 별도로 작동스위치(SW)와 연결되어 있는 데, 이는 사용자가 선택하여 전원을 인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도체(12)에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열을 발생하여야 하는데, 이는 와이퍼 브레이드(10)의 끝날(14)을 따라 열을 발생시켜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10)의 끝단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중공(16)을 형성시키고 상기 중공(16)을 따라 열선(18)을 장착하였다.
따라서, 상기 열선(18)에서 발생된 열은 와이퍼 블레이드(10)의 끝날(14)에 전달되어 성애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열선(18)에 이상이 생겨 교환 등의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열선의 장착부위를 분할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고안은 상기 중공(16)의 중심선을 따라 분할하여 그 분할면에 요철(19)을 형성하여 조립시 견고함을 유지토록 하였다. 또, 상기 분할면이 형성한 분할선에 록킹수단(20)을 형성하고 있어서, 분할할 필요가 있으면, 록킹수단(20)을 해제시키고 조립시에는 조립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상기 도체와 연결되는 작동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와이퍼 모터의 작동과 별도로 도체에 전원을 인가시켜 열선에 열이 발생된다. 따라서, 겨울철 자동차의 전면유리에 있는 성애를 녹이면서 작동하기 때문에 한 번의 동작으로 완전히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성애제거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퍼 블레이드에서 열을 발생시켜 끝날에 전달함에 따라 전면유리에 맺혀있는 성애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서술된 것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본 고안을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 존재하는 변형예 및 균등한 실시예는 모두 본 고안의 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

  1. 와이퍼 블레이드(10)의 끝단에 길이방향의 중공(16)을 형성하고, 상기 중공(16)의 중심선을 따라 분할시키며, 중앙 축방향으로 양측에 작동스위치(SW)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각각 도체(12)를 장착하여 그 끝단이 상기 중공(16)을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중공(16)을 따라 도체(12)를 연결하는 열선(18)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애제거 와이퍼 블레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16)을 분할한 분할면에 요철(19)을 형성하고 분할면이 이루는 분할선에 록킹수단(16)을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애제거 와이퍼 블레이드.
KR2019960067227U 1996-12-31 1996-12-31 성애제거 와이퍼 블레이드 KR2001565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7227U KR200156545Y1 (ko) 1996-12-31 1996-12-31 성애제거 와이퍼 블레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7227U KR200156545Y1 (ko) 1996-12-31 1996-12-31 성애제거 와이퍼 블레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035U KR19980054035U (ko) 1998-10-07
KR200156545Y1 true KR200156545Y1 (ko) 1999-09-01

Family

ID=19488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7227U KR200156545Y1 (ko) 1996-12-31 1996-12-31 성애제거 와이퍼 블레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54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035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39938A (en) Windshield-cleaning system
KR200156545Y1 (ko) 성애제거 와이퍼 블레이드
KR19980017748A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9980021842U (ko) 자동차와이퍼용 블레이드
KR100189365B1 (ko) 보조 블레이드를 갖춘 자동차의 와이퍼장치
KR200154428Y1 (ko) 성애 제거용 와이퍼
KR19980042604U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구조
KR19980046549U (ko) 자동차 윈드실드 와이퍼의 히팅 장치
KR100523588B1 (ko) 차량용 와셔액 분사장치
KR20020030312A (ko) 와이퍼 암에 구비된 자동차용 에어워셔액분사노즐
KR19980027988A (ko) 자동차의 윈드실드 와이퍼 와셔액 공급장치
KR100191474B1 (ko) 자동차 와이퍼의 이축 회전구조
KR19980030625A (ko) 자동차용 와이퍼
KR100196077B1 (ko) 와이퍼 노즐 자동 조절 장치
KR19980066265U (ko) 열선이 내장된 자동차용 와이퍼
KR20000008871U (ko) 차량의 윈드쉴드와이퍼
KR19980041820U (ko) 차량용 와이퍼블레이드의 러버엘리먼트 구조
KR19980035809A (ko) 자동차의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KR19990009150A (ko) 자동차의 와이퍼 블레이드
KR19980062977A (ko) 성애 제거용 바가 부착된 자동차의 와이퍼 조립체
KR19990024416U (ko) 자동차의 3중 날개 와이퍼 블레이드
KR19990027010U (ko) 윈드 시일드 와이퍼의 동결 방지 구조
KR19990026104U (ko) 차량용 윈드실드와이퍼
KR19980045933U (ko) 자동차용 윈드쉴드 와이퍼의 동결 방지장치
KR19980011294U (ko) 와이퍼 동결부착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