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6454Y1 - 구동식 휠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구동식 휠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454Y1
KR200156454Y1 KR2019930026058U KR930026058U KR200156454Y1 KR 200156454 Y1 KR200156454 Y1 KR 200156454Y1 KR 2019930026058 U KR2019930026058 U KR 2019930026058U KR 930026058 U KR930026058 U KR 930026058U KR 200156454 Y1 KR200156454 Y1 KR 2001564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ide frame
drive shaft
drive
spr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60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8583U (ko
Inventor
다카오 와카바야시
Original Assignee
나카니시 가즈오
나카니시 킨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카니시 가즈오, 나카니시 킨조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카니시 가즈오
Priority to KR20199300260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454Y1/ko
Publication of KR9500185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85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4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4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65G13/07Roller driving means having endless driv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65G13/071Roller driving means with frictional eng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67Pal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구동식 휠 컨베이어는 내측벽, 외측벽, 상부벽 및 바닥벽을 갖고 반송방향으로 연장하는 통형상의 사이드 프레임과, 사이드 프레임내를 횡단하게끔 내외측벽에 지지되며 내측벽을 관통해서 내향으로 연장하는 내측돌출부를 갖는 구동축과, 내외측벽들 사이에 위치하게끔 구동축에 고정되어 있는 스프로킷과, 사이드 프레임내를 순환하게끔 배설되어 스프로킷에 걸려 있는 무한구동 체인과, 내측 돌출부가 삽입된 축공을 가지며 또한 축공의 원주면과 내측 돌출부 외면과의 마찰 저항에 의해 구동되는 반송 휠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구동식 휠 컨베이어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의 사시도.
제2도는 상기 컨베이어의 사이드 프레임 및 반송 유닛의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사이드 프레임 12 : 반송 유닛
21 : 내측벽 22 : 외측벽
23 : 상부벽 24 : 바닥벽
27 : 대직경의 베어링 29 : 소직경의 베어링
33,35 : 체인 가이드 레일 41 : 구동축
45 : 스프로킷 46 : 무한 체인
51 : 반송 휠 p : 펠릿
w : 반송물
본 고안은 예를 들어 자동차나 가전제품의 조립라인에 있어서, 부품을 실은 펠릿(pellet)등을 반송 도중에 일시 정지시킬 수 있게 반송하는 구동식 휠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컨베이어로서 예를 들면 JP-A-63-77911호에 기재되어 있듯이, 내측벽, 외측벽 및 바닥벽을 갖고 반송방향으로 연장하는 횡단면이 U형인 사이드 프레임과, 사이드 프레임 내를 횡단하도록 내외측벽에 지지되어 있는 구동축과, 내외측벽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동축에 고정되어 있는 스프로킷과, 사이드 프레임 내부를 순환하도록 설치되어 스프로킷에 걸려 있는 무한 구동 체인과, 내측벽과 스프로킷 사이에 구동축이 삽입된 축공을 가지며 또한 축공의 둘레면과 구동축 외면과의 마찰저항에 의해 구동되는 반송 휠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컨베이어에서는 사이드 프레임의 윗쪽에서 보면 스프로킷 및 구동체인등의 반송 휠 구동기구가 노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구동기구에 작업자가 감겨 들어갈 염려가 있는 등 위험하다. 또, 프레임 내에 볼트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낙하하여, 이것이 구동기구로 들어가면 사고의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구동기구에서 튀기는 작동유 등에 의해 작업자나 반송물이 더럽혀지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한 구동식 휠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의한 구동식 휠 컨베이어는, 내측벽, 외측벽, 상부벽 및 바닥벽을 갖고 반송방향으로 연장하는 통 형상의 사이드 프레임과, 사이드 프레임 내부를 횡단하도록 내외측벽에 지지되고 내측벽을 관통하여 내향으로 연장하는 내측 돌출부를 갖는 구동축과, 내외측벽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동축에 고정되어 있는 스프로킷과, 사이드 프레임 내에서 순환하도록 설치되어 스프로킷에 걸려 있는 무한 구동 체인과, 내측 돌출부가 삽입된 축공을 가지며 또한 축공의 둘레면과 내측 돌출부 외면과의 마찰저항에 의해 구동되는 반송 휠을 구비하고 있다.
본 고안에 의한 구동식 휠 컨베이어에서는 구동축이 내측벽을 관통하여 내향으로 연장하는 내측벽에서 내향으로 연장하는 돌출부를 가지며, 이것의 반송 휠의 축공에 끼워져 있고, 사이드 프레임이 내외측벽의 상단 사이에 걸쳐 연장하는 상부벽을 가지고 있으므로, 반송 휠은 사이드 프레임으로부터 노출되어 있지만, 스프로킷 및 체인은 사이드 프레임으로 덮혀 있다.
따라서, 반송 휠에 의한 반송물의 반송에는 지장을 초래할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구동기구에 작업자가 감겨들어갈 염려도 없이 안전하게 된다. 또, 프레임 내에 볼트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낙하하여 그것이 구동기구로 들어갈 염려도 없으며, 더욱이 구동기구에서 튀기는 작동유에 의해 작업자나 반송물이 더럽혀질 염려도 없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를 참조하면, 구동식 휠 컨베이어는 전후방향으로 뻗은 각이진 좌우 한쌍의 통 형상의 사이드 프레임(11)과, 양 사이드 프레임(11)에 각기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일열로 장착되어, 반송물(W)을 실은 펠릿(P)이 걸쳐져 있는 좌우 한쌍의 반송 유닛(12)의 열(列)을 구비하고 있다.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11) 및 반송 유닛(12)의 열은 좌우의 방향은 달리 하지만 동일한 구조의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제2도에 도시한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11) 및 하나의 반송 유닛(12)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사이드 프레임(11)은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각이진 통 형상의 것이며, 내측벽(21), 외측벽(22), 상부벽(23) 및 바닥벽(24)으로 이루어진다. 내측벽(21)에는 대직경의 베어링공(25)이, 외측벽(22)에는 소직경의 베어링공(26)이 동심형으로 뚫려 있다. 대직경의 베어링공(25)에는 대직경의 베어링(27)이 하우징(28)을 매개로하여 삽입되는 동시에, 소직경의 베어링공(26)에는 소직경의 베어링(29)이 직접 삽입되어 있다. 상부벽(23)의 중앙부에는 전후방향으로 뻗은 슬릿(31)이 형성되어 있고, 이 슬릿(31)을 폐쇄하는 커버(32)에 체인 가이드 레일(33)이 수직하방으로 돌출하는 형태로서 마련되어 있다. 커버(32)의 상면 내측연부에는 펠릿 가이드(34)가 부착되어 있다. 바닥벽(24)의 상면 중앙부에는 하부 체인 가이드 레일(35)이 설치되어 있다.
반송 유닛(12)은 사이드 프레임(11) 내를 횡단하도록 설치된 구동축(41)을 구비한다. 구동축(41)의 중간 지점에는 대직경의 베어링(27)을 지지하도록 대직경부(42)가 마련되어 있으며, 그것의 외측단에는 소직경의 베어링(29)을 지지하도록 소직경부(43)가 마련되어 있다. 대직경부(42)와 소직경부(43) 사이에는 중간직경부(44)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곳에 키이에 의해 스프로킷(45)이 고정된다. 스프로킷(45)에는 사이드 프레임(11) 내를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무한 체인(46)의 상부 이동부가 걸려 있다. 소직경부(43)의 외단부에는 금속제 보안캡(47)이 덮혀있다. 대직경부(42)의 내측단에 위치한 플랜지(48)를 매개로 하여 내측 돌출부(49)가 이어지고, 이곳에 반송 휠(51)이 부착된다. 즉, 내측 돌출부(49)에는 마찰링(52)이 키이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반송 휠(51)의 축공(53)에는 청동제 링부시(54)가 압입되어 있고, 이것의 내면과 마찰링(52) 외면이 활주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내측 돌출부(49)와 반송 휠(51) 사이에는 더스트 시일(dust seal)(55)이 개재되어 있다. 더스트 시일(55)에 의해 마찰링(52)의 외면과 부시(54) 내면간의 끼워맞춤 틈새가 덮혀 있어서 이들 양자 사이로 이물질 등이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내측 돌출부(49)의 내단부는 고무제 보안캡(56)으로 덮혀 있다.
대직경의 베어링공(25)의 내경이 스프로킷(45)의 외경보다 커서, 컨베이어의 조립시에는 대직경의 베어링공(25)을 통해 사이드 프레임 내로 스프로킷(45)이 삽입된다. 또, 스프로킷(45)에 체인(46)을 건 다음, 상부 커버(32)를 사이드 프레임(11)에 부착한다. 이것에 의해 스프로킷(45)과 가이드 레일(33) 사이에는 체인(46)을 통과시키는 틈새가 생기게 되어 스프로킷(45)에서 체인(46)이 벗겨질 염려가 없어진다.
체인(46)에 의해 스프로킷(45)을 회전 구동하면, 구동축(41)이 회전되고 마찰링(52)의 외면과 부시(54)의 내면과의 사이의 마찰저항에 의해 반송 휠(51)이 회전 구동된다.
반송 휠(51)에 펠릿(P)이 실려 있을 경우, 펠릿(P)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반송 휠(51)의 회전에 수반하여 순차적으로 펠릿(P)이 반송되어 가지만, 펠릿(P)의 이동을 저지하는 방향으로 펠릿(P)에 외력이 가해지면 마찰링(52)과 부시(54)와의 사이에 슬립이 생겨 펠릿(P)이 정지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반송 휠(51) 이외의 구동기구, 즉 구동축(41), 스프로킷(45) 및 체인(46)은 모두 사이드 프레임(11)으로 덮혀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구동기구에 감겨들어갈 염려가 없으며, 사이드 프레임(11)내로 이물질이 도입될 걱정도 없다. 물론, 구동기구에서 기름 등이 튀게 되는 경우도 없게 된다.

Claims (5)

  1. 내측벽, 외측벽, 상부벽 및 바닥벽을 갖고 반송방향으로 연장하는 통 형상의 사이드 프레임과, 사이드 프레임 내를 횡단하도록 내외측벽에 지지되고 내측벽을 관통하여 내향으로 연장하는 내측 돌출부를 갖는 구동축과, 내외측벽들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동축에 고정되어 있는 스프로킷과, 사이드 프레임 내에서 순환하도록 설치되어 스프로킷에 걸려 있는 무한 구동 체인과, 내측 돌출부가 삽입된 축공을 가지며 또한 축공의 둘레면과 내측 돌출부 외면과의 마찰저항에 의해 구동되는 반송 휠을 구비하고 있는 구동식 휠 컨베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내측벽의 구동축 관통 위치에는 스프로킷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베어링공이 뚫려 있으며, 이곳에 구동축을 관통하는 베어링이 하우징을 매개로 하여 끼워져 있는 구동식 휠 컨베이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부벽에 반송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릿이 형성되고, 슬릿을 폐쇄하는 상부 커버가 상부벽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부 커버의 하면에 체인가이드 레일이 수직 방향으로 돌출하게 마련되어 있는 구동식 휠 컨베이어.
  4. 제1항에 있어서, 구동축의 내외단부가 보안 캡으로 각기 덮혀 있는 구동식 휠 컨베이어.
  5. 제1항에 있어서, 축공의 둘레면과 내측 돌출부 외면과의 사이의 틈새의 내외측 양단이 더스트 시일로 각기 덮혀 있는 구동식 휠 컨베이어.
KR2019930026058U 1993-12-02 1993-12-02 구동식 휠 컨베이어 KR2001564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058U KR200156454Y1 (ko) 1993-12-02 1993-12-02 구동식 휠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058U KR200156454Y1 (ko) 1993-12-02 1993-12-02 구동식 휠 컨베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583U KR950018583U (ko) 1995-07-22
KR200156454Y1 true KR200156454Y1 (ko) 1999-10-01

Family

ID=19369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6058U KR200156454Y1 (ko) 1993-12-02 1993-12-02 구동식 휠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4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769B1 (ko) 2012-02-21 2014-04-10 이준석 체인 컨베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239Y1 (ko) * 2007-12-10 2010-03-25 승창산업주식회사 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769B1 (ko) 2012-02-21 2014-04-10 이준석 체인 컨베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583U (ko)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58496B1 (en) Drive Wheel Conveyor
EP0000105B1 (en) Roller assembly primarily for a chain conveyor and a chain conveyor including such a roller assembly
KR101550541B1 (ko) 호차
CA2252125A1 (en) Conveyor construction
US4770424A (en) Compact labyrinth-type seal
EP2082978A1 (en) Conveyor chain with side roller
JPS63261082A (ja) ワイヤ式窓昇降装置の駆動装置
AU2007304835B2 (en) Conveyor idler roller
KR200156454Y1 (ko) 구동식 휠 컨베이어
CA2413590C (en) Pantographic device for conveying loads in vehicle assembly lines
US5344001A (en) Conveyor chain with protective covers
FR2681055A1 (fr) Mecanisme telescopique bi-directionnel de transfert de charges.
EP0489486B1 (en) Bearing mounting arrangement for a lift mast
PT99190A (pt) Onjunto de rolamento vedado e conjunto transportador
KR100915504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850007772A (ko) 자전거와 같은 차량용 변속기어의 체인안내 인장아암의 결합장치
KR20190059875A (ko) 밀폐형 벨트컨베이어 장치
JP2565128Y2 (ja) 駆動式ホイールコンベヤ
US11104523B2 (en) Conveying and sorting apparatus
US5072824A (en) Endless chain for a traveling web transport assembly of a textile machine
US5566927A (en) Guard rail assembly
JP4108098B2 (ja) 粉塵防止型蝶番
EP0121021B1 (en) Conveyor roller
KR101760094B1 (ko) 수평형 제진기
US3276289A (en) Gear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