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6180Y1 - 식기세척건조기의 증기배출구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건조기의 증기배출구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180Y1
KR200156180Y1 KR2019940019835U KR19940019835U KR200156180Y1 KR 200156180 Y1 KR200156180 Y1 KR 200156180Y1 KR 2019940019835 U KR2019940019835 U KR 2019940019835U KR 19940019835 U KR19940019835 U KR 19940019835U KR 200156180 Y1 KR200156180 Y1 KR 2001561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outlet
outlet
cover
solenoid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98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073U (ko
Inventor
한대영
장재원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400198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180Y1/ko
Publication of KR9600070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0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1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1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04Steam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기세척건조기의 증기배출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증기배출동작이 진행되는 동안 계속해서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흘려주어야 함으로써 전류의 소비가 크다는 단점이 있었고, 고품질의 솔레노이드를 사용함에 따른 원가의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는 바, 증기배출구의 일측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일단부가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증기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구 커버와,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솔레노이드와, 증기배출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해 배출구 커버가 회전되었을 때 배출구 커버를 증기배출구의 상면에 고정시켜 증기배출구를 개방하는 상부 커버 고정수단고, 증기배출구의 하부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에 의해 상기 커버 고정수단에서 분리되어 증기배출구의 하면으로 이동되는 배출구 커버를 증기배출구의 하면에 고정시켜 증기배출구를 폐쇄하는 하부 커버고정 수단으로 구성되는 본 고안을 제공하여 건조동작시 증기배출구를 개방하기 위해 솔레노이드에 1회만 전류를 흘려주면 되기 때문에 전력의 소비량을 크게 줄일 수 있어 현저한 절전효과가 있고, 이에 따라 고품질의 솔레노이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원가의 비용이 절감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식기세척건조기의 증기배출구 개폐장치
제1도는 종래 식기세척건조기의 건조장치의 외관사시도.
제2도는 종래 식기세척건조기의 증기배출구 개폐장치의 구성을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식기세척건조기의 증기배출구 개폐장치의 구성을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제4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 장치의 동작상태를 보인 것으로,
제4도는 솔레노이드 작동시의 동작상태도.
제5도는 도어 열린상태에서의 동작상태도.
제6도는 도어가 닫히고 있는 상태에서의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도어 12 : 증기배출구
13 : 배출구 커버 13a : 철판
13b : 자석 14 : 회전축
15 : 후크 16 : 팁
17 : 스프핑 18 : 솔레노이드
19 : 실런더 20 : 자석
21 : 철판
본 고안은 식기세척건조기의 증기배출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비전력을 줄여 에너지의 소비를 절감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식기세척건조기에 증기배출구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식기세척건조기에서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기의 본체(1) 일측부에 형성된 증기배출구(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증기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구 커버(6)와, 상기 배출구 커버(6)가 개폐되는 회전중심인 회전축(7)과, 상기 회전축(7)과 연결되어 증기배출구(5)를 개방하는 솔레노이드(8)와, 상기 증기배출구(5)를 폐쇄하는 쪽으로 솔레노이드(8)에 탄력설치되어 있는 스프링(9)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2는 송풍장치, 3은 에어 가이드, 4는 덕트를 보인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되어 있는 식기세척건조기에서 증기를 배출하는 동작은 먼저, 식기의 세척시에는 솔레노이드(8)에 장착된 스프링(9)의 힘에 의해 회전축(7)이 배출구 커버(6)를 닫히는 위치로 회전시켜 증기배출구(5)를 차단함으로써 물이나 오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건조동작시에는 솔레노이드(8)가 회전축(7)을 끌어 당겨 줌으로써 배출구 커(6)가 개방되는 위치로 회전되어 증기배출구(5)가 개방됨으로써 증기가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식기세척기의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건조동작이 종료되면, 솔레노이드(8)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여 스프링(9)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배출구 커버(6)가 증기배출구(5)를 닫아주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식기세척건조기의 건조동작은 솔레노이드(8)에 전류를 흘려 회전축(7)을 회전시키고, 이 회전축(7)의 회전으로 인해 배출구 커버(6)을 개방함으로써 증기를 배출토록 하고 있어 건조동작시간(약 15분에서 20분 소요)동안 계해해서 솔레노이드(8)에 전류를 흘려주어야 하므로 전류의 소비량이 크다는 단저이 있었고, 이와같이 오랜시간 동안 계속해서 작동되기 위해서는 제품의 효율이 높거나 출력이 높은 고품질의 솔레노이드를 사용해야하므로 원가비용이 상송되는 결함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조동작시 솔레노이드를 계속 동작시키는 불합리함을 지양하여 전력의 소비량을 절감함과 아울러 솔레노이드의 작동량을 감소시켜 고품질의 솔레노이드 사용을 배제할 수 있어 원가의 비용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증기배출구의 일측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일단부가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증기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구 커버와, 상기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솔레노이드와, 증기배출구의 상부에 설치되어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해 배출구 커버가 회전되었을 때 배출구 커버를 증기배출구의 상면에 고정시켜 증기배출구를 개방하는 상부 커버고정수단과, 증기배출구의 하부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에 의해 상기 커버 고정수단에서 분리되어 증기배출구의 하면으로 이동되는 배출구 커버를 증기배출구의 하면에 고정시켜 증기배출구를 폐쇄하는 하부 커버고정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건조기의 증기배출구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배출구 커버의 일측면에는 상기 상부 커버고정수단과 결합되는 철판이 설치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상기 하부 커버고정수단과 결합되는 자석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커버고정수단은 증기배출구의 상면에서 경사지게 설치된 실린더와, 상기 실런더 내측에서 도어의 개폐에 의해 유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증기배출구의 상면에 위치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해 회전된 배출구 커버를 잡아주고 도어가 열린상태에서는 자중에 의해 증기배출구의 상면 반대쪽으로 이동되어 배출구 커버를 놓아주는 자석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커버고정수단은 상기 상부 커버고정수단과 분리된 배출구 커버가 도어의 폐쇄시 증기배출구의 하면으로 회전되면 배출구 커버와 결합되어 증기배출구를 닫아주는 철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의 일측부에는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에는 상기 후크를 잡아당겨 배출구 커버를 회전시키는 팁이 구비됨과 아울러 팁의 하강 후 다시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일실실례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식기세척건조기의 증기배출구 개폐장치의 구성을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도어(11)의 일정부위에 증기배출구(12)가 형성되고, 상기 증기배출구(12)의 상면에 배출구 커버(13)가 회전축(1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14)의 일측부에는 후크(1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크(15)와 접촉되어 배출구 커버(13)를 회전시키는 갈고리 형상의 팁(16)을 구비함과 아울러 스프링(17)이 장착된 솔레노이드(1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출구 커머(13)에는 일측면에 철판(13a)이 설치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자석(13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증기배출구(12)의 상부에는 상기 솔레노이드(18)에 의해 배출구 커버(13)가 회전되었을 때 배출구 커버(13)를 고정시켜줌으로써 증기배출구(12)를 개방시키는 상부 커버고정수단으로서 증기배출구(12)의 상면에서 경사지게 실린더(19)를 설치하고, 상기 실린더(19) 내측에는 자석(20)을 도어(11)의 개폐에 의해 유동가능하게 설치하여 도어(11)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자석(20)이 증기배출구(12)의 상면에 위치하여 상기 솔레노이드(18)에 의해 회전된 배출구 커버(13)를 잡아주고 도어(11)가 열린상태에서는 자중에 의해 증기배출구(12)의 상면 반대측으로 자석(20)이 이동되어 배출구 커버(13)를 놓아주도록 한다.
그리고, 증기배출구(12)의 하부에는 상기 자석(20)과 분리된 배출구 커버(13)가 도어(11)의 폐쇄시 증기배출구(12)의 하면으로 회전되면 배출구 커버(13)와 결합되어 증기배출구(12)를 닫아주도록 커버(13)를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철판(21)을 설치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식기세척건조기의 증기배출구 개폐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제4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4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 장치의 동작상태를 보인 것으로, 제4도는 솔레노이드 작동시, 제5도는 도어 열린상태, 제6도는 도어가 닫히고 있는 상태에서의 동작상태도로서, 식기세척건조기가 세척/헹금동작시에는 배출구 커버(13)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증기배출구(12)를 통해 물이 흘러나가거나, 소음이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후 건조동작이 개시되면, 솔레노이드(18)의 팁(16)이 하측으로 이동되어 배출구 커버(13)가 결합되어 있는 회전축(14)의 후크(15)를 잡아당겨주어 회전축(14)이 회전되고, 이에 따라 배출구 커버(13)는 증기배출구(12)의 상면과 맞닿는 제4도의 점선위치까지 이동된다. 이 때 솔레노이드(18)는 스프링(17)의 복원력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증기배출구(12)의 상면과 맞닿게 된 배출구 커버(13)는, 증기배출구(12)의 상부 실린더(19)에 설치되어 있는 자석(20)과 커버(13)의 철판(13a)이 서로 부착되어 상기 배출구 커버(13)가 증기배출구(12)의 상면에 고정된다. 이와같이 배출구 커버(13)가 증기배출구(12)의 상면에 고정됨으로써 건조동작이 진행되는 동안 증기배출구(12)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건조동작이 종료된 후에 세척기의 도어(11)를 열어주게 되면, 제5도에 도시한 바처럼, 실린더(19)의 내부에서 유동가능하게 내장되어 있는 자석(20)이 자중으로 인해 배출구 커버(13)의 철판(13a)과 결합되어 있던 힘을 이기고 하방향으로 내려오게 됨으로써 상기 배출구 커버(13)가 증기배출구(12)의 상면에서 고정되어 있는 힘이 완전히 제거된다.
이 후, 도어(11)를 닫아주게 되면, 도어(11)가 회전하는 동작 중에 배출구 커버(13)는 증기배출구(12)의 상면에서 떨어지게 되며, 제6도에서와 같이 실린더(19)가 완전한수평을 이룰 때까지 자석(20)은 실린더(19)의 바닥면에 그대로 위치하게 된다.
도어(11)가 완전히 닫히게 되면, 제4도에서와 같이, 자석(20)은 실런더(19) 내에서 본래의 위치로 복귀되며, 배출구 커버(13)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자석(13b)이 증기배출구(12)이 하면에 설치되어 있는 철판(21)과 접착되어 배출구 커버(13)는 증기배출구(12)를 닫은 체로 고정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식기세척건조기의 증기배출구 개폐장치는 건조동작시 증기배출구를 개방하기 위해 솔레노이드에 1회만 전류를 흘려주면 되기 때문에 전력의 소비량을 크게 줄일 수 있어 현저한 절전효과가 있고, 이에 따라 고품질의 솔레노이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원가의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영구자석을 사용함으로써 동작이 확실하고, 배출계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증기배출구의 일측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일단부가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증기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구 커버와,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솔레노이드와, 증기배출구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해 배출구 커버가 회전되었을 때 배출구 커버를 증기배출구의 상면에 고정시켜 증기배출구를 개방하는 상부 커버고정수단과, 증기배출구의 하부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에 의해 상기 커버 고정수단에서 분리되어 증기배출구의 하면으로 이동되는 배출구 커버를 증기배출구의 하면에 고정시켜 증기배출구를 폐쇄하는 하부 커버고정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건조기의 증기배출구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고정수단은 증기배출구의 상면에서 경사지게 설치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내측에서 도어의 개폐에 의해 유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도어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증기배출구의 상면에 위치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해 회전된 배출구 커버를 잡아주고 도어가 열린상태에서는 자중에 의해 증기배출구의 상면 반대측으로 이동되어 배출구 커버를 놓아주는 자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건조기의 증기배출구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고정수단은 상기 상부 커버 고정수단과 분리된 배출구 커버가 도어의 폐쇄시 증기배출구의 하면으로 회전되면 배출구 커버와 결합되어 증기배출구를 닫아주는 철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건조기의 증기배출구 개폐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 커버의 일측면에는 상기 상부 커버고정수단과 결합되는 철판이 설치되고, 하단부에는 상기 하부 커버고정수단과 결합되는 자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건조기의 증기배출구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일측부에는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솔레노이드에는 상기 후크를 잡아당겨 배출구 커버를 회전시키는 팁이 구비됨과 아울러 팁의 하강 후 다시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건조기의 증기배출구 개폐장치.
KR2019940019835U 1994-08-05 1994-08-05 식기세척건조기의 증기배출구 개폐장치 KR2001561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9835U KR200156180Y1 (ko) 1994-08-05 1994-08-05 식기세척건조기의 증기배출구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9835U KR200156180Y1 (ko) 1994-08-05 1994-08-05 식기세척건조기의 증기배출구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073U KR960007073U (ko) 1996-03-13
KR200156180Y1 true KR200156180Y1 (ko) 1999-09-01

Family

ID=19390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9835U KR200156180Y1 (ko) 1994-08-05 1994-08-05 식기세척건조기의 증기배출구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1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324B1 (ko) * 1998-09-17 2005-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증기배출구 개폐장치 및 개폐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324B1 (ko) * 1998-09-17 2005-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증기배출구 개폐장치 및 개폐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073U (ko) 1996-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2274B2 (en) Clothes dryer
CN101165262B (zh) 微型全自动洗衣机
CN100497790C (zh) 滚筒式洗衣机
KR20070082377A (ko) 세탁장치의 사이펀 작용 방지 구조
JP2518130B2 (ja) 食器洗浄器
KR200156180Y1 (ko) 식기세척건조기의 증기배출구 개폐장치
US2712746A (en) Washing machine detergent dispenser
US20040107740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apparatus for water supply thereof
JPH09308788A (ja) 洗濯機
KR950007073B1 (ko) 세탁기의 부분 세탁장치
KR960008760B1 (ko) 식기세척기의 증기 배출구 개폐장치
JPH09206269A (ja) 食器洗い機
KR100424315B1 (ko) 드럼세탁기의 터브
EP0418204B1 (en) Self-cleaning device for hydro-massage appliances
KR20060095843A (ko) 식기세척기
KR940007662Y1 (ko) 식기세척기의 건조장치
JPS60842Y2 (ja) 食器洗い機の排気構造
KR970010430B1 (ko) 세식기
KR20040069135A (ko) 드럼 세탁기의 리프트
JPH03178628A (ja) 食器洗い機
JP2000350693A (ja) 食器洗い機
KR200191349Y1 (ko) 식기세척건조기의 증기배출구 개폐장치
JP2715231B2 (ja) 食器洗浄器
JPH0221017Y2 (ko)
JP3398011B2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