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6089Y1 - 주방가구용 문짝의 표,리면 변경구조 - Google Patents

주방가구용 문짝의 표,리면 변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6089Y1
KR200156089Y1 KR2019960023359U KR19960023359U KR200156089Y1 KR 200156089 Y1 KR200156089 Y1 KR 200156089Y1 KR 2019960023359 U KR2019960023359 U KR 2019960023359U KR 19960023359 U KR19960023359 U KR 19960023359U KR 200156089 Y1 KR200156089 Y1 KR 2001560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upport
fastening bolt
sink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33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6425U (ko
Inventor
장동만
Original Assignee
장동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동만 filed Critical 장동만
Priority to KR20199600233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6089Y1/ko
Publication of KR9800064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64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60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60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11Door leaves with easily replaceable or interchangeable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용가구중 특히 씽크대에 적용되는 문짝에 있어 전면에 노출되는 표면과 내부에 위치되는 이면을 상호 위치변경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씽크대 전면에 힌지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를 구비하고 지지대의 측면에는 탄발스프링에 의해 내향의 당김력이 부여되는 체결보울트와, 역시 탄발스프링에 의해 외향으로의 미는힘이 부여되는 문짝의 홀딩구조를 구비시키고 이에 문짝을 결합시켜 문짝이 체결보울트를 중심으로 상하 회전이 가능토록 하므로써 문짝의 표,리면을 선택적으로 신속 간편하게 외부노출 위치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사용에 편의성을 기함과 동시에 이면에도 표면과 같이 외부노출에 어울리는 무늬나 색상을 부여할 수 있게 되므로 즉 표,리면을 동일한 효과로 구별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도료칠이나 문짝의 교체없이 주방의 환경을 새롭게 창출할 수 있게 되므로 장기간 사용에 따른 식상함을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주방가구용 문짝의 표,리면(表,裏面)변경구조
본 고안은 주방용가구중 특히 씽크대에 적용되는 문짝에 있어 전면에 노출되는 표면과 내부에 위치되는 이면을 상호 위치변경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씽크대 전면에 힌지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를 구비하고 지지대의 측면에는 탄발스프링에 의해 내향의 당김력이 부여되는 체결보울트와, 역시 탄발스프링에 의해 외향의 미는힘이 부여되는 문짝의 홀딩구조를 구비시키고 이에 문짝을 결합시켜 문짝이 체결보울트를 중심으로 상하 회전이 가능토록 하므로써 문짝의 표,리면을 선택적으로 신속 간편하게 외부노출 위치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사용에 편의성을 기함과 동시에 이면에도 표면과 같이 외부노출에 어울리는 무늬나 색상을 부여할 수 있게 되므로 즉 표,리면을 동일한 효과로 구별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도료칠이나 문짝의 교체없이 주방의 환경을 새롭게 창출할 수 있게 되어 장기간 사용에 따른 식상함을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씽크대에 적용되는 기존의 문짝구조는 대개 단일 판체로 구성되는 문짝을 힌지를 이용하여 씽크대의 전면에 회동가능 하게 설치시킨 것으로 외부로 노출되는 문짝의 표면과 씽크대 내부에 위치되는 이면이 상호 변경 불가능하게 고정되는 상태인 것으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노출 되었던 것이다.
⊙ 문짝의 표면과 이면이 별도로 구분되는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외부로 노출되는 문짝의 표면이 이면과 상호 위치변경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어서 장기간 사용시 색상이나 무늬 등에 식상함을 초래하게 되고 따라서 제품 외관의 미적인 효용가치가 저하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구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씽크대 전면에 힌지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를 구비하고 지지대의 측면에는 탄발스프링에 의해 내향몰입력이 부여되는 체결보울트와, 역시 탄발스프링에 의해 외향의 돌출력이 부여되는 문짝의 홀딩구조를 구비시키고 이에 문짝을 결합시켜 문짝이 체결보울트를 중심으로 상하회전이 가능토록 하므로써 문짝의 표,리면을 선택적으로 신속 간편하게 외부노출 위치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사용에 편의성을 기함과 동시에 이면에도 표면과 같이 외부노출에 어울리는 무늬나 색상을 부여할 수 있게 되므로 즉 표,리면을 동일한 효과로 구별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도료칠이나 문짝의 교체없이 주방의 환경을 새롭게 창출할 수 있게 되므로 장기간 사용에 따른 식상함을 배제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요부인 지지대와 문짝의 분리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보이는 요부절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요부인 문짝의 홀딩구조를 보이는 요부절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설치공 32 : 탄발스프링
33 : 체결보울트 51 : 유동공간
52 : 탄발스프링 53 : 밀봉
본 고안에 의한 문짝의 표,리면 변경구조는 힌지(미도시됨)를 이용하여 씽크대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착설되며 후면내측에 종으로 걸림턱(1A)을 구비하는 지지대(1)와; 상기 지지대(1) 중간내부의 설치공(31)내에 설치되는 탄발스프링(32)과, 이 탄발스프링(32)에 탄설되어 내향의 당김력이 부여되는 상태로 나사부(33')가 설치공(31)의 유통공(31')을 통해 지지대(1)의 내측벽면으로 노출되는 체결보울트(33)를 포함하는 회동지지구조(3)와; 상기 회동지지구조(3)의 상, 하방에 각각 설치되며 유동공간(51)내에 설치되는 탄발스프링(52)과, 이 탄발스프링(52)에 탄설되어 외향의 미는 힘이 부여되는 상태로 머리부(53')가 유동공간(51)의 통공(51')을 통해 지지대(1)의 내측벽면으로 돌출되는 밀봉(53)을 포함하는 문짝홀딩구조(5)와; 상기 지지대(1)와 결합되는 문짝(6)의 내측벽면 중간에 설치되어 체결보울트(33)의 나사부(33')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공(7)과; 상기 체결공(7)의 상,하방에 각각 형성되며 지지핀(53)의 머리부(53')가 삽지되기 위한 요홈(8)을 각각 결합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문짝(6)을 지지대(1)에 결합시켜 주기 위해서는 문짝(6)의 체결공(7)을 지지대(1)의 유통공(31')으로 노출되는 체결보울트(33)의 나사부(33')에 접촉시킨 뒤 문짝(6)을 나사 결합방향으로 돌려 주면 탄발스프링(32)을 수축시키면서 나사부(33')가 체결공(7)에 진입 체결되는 것이며 지지핀(53)의 머리부(53')는 문짝(6)의 요홈(8)에 삽지되는 것으로 문짝(6)이 무단으로 유동됨없이 지지대(1)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문짝(6)의 표,리면을 바꿔주기 위해서는 도2에서와 같이 문짝(6)을 잡아당겨 지지대(1)의 걸림턱(1A)에서 문짝(6)의 내측단이 빠져나오게 한 뒤 체결 보울트(33)를 중심으로 문짝(6)을 상하로 회전시켜 표,리면을 변경시킨 다음 지지대(1)와 문짝(6)을 일치시킨 뒤 당김력을 해제하면 수축되었던 탄발스프링(32)이 탄발 되면서 체결보울트(33)를 당겨 문짝(6)을 초기와 같이 지지대(1)의 걸림턱(1A)에 걸린 상태로 결합되게 하는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구조에 비해 문짝의 표,리면을 선택적으로 신속 간편하게 외부노출 위치로 변경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사용에 편의성을 기함과 동시에 이면에도 표면과 같이 외부노출에 어울리는 무늬나 색상을 부여할 수 있게 되므로 즉 표,리면을 동일한 효과로 구별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도료칠이나 문짝의 교체없이 주방의 환경을 새롭게 창출할 수 있게 되므로 미적 효용가치의 향상과 장기간 사용에 따른 식상함을 배제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힌지(미도시됨)를 이용하여 씽크대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착설되며 후면내측에 수직으로 걸림턱(1A)을 구비하는 지지대(1)와; 상기 지지대(1) 중간내부의 설치공(31)내에 설치되는 탄발스프링(32)과, 이 탄발스프링(32)에 탄설되어 내향의 당김력이 부여되는 상태로 나사부(33')가 설치공(31)의 유통공(31')을 통해 지지대(1)의 내측벽면으로 노출되는 체결보울트(33)를 포함하는 회동지지구조(3)와; 상기 회동지지구조(3)의 상, 하방에 각각 설치되며 유동공간(51)내에 설치되는 탄발스프링(52)과, 이 탄발스프링(52)에 탄설되어 외향의 미는 힘이 부여되는 상태로 머리부(53')가 유동공간(51)의 통공(51')을 통해 지지대(1)의 내측벽면으로 돌출되는 밀봉(53)을 포함하는 문짝홀딩구조(5)와; 상기 지지대(1)와 결합되는 문짝(6)의 내측벽면 중간에 설치되어 체결보울트(33)의 나사부(33')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너트(7)과; 상기 체결너트(7)의 상,하방에 각각 형성되며 지지핀(53)의 머리부(53')가 삽지되기 위한 요홈(8)을 각각 결합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가구용 문짝의 표,리면(表,裏面)변경구조.
KR2019960023359U 1996-07-31 1996-07-31 주방가구용 문짝의 표,리면 변경구조 KR2001560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3359U KR200156089Y1 (ko) 1996-07-31 1996-07-31 주방가구용 문짝의 표,리면 변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3359U KR200156089Y1 (ko) 1996-07-31 1996-07-31 주방가구용 문짝의 표,리면 변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425U KR980006425U (ko) 1998-04-30
KR200156089Y1 true KR200156089Y1 (ko) 1999-09-01

Family

ID=19463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3359U KR200156089Y1 (ko) 1996-07-31 1996-07-31 주방가구용 문짝의 표,리면 변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608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425U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7871A (en) Outwardly swinging shower door hinge having a concealed knuckle
WO1998022680A1 (en) Device for a door hinge structure
RU2040687C1 (ru) Корпус шарнира
JP3040482B2 (ja) 開閉装置キャビネット用のフレーム構造体
CA2237245A1 (en) Cabinet with removable tambour door
US4862642A (en) Decorative fixtures
KR200156089Y1 (ko) 주방가구용 문짝의 표,리면 변경구조
CA2102418A1 (en) Furniture hinge
KR200156093Y1 (ko) 주방가구용 문짝의 표,리면 변경구조
KR200156092Y1 (ko) 주방가구용 문짝의 표,리면 변경구조
KR200396287Y1 (ko) 유리문 장식샤시 모서리 연결구조
KR200156088Y1 (ko) 주방가구용 문짝의 표,리면 변경구조
CN214498729U (zh) 一种可调节铰链组件及相应的开合装置
GB2508966A (en) Selectively lockable three leaf hinge
KR200394861Y1 (ko) 가구용 힌지
GB2311095A (en) Hinge
KR200180536Y1 (ko) 출입문용 경첩
KR200289681Y1 (ko) 조립식 화장실의 칸막이 고정장치
ITUD940072A1 (it) Tazza per cerniera con sistema di fissaggio amovibile in un elemento di mobile
NL8002734A (nl) Meubel.
IT202200001310U1 (it) Cerniera a scomparsa
KR200198730Y1 (ko) 행거
KR200259603Y1 (ko) 가구문회전조절장식
JP2534124Y2 (ja) 机とテーブルの連結装置
JPH034918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