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681Y1 - 조립식 화장실의 칸막이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화장실의 칸막이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681Y1
KR200289681Y1 KR2020020015702U KR20020015702U KR200289681Y1 KR 200289681 Y1 KR200289681 Y1 KR 200289681Y1 KR 2020020015702 U KR2020020015702 U KR 2020020015702U KR 20020015702 U KR20020015702 U KR 20020015702U KR 200289681 Y1 KR200289681 Y1 KR 2002896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fastening
cover
wall surface
fasten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7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수
Original Assignee
박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수 filed Critical 박진수
Priority to KR20200200157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6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6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681Y1/ko

Links

Landscapes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화장실의 칸막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장실용 칸막이(12)를 벽면(W)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로써; 상기 칸막이 및 벽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일정한 각도를 가지면서 길이상으로 형성되는 한쌍의 밀착부(22,24)와, 상기 밀착부 사이에서 돌출 성형되고 중심부분에 길이방향의 체결홈(26a)을 구비하는 지지구(20)와; 상기 밀착부를, 칸막이 및 벽면에 체결하는 복수개의 스크류; 상기 밀착부의 외측단부 사이를 막을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고, 중심부분의 이면에는 상기 체결홈(26a)에 끼워져 고정되는 체결돌기(32)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30)를 포함한다. 커버의 전면부(34)는 칸막이의 표면과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조립식 화장실의 칸막이 고정장치{Device for fixing partition for fabricated toilet booth}
본 고안은 조립식 화장실의 칸막이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식 화장실의 벽을 형성하는 칸막이를 벽면 또는 전면에 고정할 때, 고정용 스크류가 노출되지 않으면서,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조립식 화장실의 칸막이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조립식 화장실의 횡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식 화장실은, 전면이 열려있는 ㄷ자형의 벽면(W)에 설치되는 것으로, 가로방향으로 화장실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2)와, 상기 칸막이(2)의 전면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전면프레임(4), 그리고 상기 전면프레임(4)에 힌지(H)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내부의 화장실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화장실을 구성하기 위한 칸막이(2)는 벽면(W)에 고정된 상태로 지지되어야 하고, 전면프레임(4)은 상기 칸막이(2)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는 상태로 조립되어야 한다.
도 1의 각각의 확대부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칸막이(2)가 벽면(W)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전면이 개구된 단면 ㄷ자형상의 프레임(8)을 사용하고 있다. 먼저 상기 프레임(8)을 스크류(Sa)를 이용하여 벽면(W)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렇게 프레임(8)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8)의 개구된 전면을 통하여 칸막이(2)를 밀어넣고, 좌우양측에서는 복수개의 스크류(Sb,Sc)를 이용하여 상기 프레임(8)과 칸막이(2)를 체결한 상태로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칸막이(2)와 전면프레임(4)의 고정구조를 살펴보면, 단면이 ㄴ자형인 프레임(9)을 이용하고 있다. 즉 단면이 ㄴ자형상을 가지는 프레임(9)의 양측면에 복수개의 스크류(Sd)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프레임(9)에 칸막이(2) 및 전면프레임(4)을 동시에 고정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단점이 지적된다.
칸막이(2)를 벽면(W)에 고정하거나, 칸막이(2)와 전면프레임(4)을 고정하기위하여 프레임(8,9)을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프레임(8,9)에 체결되는 스크류(Sa,Sb,Sc,Sd)이 외부에 완전하게 노출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칸막이(2) 및 전면프레임(4)의 연결부분에 사용되는 복수개의 체결용 스크류가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외관상 일체감을 제공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많은 스크류 사용이 바람직하지 못하게 되어, 견고성에도 일정한 한계가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일체화되는 미감을 제공할 수 있음과 동시에 견고한 지지가 가능한 칸막이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칸막이 고정장치를 보인 예시 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칸막이 고정장치를 보인 예시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 칸막이 20 ..... 지지구
22, 24 ..... 밀착부 26 ..... 체결돌출부
30 ..... 커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화장실용 칸막이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로써; 상기 칸막이 및 벽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일정한 각도를 가지면서 길이상으로 형성되는 한쌍의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 사이에서 돌출 성형되고 중심부분에 길이방향의 체결홈이 성형된 체결돌출부를 구비하는 지지구; 상기 밀착부를, 칸막이 및 벽면에 체결하는 복수개의 스크류; 상기 밀착부의 외측단부 사이를 막을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고, 중심부분의 이면에는 상기 체결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의 전면부는 칸막이의 표면과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칸막이 고정장치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W)에 칸막이(12)를 고정하기 위하여, 지지구(20)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지지구(20)는 칸막이(12)를 지지할 수 있는 일정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재질의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예를 들면 알미늄을 압출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만들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지지구(20)는, 거의 직각을 가지고 벽면(W) 및 칸막이(12)에 밀착되는 한쌍의 밀착부(22,24)를 구비하고 있으며,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있다. 상기 지지구(20)의 길이는, 칸막이(12)에 대응하도록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칸막이(12)와 벽면(W) 전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밀착부(22,24)에는, 각각 스크류(Sm,Sn)가 체결됨으로써, 각각 칸막이(12)와 벽면(W)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Sm,Sn)은, 상기 지지구(20)의 상하 길이를 따라 복수개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실질적으로 칸막이(12)가 벽면(W)에 대하여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갯수가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구(20)의 밀착부(22,24)의 중간부분에는 체결돌출부(26)가 외측으로 돌출 성형되어 있다. 상기 체결돌출부(26)는 중간부분에 체결홈(26a)을 구비하고 있는데, 이러한 체결홈(26a)은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고, 후술하는 체결돌기부(32)가 내부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체결홈(26a)의 내부는 치형과 같은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결합되는 체결돌기부(32)가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즉, 상기 체결돌기부(32)의 외측면에는 치형과 유사한 복수개의 체결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홈(26a)의 내면에는 상기 체결돌기부와 형합하는 체결홈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양자가 체결될 수 있고 임의로 해체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지지구(20)가 스크류(Sm,Sn)에 의하여 벽면(W) 및 칸막이(12)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구(20)의 외측에는 커버(30)가 설치된다. 상기 커버(30)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지지구(20)에 체결된 복수개의 스크류(Sm,Sn)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버(30)는, 일정한 폭을 가지고 상기 지지구(20)와 대응하는 상하 방향의 길이를 가지고 상기 지지구(20)의 외측에 설치된다. 상기 커버(30)는 지지구(20)와 동일한 알미늄으로 만들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일정한 강도를 가지는 합성수지재로 만들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커버(30)의 내측 중간부분에는 체결돌기부(32)가 돌출 성형되어 있다. 상기 체결돌기부(32)는, 커버(30)가 모서리부분에 장착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체결홈(26a)의 내부에 끼워져서, 커버(30)가 지지구(20)의 외측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체결돌기부(32)와 체결홈(26a)의 구성은, 양자가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로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체결돌기부(32)의 외주면에 돌기부(32a)를 형성하여 체결홈(26a)을, 각각 서로 결합될 수 있는 치형형상으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홈(26a) 및 체결돌기부(32)는, 체결돌기부(32)가 체결홈(26a)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체결돌기부(32)가 체결홈(26a)에 억지끼움으로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상기 체결돌기부(32)의 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홈(26a)에 상기 돌기가 삽입되어 체결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길이방향의 홈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그리고 이렇게 상기 체결돌기부(32)가 체결홈(26a)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30)는 실질적으로 상기 한쌍의 밀착부(22,24)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밀착부(22,24)에 체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스크류(Sm,Sn)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커버(30)의 전면부(34)는, 칸막이(12)와 동일한 미감을 가지는 재질의 것으로 성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쇄된 종이에 수지 등이 도포되고 압축되어 만들어지는 HPL(High Press Laminate), 합성수지 또는 도장층 등과 같은 필름상태의 것을 이용하여 상기 커버(30)의 전면부(34)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칸막이(12)의 표면과 커버(30)의 전면부(34)를 동일한 재질의 것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커버(30)와 칸막이(12)는 동일한 미감, 즉 일체화된 미감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칸막이(12)와 벽면(W)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한 고정장치는, 칸막이와 전면프레임(도 1 참조)에도 적용가능함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칸막이(12)와 벽면(W)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본 고안의 지지장치에서 사용되는 복수개의 체결 스크류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30)의 전면부(34)를 칸막이(12)와 동일한 재질로 표면처리하는 것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일체화된 미감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고안은 첨부한 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칸막이을 벽면에 지지하는 구조에서 사용되는 체결용 스크류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외관상 깨끗한 미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이고, 강도 유지에 필요한 만큼의 스크류를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커버의 전면부를 칸막이와 동일한 재질의 것으로 성형하는 것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외관이 전체적으로 통일된 미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될 것이다.

Claims (3)

  1. 화장실용 칸막이(12)를 벽면(W)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로써;
    상기 칸막이 및 벽면에 각각 밀착되도록 일정한 각도를 가지면서 길이상으로 형성되는 한쌍의 밀착부(22,24)와, 상기 밀착부 사이에서 돌출 성형되고 중심부분에 길이방향의 체결홈(26a)이 성형된 체결돌출부(26)를 구비하는 지지구(20)와;
    상기 밀착부를, 칸막이 및 벽면에 체결하는 복수개의 스크류;
    상기 밀착부의 외측단부 사이를 막을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고, 중심부분의 이면에는 상기 체결홈(26a)에 끼워져 고정되는 체결돌기부(32)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장실 칸막이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전면부(34)는 칸막이의 표면과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장실 칸막이 고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부(32)의 외면에는 다수개의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홈(26a)의 내면에는 상기 돌기부가 형합하는 복수개의 체결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화장실 칸막이 고정장치.
KR2020020015702U 2002-05-22 2002-05-22 조립식 화장실의 칸막이 고정장치 KR2002896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702U KR200289681Y1 (ko) 2002-05-22 2002-05-22 조립식 화장실의 칸막이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702U KR200289681Y1 (ko) 2002-05-22 2002-05-22 조립식 화장실의 칸막이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9681Y1 true KR200289681Y1 (ko) 2002-09-19

Family

ID=73123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702U KR200289681Y1 (ko) 2002-05-22 2002-05-22 조립식 화장실의 칸막이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68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061B1 (ko) * 2002-07-19 2005-05-06 박진수 조립식 화장실의 칸막이 고정장치
KR200449380Y1 (ko) 2007-11-02 2010-07-07 우진내외장건설(주) 칸막이의 설치구조
KR200465251Y1 (ko) 2010-11-23 2013-02-07 윤장노 조립식화장실용 측면판 고정지지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061B1 (ko) * 2002-07-19 2005-05-06 박진수 조립식 화장실의 칸막이 고정장치
KR200449380Y1 (ko) 2007-11-02 2010-07-07 우진내외장건설(주) 칸막이의 설치구조
KR200465251Y1 (ko) 2010-11-23 2013-02-07 윤장노 조립식화장실용 측면판 고정지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7590B2 (en) Fixing device for a rail
BG63405B1 (bg) Закрепващо средство за екраниращо устройство
KR200289681Y1 (ko) 조립식 화장실의 칸막이 고정장치
US7228597B2 (en) Partition apparatus and hinge apparatus
KR200368928Y1 (ko) 조립식 화장실의 칸막이 고정장치
JP2005066122A (ja) 照明付き収納体の構造
KR100488061B1 (ko) 조립식 화장실의 칸막이 고정장치
RU196645U1 (ru) Профиль дверной коробки
JP3975474B2 (ja) 採光窓付きドア
KR200382764Y1 (ko) 조립식 화장실의 커버 연결장치
JP2000136678A (ja) 建 具
JP2000104459A5 (ko)
JP3815009B2 (ja) 二部材の連結装置
KR100647729B1 (ko) 조립식화장실용 벽체단부지지틀
EP3981940A1 (en) Door kit comprising a frame and interchangeable jambs
KR200237257Y1 (ko) 글라스 샤워부스
KR200246919Y1 (ko) 도어용 장식테
KR100510923B1 (ko) 가변형 문틀커버
KR200372609Y1 (ko) 조립식 문틀
GB2330593A (en) Trim strip for fittings in false ceilings
KR200227612Y1 (ko) 조립식 책상의 측판과 뒷판의 연결구조
KR950003835Y1 (ko) 장식장 유리문의 힌지장치
JP4131942B2 (ja) ガラスブロック付きサッシ
JPS6111433Y2 (ko)
KR200281319Y1 (ko) 유리부스용 바아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