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5937Y1 - 오버헤드캠 엔진의 기어 백래시 자동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오버헤드캠 엔진의 기어 백래시 자동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5937Y1
KR200155937Y1 KR2019960067006U KR19960067006U KR200155937Y1 KR 200155937 Y1 KR200155937 Y1 KR 200155937Y1 KR 2019960067006 U KR2019960067006 U KR 2019960067006U KR 19960067006 U KR19960067006 U KR 19960067006U KR 200155937 Y1 KR200155937 Y1 KR 2001559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am
shaft
engine
backl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70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3816U (ko
Inventor
채규승
Original Assignee
추호석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호석,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추호석
Priority to KR20199600670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5937Y1/ko
Publication of KR199800538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38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59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59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17Toothed wheels
    • F16H55/18Special devices for taking up backl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어의 백래시(Back lash)를 자동 조정 오버헤드캠 엔진의 기어 백래시 자동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엔진하부의 크랭크축으로부터의 기어와 아이들기어로 연결되는 캠기어사이에 어드저스터기어 가치합되니 오너래드 캠은 구동케한 오버헤드캠 엔진에 있어서, 캠기어를 고정하는 캠샤프트와 캠샤프트 하우징에 힌지결합되는 힌지구명을 가지는 상부레버의 하단을 어드져스트 기어의 샤프트 중심에 위치되게하고 장부 아이들기어 의 샤프트 에 삽입되는 힌지구명을 하부에 가지는 하부레버의 상부를 상기 어드져스트 기어 외록에서 샤프트 중심에 위치되게 하여, 리버볼트로 결합되게 구성한다.

Description

오버헤드 캠 엔진의 기어 백래시 자동조정 장치
본 고안은 캠샤프트가 실린더헤드위에 장착되는 오버헤드캠 엔진에 있어서 기어를 채용하여 크랭크축의 동력을 캠샤프트에 전달하는 방식의 엔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어의 백래시(Back lash)를 자동 조정케 한 오버헤드캠 엔진의 기어 백래시 자동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샤프트가 실린더헤드위에 장착되는 오버헤드캠 엔진에 있어서 기어를 채용하여 크랭크축의 동력을 캠샤프트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기어나 벨트 또는 체인 등이 필요하다.
그러나 벨트나 체인 등의 이용은 가솔린엔진이나 소형 디젤엔진에 국한되고, 출력이 높은 엔진에 있어서는 전달 토크가 높은 관계로 사용에 제한이 따르므로 거의 모든 헤비듀티 디젤엔진(HDDE)은 기어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오버헤드캠에 있어서 기어 방식을 적용할 때의 가장 큰 문제점은 오버헤드벨브 엔진과는 달리 실린더 헤드에 캠샤프트가 조립되는 관계로 캠기어의 중심과 실린더 블록에 조립되는 기어의 중심거리의 오차가 헤드가스켓과 가공 공차에 의해 오버헤드 밸브에 비하여 커지게 된다. 따라서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실린더 헤드에 중심거리 오차를 흡수할 수 있는 아이들기어를 설치하여 수작업으로 각 기어간의 백래시를 조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수작업에 의한 작업으로 인하여 백래시 조정불량 및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제 1도는 종래 수작업에 의한 백래시 조정을 모인 도면으로 캠 기어(10)와 실린더 블록 사이에 있는 아이들기어(20) 샤프트에 볼트(B)보다 큰 4개의 홀(H)이 있고, 이 홈의 여유를 가지고 백래시를 조정하는 방법으로, 조정하려고 하는 백래시에 해당하는 두께게이지(100)를 기어(20)의 위와 아래 사이에 삽입하여 백래시를 조정한후, 볼트를 조여주는 방식으로 한다.
따라서 수작업에 의한 조정정도 불량으로 조납을 반복함에 따른 조립 작업이 오래 걸리며 고숙련공이 아니면 그 조정작업은 쉽지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기어간의 백래시조정에 의한 작업시간 증가의 불편 및 작업불량에 의한 백래시 불량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으로 기어의 백래시조정을 하지 않아도되는 자동 백래시 장치를 시련하기 위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엔진 하부의 크랭크축으로부터의 기어와 아이들기어로 연결되는 캠기어 사이에 어드져스터 기어가 치합되어 오버헤드너캠을 구동케 한 오버해드캠 엔진에 있어서, 캠기어를 고정하는 캠샤프트와 캠샤프트 하우징에 힌지결합되는 힌지구명을 가지는 상부 레버의 하단을 어드져스트 기어의 샤프트 중심에 위치되게 하고 상부 아이들기어의 샤프트에 삽입되는 힌지구명을 하부에 가지는 하부 레버의 상부를 상기 어드져스트 기어 외측에서 샤프트 중심에 위치되게 하여, 리머볼트로 결합되게 구성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어 백래시 조절을 보인 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 상태도
도 4는 어드져스트 샤프트와 상부에서의 결합을 보인 분리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상부 레버 41 : 플랜지
42 : 구멍 50 : 하부 레버
52 : 구멍 60 : 리머볼트
이하에서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설명중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엔진 하부의 크랭크축으로부터의 기어(G)와 아이들기어(30)로 연결되는 캠기어(10)사이에 어드져스터기어(20)가 치결합되어 도어 헤드캠을 구동케 오버해드캠 엔진에 있어서, 캠기어(10)을 고정하는 캠샤프트(11)와 캠샤프트 하우징(12)에 힌지결합되는 플랜지를 가지는 힌지구명(42)을 구성한 상부 버(40)의 하단을 어드져스트 기어(20) 샤프트(21) 중심에 위치되게 하고, 상부 아이들기어(30)의 샤프트(31)에 삽입되는 힌지구멍(52)을 하부에 가지는 하부 레버(50)의 상부를 상기 어드져스트기어(20)의 외측에서 샤프트(21)중심에 위치되게 하여, 리머볼트(60)로 결합되게 구성한다.
이때 제 4도에서와 같이 상부레버(40)의 두께는 어드져스트(21)의 측돌부(22)의두께(t2)보다 크게하여 실린더헤드와의 간성이 일어나지 안게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보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립상태를 보면 하부레버(50)는 아이들기어(30) 및 어드져스트기어(20)사이에 바깥쪽에 조립되고, 상부레버(40)는 캠기어(10)와 어드져스트기어(20)사이의 안쪽에 조립된다.
각 레버의 중심거리는 기어가 조립되었을 때의 요구 백래시를 갖도록, 중심거리 공차를 갖도록 정밀하게 가공되어야 하고, 기어들간의 중심거리는 2개의 레버(40,50)에 의해서 정확히 결정된다.
따라서 조립지 제 3도에서와 같이 캠기어(10)을 중심으로한 상부레버(40)의 반경(R1)과, 상부 아이들기어(30)을 중심으로한 하부레버(50)의 반경(R2)이 만나는 점이 이론적 중심 거리로써 맞추어 조립함으로써 별도의 두께 게이지에 의한 수정 조립이 없이 정확히 백래시를 맞출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레버(40,50)을 각 샤프트와 고정하기 위한 홀들을 조립볼트보다 05∼1.0mm 정도 크게하여 헤드가스켓의 눌림 공차 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은 오버헤드캠 엔진에서 기어백래시를 조절하는데 따른 조립의 어려움을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고안이다.

Claims (1)

  1. 엔진하부의 크랭크축으로 부터의 기어(G)와 아이들기어(30)로 연결되는 캠기어(10) 사이에 어드져스터기어(20)가 결합되어 도어헤드캠은 구동케 한 오버해드캠 엔진에 있어서, 캠기어(10)을 고정하는 캠샤프트(11)와 캠샤프트 하우징(12)에 힌지결합되는 플랜지를 가지는 힌지구멍(42)을 구성한 상부레버(40)의 하단을 어드져스트 기어(20) 샤프트(21) 중심에 위치되게 하고, 상부 아이들기어(30)의 샤프트(31)에 삽입되는 힌지구명(52)을 하부에 가지는 하부레버(50)의 상부를 상기 어드져스트기어(20)의 외측에서 샤프트(21)중심에 위치되게 하여, 리머볼트(60)로 결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오버헤드 캠 엔진의 기어 백래시 자동조정 장치.
KR2019960067006U 1996-12-31 1996-12-31 오버헤드캠 엔진의 기어 백래시 자동 조정 장치 KR2001559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7006U KR200155937Y1 (ko) 1996-12-31 1996-12-31 오버헤드캠 엔진의 기어 백래시 자동 조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7006U KR200155937Y1 (ko) 1996-12-31 1996-12-31 오버헤드캠 엔진의 기어 백래시 자동 조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816U KR19980053816U (ko) 1998-10-07
KR200155937Y1 true KR200155937Y1 (ko) 1999-09-01

Family

ID=19488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7006U KR200155937Y1 (ko) 1996-12-31 1996-12-31 오버헤드캠 엔진의 기어 백래시 자동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593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536B1 (ko) * 1997-10-30 2003-10-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엔진의기어트레인배열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816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1397B2 (en) Hydraulic camshaft adjuste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CN110513191B (zh) 可变压缩比机构驱动结构
US7287498B2 (en) Valve timing control apparatus and its assembling method
US6213072B1 (en) V-shap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155937Y1 (ko) 오버헤드캠 엔진의 기어 백래시 자동 조정 장치
US4970999A (en) Cylinder head for overhead camshaft engine
US4951623A (en) Double overhead camshaft engine
US5184401A (en) Method of assembling valve drive mechanism to engine
GB2341220A (en) Camshaft alignment and arrangement relative to crankshaft
KR100461454B1 (ko) 타이밍 체인의 조립구조와 지그 및 조립방법
JPH0744726Y2 (ja) タイミングチェーン潤滑装置
RU2013612C1 (ru)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JP4017564B2 (ja) 燃料噴射ポンプの脱着容易化構造
CN217603208U (zh) 曲轴连接结构
JPH06272519A (ja) エンジン用カム軸
JP2000282829A (ja) タイミングチェーンの潤滑装置
JPH0932893A (ja) 内燃機関のチェーンテンショナ
KR100231860B1 (ko) 소음 흡수 구조의 아이들 기어를 가지는 디젤 엔진
KR100195496B1 (ko) 자동차용 캠샤프트와 캠기어의 조립장치
JP2538265Y2 (ja) クランクシャフトの連結部構造
US5038729A (en) Distributor driving apparatus for engines
KR100188524B1 (ko) 자동차용 엔진의 밸브구동장치
JP2570277Y2 (ja) タイミングギヤ潤滑装置
KR100333856B1 (ko) 더블 오버헤드 캠축식 엔진의 캠축 고정용 지그
JPH0673520U (ja) 燃料噴射ポンプの軸受部分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