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5733Y1 - 비디오카메라용 입체촬영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카메라용 입체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5733Y1
KR200155733Y1 KR2019960023599U KR19960023599U KR200155733Y1 KR 200155733 Y1 KR200155733 Y1 KR 200155733Y1 KR 2019960023599 U KR2019960023599 U KR 2019960023599U KR 19960023599 U KR19960023599 U KR 19960023599U KR 200155733 Y1 KR200155733 Y1 KR 2001557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axis
disposed
lens
photographing lens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35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0243U (ko
Inventor
이영화
Original Assignee
이영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화 filed Critical 이영화
Priority to KR20199600235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5733Y1/ko
Publication of KR199800102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02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57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57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1Constructional or mechanic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줌기능을 갖는 촬영렌즈(12)와 비디오출력단자(16)를 갖는 비디오카메라(10)에 어댑터하우징(18)을 통하여 상기 촬영렌즈(12)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한 입체촬영장치이다. 어댑터하우징(18)내에 촬영렌즈(12)의 제1광축(A1)과 일치하는 광축(A1)상에 45°의 경사각도로 반거울(20)이 배치되고 이에 평행하게 일정한 거리를 두고 제2광축(A2)상에 전반사거울(22)이 배치되며 각 반거울(20)과 전반사거울(22)의 전면에 또는 공통으로 촬영렌즈(1)의 전면에 비디오출력단자(16)를 통하여 수직동기신호를 선택하여 셔터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제어회로(32)에 의하여 온-오프 작동되는 액정셔터조립체(30,30')가 배치된다.

Description

비디오카메라용 입체촬영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개략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형태를 보인 개략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8 : 어댑터하우징 20 : 반거울
22 : 전반사거울 30,30' : 액정셔터조립체
32 : 제어회로
본 고안은 비디오카메라용 입체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사체의 좌우측 상이 교번되게 입사되어 촬영될 수 있도록 한 비디오카메라용 입체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비디오카메라용 입체촬영장치는 2대의 비디오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자를 중심으로 하여 피사체의 좌우측 상을 좌우의 비디오카메라로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합성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기술은 2대의 비디오카메라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이에 수반되는 부대장치가 필요하고 영상합성회로가 필요하다. 한편 촬영된 입체영상은 재생시 편광판과 액정셔터로 구성되는 입체안경 또는 입체투시경을 통하여 볼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종래의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비디오카메라에 부착되고 필요에 따라 줌기능을 갖는 촬영렌즈의 광축을 우측입사광축으로 하고 이 우측입사광축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좌측입사광축을 설정하여 우측 입사광축상에 반거울(half mirror)을 입사광축에 대하여 45°의 각도로 배치하고 좌측입사광축에는 전반사거울을 역시 45°의 각도로 배치하며 이들 우측 및 좌측입사광축을 따라서 입사되는 피사체의 상을 1초당 30프레임씩 교번되게 촬영렌즈에 입사되게하여 촬영토록 한 것인바,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비디오카메라용 입체촬영장치를 보인 것으로, 비디오카메라(10)는 줌기능을 갖는 촬영렌즈(12)를 가지고 내부에 테이프카셋트(14)가 내장되며 비디오출력단자(16)를 갖는 것으로 요약하여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 장치는 어댑터하우징(18)내에 구성되며 이 어댑터하우징(18)은 적당한 수단을 이용하여 촬영렌즈(12)의 후드에 결합될 수 있다. 어댑터하우징(18)내에는 촬영렌즈(12)의 광축(A1)에 대하여 45°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전면에서 입사되는 광선은 통과시키고 배면으로 입사되는 광선은 반사시키는 반거울(20)이 착설되고, 이 반거울(20)에 평행하게 일정한 거리를 두고 전반사거울(22)이 배치된다. 따라서 광축(A1)과 일치하는 입사광선을 그대로 광축(A1)을 따라 촬영렌즈(12)로 입사되며, 전반사거울(22)로 입사되는 광선은 상기 제1광축(A1)과는 거리를 두고 평행한 제2광축(A2)을 따라 입사되었다가 전반사거울(22)에서 90°로 반사된 후 반거울(20)에서 제1광축(A1)의 광로를 따라 촬영렌즈(12)로 입사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제1광축(A1)과 제2광축(A2)상에서 각 반거울(20)과 전반사거울(22)의 전면에는 편광각도가 90°인 평광판(24)가 편광각도가 0°인 편광판(26)으로 구성되고 이들 사이에 액정셔터(28)가 개재되어 구성된 각각의 액정셔터조립체(30)(30')가 배치된다. 이들 액정셔터조립체(30)(30')의 액정셔터(28)에는 비디오카메라(10)의 비디오출력단자(16)에 연결되는 제어회로(32)의 출력(34)(36)이 연결된다. 여기에서 제어회로(32)는 비디오출력단자(16)로부터의 비디오신호중에서 수직동기신호만을 선택하고 각 출력(34)(36)에서 셔터 제어신호를 각 액정셔터(28)에 보낸다. 셔터제어신호는 1초당 30프레임씩 각 액정셔터(28)를 번갈아 온-오프시킨다.
따라서 광축(A1)을 통하여 입사되는 피사체의 우측상이 촬영렌즈(12)에 입사되어 촬영될 때에 광축(A2)을 통하여 입사되는 피사체의 좌측상이 액정셔터(28)의 오프상태에서 촬영렌즈(12)에 입사되지 않는다. 반대로 피사체의 좌측상이 촬영될 때에 우측상은 촬영되지 않을 것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비디오카메라용 입체촬영장치의 제2실시형태를 보인 것으로, 제1도에서 보인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서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였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액정셔터조립체의 구성을 단순화한 것이 특징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어댑터하우징(18)이 촬영렌즈(12)에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고 이 어댑터하우징(18)내에는 제1광축(A1)상에 반거울(20)이 배치되고 이 제1광축(A1)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평행한 제2광축(A2)상에 전반사거울(22)이 배치된다.
제1실시형태와는 다르게 하나의 액정셔터(30)가 그 배면측의 0°편광판(26)과 함께 촬영렌즈(12)의 전면에서 광축(A1)상에 배치되고 0°편광판(24)과 90°편광판(24)이 하나씩 반거울(20)과 전반사거울(22)의 전면에서 각각 광축(A1)(A2)상에 배치된다.
액정셔터(30)는 입력이 비디오출력단자(16)에 연결되어 비디오신호중에서 수직동기신호만을 선택하여 액정셔터(30)를 1/60초 간격으로 온-오프시키는 셔터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회로(32)의 출력(35)에 연결된다.
제1광축(A1)으로 입사되는 피사체의 우측상이 편광판(24)과 반거울(20)을 통과하고 액정셔터(30)의 온상태(또는 오프상태)에서 이 액정셔터(30)와 편광판(26)을 통하여 촬영렌즈(12)로 입사되어 촬영되며, 이때에 피사체의 좌측상은 촬영렌즈(12)에 입사되지 아니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어댑터하우징(18)의 크기를 줄이고 보다 광범위한 피사체범위를 촬영할 수 있도록 각 광축에 오목렌즈(37)가 사용되고 촬영렌즈(12)의 전면에 공통으로 볼록렌즈(38)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같이 입체촬영된 영상은 재생시 편광판과 액정셔터의 조합으로 구성된 입체영상투시안경을 이용하여 입체영상을 감상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줌기능을 갖는 촬영렌즈(12)와 비디오출력단자(16)를 갖는 비디오카메라(10)에 어댑터하우징(18)을 통하여 상기 촬영렌즈(12)에 결합되고, 상기 어댑터하우징(18)내에 상기 촬영렌즈(12)의 제1광축(A1)상에 45°의 경사각도로 반거울(20)이 배치되고, 상기 반거울(20)에 평행하게 일정한 거리를 두고 제2광축(A2)상에 전반사거울(22)이 배치되며, 상기 각 반거울(20)과 전반사거울(22)의 광축을 따라 상기 촬영렌즈(12)의 전면에 상기 비디오출력단자(16)을 통하여 수직동기신호를 선택하여 셔터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제어회로(32)에 의하여 온-오프작동되는 액정셔터조립체(30)(30')가 배치된 입체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정셔터조립체(30)(30')의 앞에 동축으로 오목렌즈(37)가 배치되고, 상기 촬영렌즈(12)의 바로 앞에는 볼록렌즈(38)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카메라용 입체촬영장치.
KR2019960023599U 1996-08-02 1996-08-02 비디오카메라용 입체촬영장치 KR2001557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3599U KR200155733Y1 (ko) 1996-08-02 1996-08-02 비디오카메라용 입체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3599U KR200155733Y1 (ko) 1996-08-02 1996-08-02 비디오카메라용 입체촬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0243U KR19980010243U (ko) 1998-05-15
KR200155733Y1 true KR200155733Y1 (ko) 1999-09-01

Family

ID=19463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3599U KR200155733Y1 (ko) 1996-08-02 1996-08-02 비디오카메라용 입체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57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853B1 (ko) * 2005-03-07 2007-04-06 범광기전(주) 입체 카메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984B1 (ko) * 2002-06-03 2004-07-21 이영화 입체영상촬영장치용 어댑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853B1 (ko) * 2005-03-07 2007-04-06 범광기전(주) 입체 카메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0243U (ko) 199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211287A (ja) 撮像装置
US20230418147A1 (en) Lens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KR100440983B1 (ko) 입체동영상촬영장치용 어댑터
JP2617965B2 (ja) 一眼レフレックスカメラのファインダー光学系
US4279489A (en) Interchangeable eye piece-housing
KR20000024767A (ko) 입체영상 촬영장치용 어댑터
JPH03235491A (ja) 記録再生機能付双眼鏡
KR200155733Y1 (ko) 비디오카메라용 입체촬영장치
US5341168A (en) Method and system for receiving and transferring images in three dimensions
JPH1188733A (ja) 電子的撮像装置
JP2001008067A (ja) 光学ビューファインダを介して像を表示するデ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030197929A1 (en) Binoculars for capturing images
JPH01147444A (ja) 立体テレビジョン用撮像装置
KR0133642B1 (ko) 캠코더의 수동 촛점 조절장치
JP4243938B2 (ja) 立体像撮影用のアダプタ、及び立体像取り込み装置の装着機構
JP3788675B2 (ja) 立体像撮影装置及び光学アダプター装置
GB2076177A (en) Auxiliary Viewfinder System for Motion Picture Cameras
JPS6298895A (ja) テレビカメラ
SU1195326A1 (ru) Фотоаппарат
JP3215726B2 (ja) 焦点検出装置
KR970004023B1 (ko) 옵티컬 뷰파인더 경통을 채용한 리어 포커스방식의 줌 렌즈 경통
JPH10145656A (ja) 複眼撮像装置
KR200196248Y1 (ko) 비디오카메라용 입체촬영장치
JPH09214991A (ja) 撮像装置
JP2656046B2 (ja) 電子カメラの測光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O072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