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5433Y1 - 간이형 오토 로더 - Google Patents

간이형 오토 로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5433Y1
KR200155433Y1 KR2019960036304U KR19960036304U KR200155433Y1 KR 200155433 Y1 KR200155433 Y1 KR 200155433Y1 KR 2019960036304 U KR2019960036304 U KR 2019960036304U KR 19960036304 U KR19960036304 U KR 19960036304U KR 200155433 Y1 KR200155433 Y1 KR 2001554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lever
autoloader
chuck
lo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63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2932U (ko
Inventor
정주호
Original Assignee
김재복
기아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복, 기아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재복
Priority to KR20199600363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5433Y1/ko
Publication of KR199800229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29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54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54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Workpie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작물을 이송, 가공하도록 하는 로더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130) 플레이트(120)에 연결설치되어 일측으로 로더 헤드(150)와 LM 가이드(140)를 설치한 베이스(130)의 로더 헤드(150)와 LM 가이드(140)가 상,하 작동이 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된 상,하 유압실린더(160)의 작동시 주축대의 중심과 로더의 중심을 일치시키도록 베이스(130)의 상부로 스토퍼(170)와 상,하 조정용 볼트(180)를 설치하고 상,하 조정용 볼트에 연결설치된 센서(230)에 의하여 공작물을 공급하도록 하는 인입장치를 설치하며 하부로 가공된 공작물을 탈거하도록 하는 공작물 탈거장치를 설치하여 하나의 상,하 유압실린더(160)를 사용하여 공작물을 하강, 주축의 척(320) 내부로 공작물을 삽입하고 척(320)의 내부로 공작물을 삽입시 주축을 정지시키지 않고 공작물을 클램프하고 또한 공작물의 탈거시에도 주축을 정지시키지 않고 공작물을 탈거시키며 공작물의 클램프와 탈거를 센서(230)에 의하여 자동으로 처리함으로서 가공 사이클 시간을 최소화 한다.

Description

간이형 오토 로더
본 고안은 공작물을 이송, 가공하도록 하는 로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베이스프레이트에 연결설치되어 일측으로 로더 헤드와 LM 가이드를 설치한 베이스의 로더 헤드와 LM 가이드가 상,하 작동이 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된 상,하 유압실린더의 작동시 주축대의 중심과 로더의 중심을 일치시키도록 베이스의 상부로 스토퍼와 상,하 조정용 볼트를 설치하고 상,하 조정용 볼트에 연결설치된 센서에 의하여 공작물을 공급하도록 하는 인입장치를 설치하며 하부로 가공된 공작물을 탈거하도록 하는 공작물 탈거장치를 설치하여 주축을 정지하지 않고 공작물을 클램프하도록 하는 간이형 오토 로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로더장치는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포트 암(Support Arm)(15)의 일측으로 내부에 가이드 바(Guide Bar)(19)가 형성된 베이스(Base)(11)가 부착되어 설치되고, 베이스(11)의 일측으로 베이스(11)를 상,하 작동 가능하도록 하는 공압실린더(18)가 설치되며, 상기 공압실린더(18)의 하부로 연결되어 푸시 레버(Push Lever)(16)가 설치되고 푸시 레버(16)에 연동하여 공작물을 척(Chuck)의 내부로 밀어 넣도록 하는 레버(Lever)(1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11)의 상부로는 공압실린더(13)의 상,하 작동시 척의 수평중심고 로더 헤드(Loder Head)(12)의 중심을 조절하도록 하는 스토퍼(Stopper)(14)와 조정용 볼트(Volt)(13)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공압실린더(18)가 공기압에 의하여 상,하 작동을 하게 되면 공압실린더(18)의 하부로 연결설치된 푸시 레버(16)가 레버(17)를 밀게 되고 레버(17)는 좌측의 공작물을 척의 내부로 밀게 된다.
이때 공압실린더(18)의 상,하 작용으로 레버(17)가 공작물을 척의 내부로 밀면서 베이스(11)의 상부의 소정위치로 설치된 스토퍼(14)와 조정용 볼트(13)가 척의 수평중심과 로더 헤드(12)의 중심을 맞추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에는 레버가 공작물을 좌측으로 밀어 넣을 때 반드시 주축 스핀들(Spindle)을 정지시켜야 함으로 로딩(Loading) 시간이 길고 푸시 레버가 하강하면 베이스와 로드 헤드가 멀어지게 되어 이 경우 가이드 바와 실린더헤드의 휨이 발생하여 주축 중심과 로더헤드 중심을 정확히 일치시키기가 힘든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연결설치되어 일측으로 로더 헤드와 LM 가이드를 설치한 베이스의 로더 헤드와 LM 가이드가 상,하 작동이 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된 상,하 유압실린더의 작동시 주축대의 로더의 중심을 일치시키도록 베이스의 상부로 스토퍼와 상,하 조정용 볼트를 설치하고 상,하 조정용 볼트에 연결설치된 센서에 의하여 공작물을 공급하도록 하는 인입장치를 설치하며 하부로 가공된 공작물을 탈거하도록 하는 공작물 탈거장치를 설치하여 주축을 정지하지 않고 공작물을 클램프하고 공작물의 탈거시에도 주축을 정지시키지 않고 탈거하도록 하는 간이형 오토 로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종래 오토 로더를 나타낸 정면도.
제2도는 종래 오토 로더를 나타낸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오토 로더를 나타낸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오토 로더를 나타낸 측면도.
제5도는 제3도의 요부상세도.
제6도는 제4도의 요부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프레임 120 : 베이스 플레이트
130 : 베이스 140 : LM 가이드
150 : 로더 헤드 160 : 상,하 유압실린더
170 : 스토퍼 180 : 상,하 조정용 볼트
190 : 레버 푸셔 200 : 레버
210 : 가이드 블럭 220 : 레버 샤프트
230 : 센서 240 : 스프링
250 : 볼 베어링 260 : 베어링 커버
270 : 스윙 실린더 280 : 포켓
281 : 구멍 290 : 포트A
300 : 포트B 310 : 슈트
320 : 척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오토 로더를 나타낸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오토 로더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제5도는 제3도의 요부상세도이며, 제6도는 제4도의 요부상세도로서, 공작기계 선반의 주축대 상면으로 설치된 프레임(110)(frame)에 베이스 플레이트(120)를 부착하여 오토 로더를 설치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연결설치된 베이스(130)의 일측으로 로더 헤드(150)와 LM 가이드(140)를 설치하고, 로더 헤드(150)와 LM 가이드(140)가 상,하 작동이 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된 상,하 유압실린더(160)의 작동시 주축대의 중심과 로더의 중심을 일치시키도록 베이스(130)의 상부로 스토퍼(170)와 상,하 조정용 볼트(180)를 설치하며, 상,하 조정용 볼트(180)에 연결되어 센서(230)를 설치한다.
상기 상,하 유압실린더(160)와 연결되어 하부로 레버 푸셔(190)를 설치하고, 레버 푸셔(190)에 접촉하여 일측으로 공작물을 척(320)의 내부로 밀어 주도록 레버 샤프트(220)가 연결설치된 레버(200)를 설치하며, 상기 레버 푸셔(190)는 전진시 상,하 유압실린더(160) 헤드의 휨을 방지하도록 가이드 블록(210)을 설치하고, 가이드 블록(210)의 일측으로 레버(200)에 연결하여 스프링(240)을 설치한다.
또한 레버 샤프트(220)의 끝단으로 공작물을 척(320)의 회전시 내부로 삽입시키도록 베어링 커버(260)의 내부로 볼 베어링(250)을 설치하고, 볼 베어링(250)에 접촉하여 공작물을 보급하도록 하는 슈트(310)를 설치하며, 슈트(310)의 소정위치로 공작물의 유,무를 확인하도록 하는 감지센서(311)를 설치한다.
상기 오토 로더의 하부 주축으로는 척(320)에서 배출되는 공작물을 받도록 일측으로 구멍(281)을 형성하는 포켓(280)을 설치하고 포켓(280)의 일측으로 포켓(280)을 좌,우 운동하도록 하는 스윙 실린더(270)가 설치된 공작물 탈거장치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본 고안은 포트A(290)의 유압 솔(Sol)에 의하여 상,하 유압실린더(160)가 하부로 작동하면 상,하 유압실린더(160)에 연결설치된 로더 헤드(150)와 LM 가이드(140)가 하부로 이동하고 주축대의 중심과 로더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베이스(130)의 상부로 설치된 스토퍼(170)와 상,하 조정용 볼트(180)가 접촉하게 되면 상,하 조정용 볼트(180) 연결된 센서(230)가 작동하여 상,하 유압실린더(160)가 멈추게 된다.
이때 상,하 유압실린더(160)의 잔여 스트로크(Stroke)에 의하여 레버 푸셔(190)가 전진하여 레버(200)를 밀게 되어 레버(200)가 좌측으로 전진하게 되며 레버 푸셔(190)의 일측으로 설치된 가이드 블록(210)은 레버 푸셔(190)의 전진시 상,하 유압실린더(160) 로드의 휨을 방지한다.
또한 레버(200)가 전진하면 척(320)의 내부로 공작물을 삽입하도록 베어링 커버(260)에 접촉하여 설치된 슈트(310)로 부터 공급되는 공작물을 레버 샤프트(220)가 베어링 커버(260) 내부에 설치되 볼 베어링(250)에 의하여 척(320)의 내부로 공작물을 진입시키고 공작물을 클램프 시킨다.
이와 같이 척(320)의 공작물 클램프가 완료되면 포트B(300)로 유압 솔을 작동하여 스프링(240)에 의하여 레버(200)가 먼저 후퇴하게 되고 로더 헤드(150)가 상승하면 작동이 완료된다.
또한 공작물의 탈거시에는 로더 헤드(150)가 상승 후 스윙 실린더(270)가 후퇴하면 포켓(280) 중심이 주축 중심과 일치하게 되고 주축 내부에 있는 에어로 블로우(Blow) 하면서 척(320)의 공작물 언클램프 신호로 공작물이 포켓(280) 측면에 있는 구멍(281)으로 들어가게 되고 그와 동시에 스윙 실린더(270)를 전지시키면 포켓(280)이 선회되어 스플래쉬 가드(Splash Guard)가 전면에 설치된 아웃 슈트쪽으로 가공된 공작물이 정면으로 나오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하나의 상,하 유압실린더를 사용하여 공작물을 하강, 주축의 척 내부로 삽입하고 척의 내부로 공작물을 삽입시 주축을 정지시키지 않고 공작물을 클램프하고 또한 공작물의 탈거시에도 주축을 정지시키지 않고 공작물을 탈거시키며 공작물의 클램프와 탈거를 센서에 의하여 자동으로 처리함으로서 가공사이클 시간을 최소화 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공작기계 주축대 상면에 설치된 프레임(110)에 베이스 플레이트(120)를 설치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0)에 연결설치된 베이스(130)의 일측으로 로더 헤드(150)와 LM 가이드(140)가 상,하 작동이 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된 상,하 유압실린더(160)의 작동시 주축대의 중심과 로더의 중심을 일치시키도록 베이스(130)의 상부로 스토퍼(170)와 상,하 조정용 볼트(180)를 설치하며 상,하 조정용 볼트(180)에는 센서(23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형 오토 로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유압실린더(160)의 하부로 연결설치된 레버 푸셔(190)에 접촉하여 일측으로 공작물을 척(320)의 내부로 밀어 주도록 레버 샤프트(220)를 설치한 레버(200)를 설치하고 레버 푸셔(190)의 전진시 상,하 유압실린더(160) 헤드의 휨을 방지하도록 가이드 블록(210)을 설치하며 가이드 블록(210)의 일측으로 레 설치한 레버(200)를 설치하고 레버 푸셔(190)의 전진시 상,하 유압실린더(160) 헤드의 휨을 방지하도록 가이드 블록(210)을 설치하며 가이드 블록(210)의 일측으로 레버(200)에 연결하여 스프링(240)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형 오토 로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장치는 레버 샤프트(220)의 끝단으로 공작물을 척(320)의 회전시 내부로 삽입시키도록 베어링 커버(260)의 내부로 볼 베어링(250)을 설치하고 볼 베어링(250)에 접촉하여 공작물을 보급하도록 하는 슈트(310)를 설치하며 슈트(310)의 소정위치로 공작물의 유,무를 확인하는 감지센서(311)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형 오토 로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 탈거장치는 오토 로더의 하부 주축으로 척(320)에서 배출되는 공작물을 받도록 구멍(281)을 형성하는 포켓(280)을 설치하고 포켓(280)의 일측으로 포켓(280)을 좌,우 운동하도록 하여 공작물을 탈거하도록 하는 스윙 실린더(27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형 오토 로더.
KR2019960036304U 1996-10-30 1996-10-30 간이형 오토 로더 KR2001554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6304U KR200155433Y1 (ko) 1996-10-30 1996-10-30 간이형 오토 로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6304U KR200155433Y1 (ko) 1996-10-30 1996-10-30 간이형 오토 로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932U KR19980022932U (ko) 1998-07-25
KR200155433Y1 true KR200155433Y1 (ko) 1999-09-01

Family

ID=19471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6304U KR200155433Y1 (ko) 1996-10-30 1996-10-30 간이형 오토 로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543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932U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571409A (zh) 具有自动上下料功能的抛光机
CN115156985A (zh) 固定装置、加工工件的机床的加工头和加工工件的机床
US20040250666A1 (en) Inverted vertical lathe
JP2004114226A (ja) 主軸移動型立形工作機械
KR200155433Y1 (ko) 간이형 오토 로더
KR0168506B1 (ko) 팰릿체인저
US20240001516A1 (en) Device for automatically fixing workpiece
EP0536422A1 (en) Apparatus for cutting grooves
JP3324931B2 (ja) 加工装置
JPS6036899B2 (ja) ワ−クの自動供給搬出装置
JP3714516B2 (ja) ワーク搬送用のパレットのワークアンクランプ構造。
JPH07185965A (ja) 回転部材自動組立装置
KR100613547B1 (ko) 상/하 이동 구조를 가지는 공작기계의 아암레스자동공구교환장치
KR200234314Y1 (ko) 공작기계의 소재공급 및 가공물 취출장치
JP3698936B2 (ja) 工具折損検知装置
JP3412151B2 (ja) 工作機械
JPH0748329Y2 (ja) 裏面取り加工装置
JP2003245801A (ja) 棒状部材の端部加工機および端部加工方法
KR102089635B1 (ko) 공작물 자동 취출 장치
JP3547577B2 (ja) 工作機械
KR100655321B1 (ko) 머시닝센터의 테이블 클램프/언클램프 동작 감지 장치
KR890003731Y1 (ko) 실린더를 이용한 선반용 자동 이송 공작물 받이
KR19980043796U (ko) 실린더헤드 가공용 드릴링머시인의 칩 제거장치
KR100921610B1 (ko) 터닝센터의 양면 가공용 공구홀더
JP4373696B2 (ja) センタリングマシン及びそ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