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5390Y1 - 고층건물용 대차 유도레일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고층건물용 대차 유도레일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5390Y1
KR200155390Y1 KR2019970012873U KR19970012873U KR200155390Y1 KR 200155390 Y1 KR200155390 Y1 KR 200155390Y1 KR 2019970012873 U KR2019970012873 U KR 2019970012873U KR 19970012873 U KR19970012873 U KR 19970012873U KR 200155390 Y1 KR200155390 Y1 KR 2001553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member
connector
rail
guide rail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28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8241U (ko
Inventor
이명군
Original Assignee
김동환
주식회사세인특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환, 주식회사세인특장 filed Critical 김동환
Priority to KR20199700128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5390Y1/ko
Publication of KR199800682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2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53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53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5/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 E06C5/0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5/04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undercarriages or vehicles Securing ladders on vehicles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capable of being elevated or extended ; Fastening means during transport, e.g. mechanical, hydraulic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16Platforms on, or for use on, ladders, e.g. liftable or lowerable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층건물용 대차 유도레일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건물의 높이에 구애받지 않고, 필요에 따라 그 높이를 임의적으로 설정,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하중작용에 의한 변형률이 적고, 설치비 및 생산비용을 절감되도록 한 고층건물용 대차 유도레일을 제공하도록 함에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은;
길이를 갖는 레일부재와 레일부재를 체결하는 연결구로 형성시키되,
상기 레일부재는형 강재로서, 일측 및 다측에 다수개의 볼트구멍을 갖는 체결면을 형성시키고;
연결구는,

Description

고층건물용 대차 유도레일의 결합구조
본 고안은 고층건물용 대차 유도레일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층건물 등에 물건을 운반하거나 고가 사다리의 용도로서 사용할 때, 건물의 높이에 따라 조합설치하여 운반구 또는 사다리 등을 유도되게 하는 고층건물용 대차 유도레일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에 물건 등을 운반하거나, 화재 또는 비상시 고가 사다리의 설치가 필요할 경우, 널리 사용되는 방법으로서, 특수목적의 차량(특장차량 또는 소방차량 등)등에 대차 유도레일을 장착한 후, 이 대차 유도레일을 필요한 높이로 설정 조합하여, 형성되어지게 하므로서, 고층의 건물내에 용이한 물건의 운반 및 비상시 효과적으로 대응하게 하는 것이다.
하지만,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 대차 유도레일의 조합구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를 갖으며 다수개로 형성된 레일부재(10)가 각, 그 직경의 크기를 달리하며 수납식으로 조립되어, 유압장치 등에 의한 자동 이송에 따라 수납된 형태로서, 승,하강되며 운반구(20)등을 유도 안내되게 하는것이 일반적 구성인 것이었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 대차 유도레일의 수납구조는 유압장치 등에 의해 자동으로 높이를 조절하며 운반구 등을 안내되게 하므로서, 사용에 따라 다소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기는 하였으나,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납구조에 의해 레일부재의 직경이 점진적으로 얇아지는 형태를 취하게 되므로, 대차 유도레일의 상단부는 상대적으로 휨 하중 등에 의한 변형을 일으키게 되어, 다소 큰 하중을 갖는 물건 등을 운반시에는 세심한 주의를 요하거나, 간혹 사용이 불가능했고, 그 높이를 제한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상당한 높이를 갖는 고층건물이나, 2층(아파트 기준)이하에서는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종래의 대차 유도레일은 차량과 일체형으로 좁은골목이나 지면이 고르지 못한 공사장등에는 차량이 진입할 수 없기 때문에 작업이 불가능한 것이었다.
따라서, 종래의 대차 유도레일은 설정된 높이의 제한으로 효율적인 사용이 불가능한 것이었으며, 또 다르게는 수납식 구성에 따라 레일부재 직경의 크기를 달리하여 양산되도록 해야 함은 물로, 차량과 장비가 일체형이기 때문에 제조에 따른 설치비용 및 생산원가 상승 등의 문제점을 항상 상존시키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고츨건물용 대차 유도레일 결합구조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건물의 높이 및 장소에 궁애받지 않고, 필요에 따라 그 높이를 임의적으로 설정, 조립하여 사용할수 있으며, 하중작용에 의한 변형률이 적고, 설치비 및 생산비용을 절감되도록 한 고층건물용 대차 유도레일을 제공하도록 함에 있는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게 위한 구체적인 수단은;
길이를 갖는 레일부재와 레일부재를 체결하는 연결구로 형성시키되,
상기 레일부재는형 강재로서, 일측 및 다측에 다수개의 볼트구멍을 갖는 체결면을 형성시키고;
연결구는,형상을 취하며, 복수개의 보강턱과 다수개의 볼트구멍을 갖는 결합부를 구비시켜, 볼트에 의해 연결구와 레일부재를 고정 결합시키므르서 달성된다.
제1도는 종래 대차 유도레일리 차량에 장착된 결합구조 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고층건물용 대차 유도레일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고층건물용 대차 유도레일의 결합구조 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고충건물용 대차 유도레일의 결합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고층건물용 대차 유도레일의 또 다른 실시예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레일부재 2,2' : 연결구
11,12 : 체결면 21,21' : 보강턱
22,23 : 결합부 P1,P2,P1',P2' : 볼트구멍
B : 볼트 N : 너트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고층건물용 대차 유도레일 결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고층건물용 유도레일 결합구조의 분해 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고층건물용 유도레일의 결합상태도이며,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고층 건물용 대차 유도레일의 결합상태 단면도로서 그 구성상태로는;
길이를 갖는형 강재로서 레일부재(1)와 이 레일부재(1)를 연결되게 하는형상의 연결구(2)를 구비하므로서 구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레일부재(1)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형 강의 형태를 취하며 성형되어지고, 다수개가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구조로서 대차 유도레일을 형성하게 되며, 레일부제(1)의 길이방향 일측 및 타측으로는 체결면(11,12)이 형성되어지되, 일측의 체결면(11) 상으로는 후술하는 연결구(2)와 볼트(B)에 의해 연결되는 관통된 다수개의 원형 볼트 구멍(P1)이 형성되어지며, 타측체결면(12)의 중앙으로는 관통된 사각의 볼트구멍(P2)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구(2)는형상의 판상체로서 길이방향 좌,우측에 대칭되며 융기된 형상의 보강턱(21)과, 일측 및 타측에 결합부(22,23)를 형성하되, 일측 결합부(22)로는 전술한 레일부재(1)의 사각 볼트구멍(P2)과 일치되어 볼트(B)에 의해 체결 가능한 관통된 연결구 볼트구멍(P2')이 형성되고, 연결구(2)의 타측 결합부(23)로는 전술한 레일부재(1)의 원형 볼트구멍(P1)과 일치되어 볼트(B)에 의해 체결 가능한 관통된 다수의 원형 볼트구멍(P1')이 형성되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결합구조를 갖는 고층건물용 대차 유도레일의 상호 조합관계로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재(1) 일측 체결면(11)에 형성된 다수의 원형 볼트구멍(P1)과, 연결구(2)의 결합주(22,23)에 형성된 다수의 볼트 구멍(P2)을 맞대어 볼트(B)에 의해 체결 고정하여 형성하되, 이와 동일한 결합구성으로 다수개의 결합구(2)와 연결된 레일부재(1)를 구성하여, 제3도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재의 사각 볼트구멍(P2)과 연결구의 사각 볼트구멍(P2`)을 맞대어 볼트(B) 및 너트(N)에 의해 조임, 체결하는 방법을 취하므로서, 필요에따른 임의적 탈착조립에 의해 대차 유도레일의 길이를 설정하여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전술한 레일부재(1,1`)와 연결구(2)를 결합는 너트(N)있어, 적어도 일측의 결합주(22)를 체결하는 너트(N)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링 너트(R)를 사용하므로서 대차 유도레일의 사용에 필요한 와이어를 연결하게 된다.
한편,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고층건물용 대차 유도레일 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도로서, 그 구성상태를 보면, 일실시예의 레일부재(1)와 같이 길이를 갖는형 강재로서 레일부재(1')를 구성하되,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레일부재(1')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에 밀폐된 중공부(13')를 형성하며, 연결구(2') 또한 일실시예의 연결구(2)와 같은형상을 취하는 판상체를 갖되, 보강턱(21')은형태로서 상하부에 대칭되며 돌기된 형상으로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레일부재(1')는 중공부(13')를 갖도록 하므로서, 연결되는 레일부재(1')가 휨 하중 등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탄성강도를 보강되게 한 것이며, 연결구(2') 또한 보강턱(21')을형상으로 구성하므로서 강도를 보강되게 하여 레일부재(1') 연결시 지지력을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이상, 본 고안에 따른 결합구조를 갖는 고층건물용 대차 유도레일은, 레일부재 및 연결구를 구성 및 크기의 변화없이 다량으로 양산하여 단순한 볼트체결에 의한 탈착구성으로 필요에 따른 높이를 설정, 설치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제조에 따른 노동력 및 생산원가를 절감되도록 하였을 뿐만 아니라,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건물 등의 높이에 구애받지 않고 임의적으로 조립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매우 큰 기대 효과를 제공해 주는 것이다.

Claims (4)

  1. 길이를 갖는 레일부재(1)와 판상의 연결구(2)가 조합 구성되어지는 것으로, 상기 레일부재(1)는 일측 및 타측에 다수개의 볼트구멍(P1,P2)을 갖는 체결면 (11,12)을 구성하고, 연결구(2)는, 복수개의 보강턱(21)과 일측 및 타측에 다수개의 볼트구멍(P1',P2')을 갖는 결합부(22,23)를 구비하되, 연결구(2)에 있어 결하부(22,23)는 레일부재(1)의 체결면(11,12)에 밀착하여 볼트, 너트에 의해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하는 고층건물용 대차 유도레일의 결합구조.
  2. 제1항 있어서, 레일부재(1)는 길이를 갖는형을 취하고; 연결구(2)는형의 판상체를 취하되, 보강턱(21)은형태로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유도레일의 결합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레일부재(1`)는 밀폐된 중공부(13`)를 갖으며, 연결구(2`)와 조합,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유도레일의 결합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중공부(13')를 갖는 레일부재(1')는형상을 취하고, 연결구(2')는형상으로 보강턱(21')을 구비하여 조합,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 유도레일의 결합구조.
KR2019970012873U 1997-05-30 1997-05-30 고층건물용 대차 유도레일의 결합구조 KR2001553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2873U KR200155390Y1 (ko) 1997-05-30 1997-05-30 고층건물용 대차 유도레일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2873U KR200155390Y1 (ko) 1997-05-30 1997-05-30 고층건물용 대차 유도레일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241U KR19980068241U (ko) 1998-12-05
KR200155390Y1 true KR200155390Y1 (ko) 1999-09-01

Family

ID=19502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2873U KR200155390Y1 (ko) 1997-05-30 1997-05-30 고층건물용 대차 유도레일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539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451B1 (ko) * 2009-06-26 2011-06-27 주식회사 에버다임 소방차용 사다리 조립체의 이동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241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7801A (en) Channel members
US2010030129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ll prevention
US20080245022A1 (en) Framework System For Truss Deck Using Construction Mold Assembly
KR101429430B1 (ko) 무량판 원-웨이 구조식 더블 피씨거더
JP2019509232A (ja) 引揚用締結具
US4483117A (en) Composite gambrel roof truss with prefabricated truss components
KR200155390Y1 (ko) 고층건물용 대차 유도레일의 결합구조
US20170191319A1 (en) Surface drill modular mast
CN209776459U (zh) 墙板安装输送车
JP4392379B2 (ja) 角形鋼管を用いた床版橋および床版ユニットの製造方法
CN211816944U (zh) 一种装配式建筑用钢结构组合梁
JP4203441B2 (ja) タワークレーンの支持装置及びその構築方法
US4214409A (en) Space frame constuction
KR200428125Y1 (ko) 비계용 발판 구조
EP0104915B1 (en) Modular unit
CN214784035U (zh) 一种由预制件拼装而成的边坡框架结构
CN114934441A (zh) 一种抗滑移临时吊索索夹结构
CN210340014U (zh) 井道内专用施工升降机用组合承重梁
JPH0412772B2 (ko)
JPH11172781A (ja) 仕口連結具及び装置
CN112726965A (zh) 一种可拆卸装配式预制楼板钢筋连接装置、结构及方法
US202401590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lifting prejoined deck components
JP3769071B2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コンクリート合成構造体
JPH0349145Y2 (ko)
CN220184482U (zh) 一种具有预应力功能的建筑楼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