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5370Y1 - 필기구용 터치캡 - Google Patents
필기구용 터치캡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55370Y1 KR200155370Y1 KR2019960056535U KR19960056535U KR200155370Y1 KR 200155370 Y1 KR200155370 Y1 KR 200155370Y1 KR 2019960056535 U KR2019960056535 U KR 2019960056535U KR 19960056535 U KR19960056535 U KR 19960056535U KR 200155370 Y1 KR200155370 Y1 KR 20015537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uch
- cap
- writing instrument
- cap body
- writ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기구용 터치캡에 관한 것으로서, 필기구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통형상의 캡본체와; 상기 캡본체의 선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돌출 연장된 터치팁과; 상기 캡본체의 내부에 부착되어 상기 필기구의 둘레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통상의 필기구에 간단히 결합하여 터치스크린의 조작할 수 있는 필기구용 터치캡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필기구에 결합하여 터치스크린을 조작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는 필기구용 터치캡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전자수첩 등에서 새로운 입력방식의 하나로서 터치스크린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터치스크린에 의한 입력방식은 스크린상에 나타나는 각종의 아이콘을 사용자가 직접 그 화면부위를 눌러서 원하는 동작이나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전자수첩이나 휴대용 컴퓨터 등의 경우에는 터치스크린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원하는 아이콘을 지적하기 곤란하며, 인접한 다른 위치를 잘못 누를 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선단부가 다소 무딘 팁을 갖도록 만들어진 볼펜형상의 터치펜을 사용한다. 이러한 터치펜은 일반의 필기구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고 휴대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터치펜을 휴대하다가 분실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고, 터치펜이 일반 필기구의 크기를 가지므로 휴대하기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터치펜을 사용하지 않고 통상의 필기구에 간단히 결합하여 터치스크린의 조작할 수 있는 필기구용 터치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용 터치캡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종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에 따른 평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필기구용 터치캡의 사용 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용 터치캡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용 터치캡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30, 40 : 캡본체 11, 31, 41 : 터치팁
12, 32 : 탄성부재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필기구용 터치캡에 있어서, 필기구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통형상의 캡본체와; 상기 캡본체의 선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돌출 연장된 터치팁과; 상기 캡본체의 내부에 부착되어 상기 필기구의 둘레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용 터치캡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는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용 터치캡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종단면도이며, 제3도는 제2도의 A-A선에 따른 평단면도이고, 제4도는 제1도의 필기구용 터치캡의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용 터치캡은, 필기구(20)의 일단에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캡본체(10)와, 캡본체(10)의 종단에 필기구(20)의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터치스크린을 조작하는데 사용되는 터치팁(11)과, 캡본체(10)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탄성부재(12)로 이루어져 있다.
캡본체(10)는 원통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으며, 일단은 필기구(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고, 타단은 원추형상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면서 폐쇄되어 있다. 그리고, 터치팁(11)은 캡본체(10)의 선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부재(12)는 내주면을 다라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캡본체(10)의 내부에 삽입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필기구(20)의 일단부를 캡본체(10)내에 삽입되도록 결합한 후 터치팁(11)을 이용하여 소형전자기기의 터치스크린의 조작할 수 있다. 이 때, 캡본체(10)내에 부착되어 있는 탄성부재(12)는 필기구(20)의 삽입에 따라 탄성적으로 가변되어 필기구(20)의 둘레면을 가압하도록 파지하게 되기 때문에, 다양한 직경의 필기구에 범용적으로 결합이 가능하다.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용 터치캡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필기구용 터치캡은, 전술한 실시예와 캡본체(30)와 터치팁(31) 및 탄성부재(32)의 구성 및 형상은 동일하나 캡본체(30)의 외주면에 클립부(3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서, 클립부(33)는, 캡본체(30)의 하부 외주면으로 부터 돌출하여 캡본체(30)의 길이방향으로 상측으로 연장되며 종단이 캡본체(30)의 외주면과 접촉하고 있다. 이러한 클립부(33)는, 탄성변형이 큰 외팔보로 구성된 것으로, 의복의 주머니 또는 노트 등에, 클립부(33)의 변형에 의한 탄성복원력으로, 필기구용 터치캡을 씌운 필기구를 부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클립부를 별도로 성형하여 필기구용 터치캡에 부착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필기구와 결합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필기구용 터치캡이 제공된다.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필기구용 터치캡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필기구용 터치캡은, 캡본체(40)와 터치팁(41)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터치팁(41)은 캡본체(40)와 별개로 성형되어 캡본체(40)에 삽입된 것이다. 그리고, 캡본체(40)는 탄성변형이 큰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별도의 탄성부재를 부착하지 않고도 필기구와 캡본체가 밀착하여 결합되도록 한 것이고, 터치팁(41)은 터치스크린을 조작할 수 있을 정도의 경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한 것이다.
전술 및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의 내주면에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부재가 캡본체의 내부에 삽입 부착되도록 설명하고 있지만, 탄성부재는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캡본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터치스크린 조작수단으로서 별도의 터치펜에 의하지 않고, 통상의 필기구에 간단히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필기구용 터치캡이 제공된다.
Claims (2)
- 필기구용 터치캡에 있어서, 필기구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통형상의 캡본체와; 상기 캡본체의 선단부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돌출 연장된 터치팁과; 상기 캡본체의 내부에 부착되어 상기 필기구의 둘레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용 터치캡.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내주면을 따라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용 터치캡.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56535U KR200155370Y1 (ko) | 1996-12-24 | 1996-12-24 | 필기구용 터치캡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56535U KR200155370Y1 (ko) | 1996-12-24 | 1996-12-24 | 필기구용 터치캡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43419U KR19980043419U (ko) | 1998-09-25 |
KR200155370Y1 true KR200155370Y1 (ko) | 1999-09-01 |
Family
ID=19483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60056535U KR200155370Y1 (ko) | 1996-12-24 | 1996-12-24 | 필기구용 터치캡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55370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2985B1 (ko) * | 2012-11-22 | 2014-08-27 | 오정표 | 보석부재의 흡착용구 |
-
1996
- 1996-12-24 KR KR2019960056535U patent/KR20015537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32985B1 (ko) * | 2012-11-22 | 2014-08-27 | 오정표 | 보석부재의 흡착용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43419U (ko) | 1998-09-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703626A (en) | Portable electric apparatus using a pen member for inputting information | |
US5747748A (en) | Stylus sheath for use with touch-sensitive screens | |
JP3398679B2 (ja) | 筆記具用グリップ | |
US6527464B2 (en) | Fingertip pen/stylus | |
JPH08332796A (ja) | 指ガイド付き筆記具 | |
EP2662221A1 (en) | Writing instrument | |
US20080106521A1 (en) | Computer input system including finger stylus | |
US6659673B1 (en) | Writing instrument with combination pocket clip and stylus assembly | |
KR200155370Y1 (ko) | 필기구용 터치캡 | |
JP5139601B1 (ja) | 入力デバイス及びそれを用いた入力ペン | |
KR101614575B1 (ko) | 정전용량 방식 터치 펜 겸용 볼펜 | |
KR200327899Y1 (ko) | 터치스크린 장치용 손가락 착용 스타일러스 펜 | |
EP1114739A1 (en) | Holder device for hand-held instruments | |
KR200253047Y1 (ko) | 손가락에 착용하는 pda 입력보조장치 | |
KR100864010B1 (ko) |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 |
US20020044072A1 (en) | Key input device used for portable equipment | |
KR101947027B1 (ko) | 굵기와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스타일러스 | |
KR200232197Y1 (ko) | 다용도 스타일러스 펜 | |
JP6934777B2 (ja) | タッチペン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 |
KR101371587B1 (ko) | 돌기가 형성된 핑거패드 | |
US20010033765A1 (en) | Fingertip pen/stylus | |
JP3002283U (ja) | キャップ型タッチパネル入力用ペン | |
JP3113234U (ja) | タッチペンホルダ、およびこれとタッチペンのセット | |
KR200312410Y1 (ko) | 기능성 필기구 홀더 | |
JP3248090U (ja) | ペンケー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528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