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5274Y1 - 에어컨용 압축기 - Google Patents

에어컨용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5274Y1
KR200155274Y1 KR2019970018432U KR19970018432U KR200155274Y1 KR 200155274 Y1 KR200155274 Y1 KR 200155274Y1 KR 2019970018432 U KR2019970018432 U KR 2019970018432U KR 19970018432 U KR19970018432 U KR 19970018432U KR 200155274 Y1 KR200155274 Y1 KR 2001552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mpressor
piston
cylinder
crank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84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5137U (ko
Inventor
최장섭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20199700184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5274Y1/ko
Publication of KR199900051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1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52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52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05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with two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9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crank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2Lubrication
    • F04B39/0284Constructional details, e.g. reservoirs in the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컨용 압축기를 개시한다.
종래 압축기는 오일회수공이 크랭크 케이스의 상부에 항시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크랭크 케이스 내부의 압력 변동으로 인해 오일이 오일회수공으로 급격히 빠져나가게 되어 크랭크 케이스내에 오일을 적정량으로 유지시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오일 부족으로 인해 윤활부분이 조기 마모됨은 물론 압축기의 내구성이 저하되고, 또한 냉매와 함께 냉각시스템으로 순환되는 오일의 양이 많아 열교환 성능이 저하되었다
본 고안에서는 오일회수공이 실린더의 내측면에 저압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항시 적정량의 오일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오일의 부족으로 인한 윤활부분의 조기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냉매와 함께 냉각시스템으로 순환되는 오일의 양이 적어져 그 만큼 오일로 인한 열교환 성능의 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에어컨용 압축기
본 고안은 에어컨용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의 크랭크 케이스 내부에 채워지는 오일을 적정량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에어컨용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냉각사이클(cooling cycle)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각시키는데 사용되는 에어컨은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스(冷媒gas)를 응축기(condenser)에서 액화시킨 뒤, 팽창밸브(expansion valve)를 통해 증발기(evaporator)에서 기화시킴으로써 냉매의 기화열에 의해 냉각작용을 수행하는 공기조절장치이다.
이와같은 에어컨은 압축기에 의해 그 냉각시스템이 구동되게 되는 바, 도 1을 참조하여 이러한 압축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크랭크 케이스(1)의 상부에 실린더(2)가 이와 연통되도록 대략 Y자 형상으로 배치되고, 이 실린더(2)에는 소정의 스트로크(stroke)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4)이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크랭크 케이스(1)의 내부에는 피스톤(4)과 커넥팅로드(5)에 의해 연결되어 피스톤(4)을 왕복운동시키는 크랭크축(6)이 설치되고, 크랭크 케이스(1)의 내부에는 윤활용 오일(7)이 채워져 있다.
도 2는 종래 압축기의 크랭크 케이스와 실린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서, 크랭크 케이스(1) 상부에는 피스톤(4)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냉각시스템으로 토출하는 고압부(8)와, 냉각시스템을 순환한 냉매가 유입되는 저압부(9)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크랭크 케이스(1)의 상면에는 저압부(9)와 크랭크 케이스(1)를 연통시키는 오일회수공(10)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압축기는, 냉매와 함께 냉각시스템으로 순환된 오일을 회수하기 위한 오일회수공(10)이 크랭크 케이스(1)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크랭크 케이스(1) 내부의 압력이 급격하게 변동되는 경우에는 예를들어 초기 기동시에는 크랭크축(6)의 회전으로 인해 비산되어 피스톤(4)으로 공급되는 오일이 크랭크 케이스(1)의 상면에 형성된 오일회수공(10)을 통해 저압부(9)로 빠져나가 냉매와 함께 냉각시스템으로 순환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크랭크 케이스(1) 내부의 오일량의 변동이 심하고, 또한 크랭크 케이스 내부의 오일 양이 부족하여 윤활부분으로 오일을 정상적으로 공급하지 못하기 때문에 윤활부분이 조기에 마모되게 되고, 압축기의 내구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냉매에 혼합되어 냉각시스템을 순환하는 오일의 양이 많으므로 냉매의 열교환 작용을 저하시키게 되어 열교환 성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크랭크 케이스 내부에 채워지는 오일을 적정량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에어컨용 압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오일이 채워지는 크랭크 케이스와, 상기 크랭크 케이스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그 내부를 따라 피스톤이 왕복운동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와 연통되는 고압부 및 저압부와, 상기 크랭크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을 구동시키는 크랭크축을 구비하는 에어컨용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내측면에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개폐되는 오일회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오일회수공은 상기 저압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용 압축기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크랭크 케이스 내부에 채워진 오일을 적정량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오일양의 부족으로 인한 윤활부품의 조기마모는 물론 압축기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냉매와 함께 냉각시스템을 순환하는 오일의 양이 적어져 그 만큼 열교환 성능이 향상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압축기의 일례를 보인 부분 절단 측면도,
도 2는 종래 압축기의 케이스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압축기의 케이스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크랭크 케이스 2 : 실린더
4 : 피스톤 5 : 커넥팅로드
6 : 크랭크축 7 : 윤활용 오일
8 : 고압부 9 : 저압부
11 : 오일회수공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에서,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용 압축기는 크랭크 케이스(1)의 상부에 실린더(2)가 이와 연통되도록 대략 Y자 형상으로 배치되고, 이 실린더(2)에는 소정의 스트로크(stroke)로 왕복운동하는 피스톤(4)이 결합된다.
그리고 크랭크 케이스(1)의 내부에는 피스톤(4)과 커넥팅로드(5)에 의해 연결되어 피스톤(4)을 왕복운동시키는 크랭크축(6)이 설치되고, 크랭크 케이스(1)의 내부에는 윤활용 오일(7)이 적정량 채워져 있다.
그리고 크랭크 케이스(1) 상부에는 피스톤(4)에 의해 압축된 냉매를 고압라인(8a)을 통해 냉각시스템으로 토출시키는 고압부(8)와, 냉각시스템을 순환한 뒤 저압라인(9a)을 통해 유입되는 냉매를 실린더(2)로 보내는 저압부(9)가 마련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실린더(2)의 내측면에는 피스톤(4)의 이동에 의해 개폐되는 오일회수공(11)이 형성되고, 이 오일회수공(11)은 저압부(9)와 연통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에어컨용 압축기는, 크랭크축(6)이 회전하게 되면, 커넥팅 로드(5)를 통해 크랭크축(6)에 연결된 피스톤(4)이 실린더(2) 내부를 소정의 스트로크로 왕복운동함으로써 냉매가 흡입 및 압축되어 고압부(8)의 고압라인(8a)을 통해 냉각시스템으로 토출되게 된다.
그리고 크랭크축(6)의 회전에 의해 크랭크 케이스(1) 내부에 채워진 오일(7)이 피스톤(4)과 실린더(2) 사이로 공급되어 피스톤(4)과 실린더(2)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게 됨과 동시에 그 중의 일부 오일은 피스톤(4)과 실린더(2) 사이를 통해 냉매와 혼합된 상태로 냉각시스템으로 순환되게 된다.
그리고 냉각시스템을 순환한 냉매와 일부의 오일은 저압라인(9a)을 통해 저압부(9)로 유입된 후, 저압부(9)에서 냉매에 혼합된 오일(7)이 분리되고, 분리된 오일(7)은 실린더(2)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저압부(9)와 연통된 오일회수공(11)을 통해 실린더(2)로 유입된 후, 실린더(2)의 내면을 타고 크랭크 케이스(1) 내부로 회수되게 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냉매와 함께 냉각시스템으로 순환된 오일을 회수하기 위한 오일회수공(11)이 실린더(2)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피스톤(4)의 이동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종래 오일회수공(10)이 크랭크 케이스(1)의 상면에 형성된 방식에 비하여 오일회수공을 통해 저압부로 빠져나가는 오일의 양을 최소화 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오일회수공(11)이 실린더(2)의 내측면에 저압부(9)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피스톤(4)의 상승시에만 오일회수공(11)이 개방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크랭크 케이스(1) 내부에 급격한 압력 변동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크랭크 케이스(1) 내부의 오일이 오일회수공(11)을 통해 저압부(9)로 급격하게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크랭크 케이스(1) 내부에 채워진 오일을 적정량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윤활부분 즉, 마찰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피스톤부 등에 오일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어 구성품들의 조기 마모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압축기의 내구성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냉매에 혼합되어 냉각시스템으로 순환되는 오일의 양이 적어져 그 만큼 오일로 인한 열교환 성능의 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에어컨용 압축기에 의하면, 크랭크 케이스 내부에 채워지는 오일을 적정량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마찰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피스톤부 등에 오일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어 구성품들의 조기 마모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압축기의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냉매와 함께 냉각시스템으로 순환되는 오일의 양이 적어져 그 만큼 오일로 인한 열교환 성능의 저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오일이 채워지는 크랭크 케이스와, 상기 크랭크 케이스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그 내부를 따라 피스톤이 왕복운동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와 연통되는 고압부 및 저압부와, 상기 크랭크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을 구동시키는 크랭크축을 구비하는 에어컨용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의 내측면에 피스톤의 이동에 의해 개폐되는 오일회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오일회수공은 상기 저압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용 압축기.
KR2019970018432U 1997-07-12 1997-07-12 에어컨용 압축기 KR2001552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432U KR200155274Y1 (ko) 1997-07-12 1997-07-12 에어컨용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432U KR200155274Y1 (ko) 1997-07-12 1997-07-12 에어컨용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137U KR19990005137U (ko) 1999-02-05
KR200155274Y1 true KR200155274Y1 (ko) 1999-08-16

Family

ID=19505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8432U KR200155274Y1 (ko) 1997-07-12 1997-07-12 에어컨용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527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137U (ko) 199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918C (zh) 线性压缩机的油路打开和关闭系统
KR100212294B1 (ko) 편측경사판식압축기
US6321635B1 (en) Swash plate type compressor in which lubricating oil is effectively supplied to a shoe mechanism interposed between a piston and a swash plate
KR200155274Y1 (ko) 에어컨용 압축기
US6402480B1 (en) Lubrication passage for swash plate type compressor
JP3487892B2 (ja) 密閉型圧縮機
US6481979B2 (en) Lubrication passage and nozzle for swash plate type compressor
CN1036021C (zh) 封闭型电动压缩机
US20130094984A1 (e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shaft oil separator
KR19980050934U (ko) 에어컨용 압축기
JP4045882B2 (ja) 圧縮機
JP3725208B2 (ja) 密閉型圧縮機
KR101348854B1 (ko) 압축기
KR102641826B1 (ko) 가변 사판식 압축기
KR0118133Y1 (ko) 냉장, 냉동기용 압축기의 실린더 윤활오일 급유장치
JPH04153593A (ja) 密閉型ロータリ圧縮機
KR200170003Y1 (ko) 사판식 압축기의 피스톤
KR19990032957U (ko) 자동차용 냉매압축기의 오일윤활구.
KR19980011135U (ko) 자동차용 압축기의 피스톤 연결축 윤활구조
KR200142898Y1 (ko) 압축기
KR19980072898A (ko) 자동차용 사판식 압축기
JPH0443873A (ja) 容量可変斜板式コンプレッサ
JP2559645Y2 (ja) 斜板式コンプレッサ
JP2023543107A (ja) 潤滑剤貯留器、圧縮機システム、およびヒートポンプ
JPS597583Y2 (ja) 斜板式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