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4770Y1 - 사슬식 장신구의 조립식 연결체 - Google Patents

사슬식 장신구의 조립식 연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4770Y1
KR200154770Y1 KR2019970013817U KR19970013817U KR200154770Y1 KR 200154770 Y1 KR200154770 Y1 KR 200154770Y1 KR 2019970013817 U KR2019970013817 U KR 2019970013817U KR 19970013817 U KR19970013817 U KR 19970013817U KR 200154770 Y1 KR200154770 Y1 KR 2001547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assembled
ring
linkag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38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0515U (ko
Inventor
허장
Original Assignee
허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장 filed Critical 허장
Priority to KR20199700138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4770Y1/ko
Publication of KR199900005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05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47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47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2Link construction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사슬식 장신구의 조립식 연결체는 제1방향에 연결고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제2방향에 통과공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연결체 부재를 복수개 사용하여, 하나의 연결체 부재의 연결 고리를 다른 연결체 부재의 통과공에 끼움에 의하여 조립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에 의한 사슬식 장신구의 조립식 연결체를 사용하여 제작된 사슬식 장신구는 연결 고리가 분리될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사슬식 장신구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연결 고리를 용접하는 등의 작업 공정이 생략될 수 있고, 제작의 각 단계를 별도로 진행할 수 있는 모듈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사슬식 장신구의 조립식 연결체는 외부에 다양한 무늬를 각인하고 내부는 비어있는 상태로 두는 방식으로, 외관상의 심미감을 가짐과 동시에 내부에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입체적인 형상을 가지면서도 중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사슬식 장신구의 조립식 연결체
본 고안은 사슬식 장신구를 구성하는 연결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결고리가 일체로 제작되어 있고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연결체에 관한 것이다.
사슬식 장신구로는 목걸이, 팔지, 또는 벨트 등이 있으며, 이러한 사슬식 장신구는 사슬 구성을 위하여 반복되는 연결체들이 고리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체의 형상, 모양 및 색채는 사슬식 장신구의 미감을 형성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종래에는 사슬식 장신구를 제작하기 위하여, 사슬을 구성하는 반복되는 연결체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체와는 별도로 연결 고리를 제작하고, 이러한 연결 고리를 연결체에 땜질하여 부착하는 방식을 사용하거나, 또는 반복되는 연결체 자체가 고리와 같은 기능을 하여 서로 맞물려서 연결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먼저, 연결체와 별도의 연결 고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연결 고리를 연결체에 부착하기 위하여 용접 등과 같은 공정이 추가되고, 이러한 공정은 사슬식 장신구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가장 번거로운 공정이므로 별도의 연결 고리를 사용하는 방식은 사슬식 장신구 전체의 제조 공정을 복잡하게 한다. 또한, 별도로 제작되어 부착된 연결 고리는 연결체로부터 떨어질 수 있으므로, 사슬식 장신구를 사용하는 도중에 곤란한 문제를 겪을 수 있다.
또한, 연결체 자체가 고리와 같은 기능을 하여 서로 맞물려서 연결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슬식 장신구의 미감을 형성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연결체 자체의 형상이 크게 제한되어 다양한 미감의 사슬식 장신구를 제작하는데 큰 장애가 된다. 뿐만 아니라, 사슬식 장신구의 제작시 연결체들을 서로 맞물려가면서 용접하여야 하므로, 사슬식 장신구를 전체적으로 일시에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작 공정이 매우 까다로워진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사슬식 장신구의 반복되는 연결체를 상당한 부피를 가지는 입체로 만들고자 할 때에는 연결체의 내부가 비어진 상태로 유지시킬 수 없으므로 중량이 커져서 장신구로서 착용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중량을 줄이기 위하여 연결체의 내부를 줄여서 내부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는 연결체를 절단하여야 하던지, 또는 공정시에 양분하여 공간을 확보한 후 외부에서 용접하거나 볼트로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외관상 심미감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제작 공정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방식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결체와 별도의 연결 고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사슬식 장신구 전체를 일시에 제작할 필요가 없이 각 연결체를 제작한 후, 연결체들을 연결하여 제작할 수 있는 사슬식 장신구의 조립식 연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외관의 미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사슬식 장신구의 반복되는 연결체의 내부 공간을 확보함에 의하여 중량감이 덜어지므로, 상당한 부피를 가지는 입체적 형상의 연결체를 사용할 수 있는 사슬식 장신구의 조립식 연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슬식 장신구의 조립식 연결체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조립식 연결체11, 12 : 연결체 부재
13, 14 : 연결 고리15, 16 : 통과공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슬식 장신구의 연결체는 별도의 연결 고리를 사용하지 않아야 하므로, 본 고안자는 연결 고리를 일체로 제작된 연결체를 고안하였으며, 또한, 연결 고리가 일체로 제작된 연결체를 사용하면서도, 각 연결체를 먼저 제작한 후에 이러한 연결체들을 연결하여 사슬식 장신구 전체를 완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자는 연결 고리와 통과공이 일체로 제작되어 상기 연결고리와 통과공을 통하여 조립될 수 있는 조립식 연결체를 고안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사슬식 장신구의 사슬을 구성하기 위하여 반복되는 연결체에 있어서, 제1방향에 연결고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제2방향에 통과공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연결체 부재를 복수개 사용하여, 하나의 연결체 부재의 연결 고리를 다른 연결체 부재의 통과공에 끼움에 의하여 조립될 수 있는 사슬식 장신구의 조립식 연결체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슬식 장신구의 조립식 연결체의 사시도이다.
도1a는 본 고안에 의한 사슬식 장신구의 조립식 연결체를 구성하는 조립 가능한 연결 부재들이고, 도1b는 도1a에 도시된 연결 부재들을 조립하여 형성한 사슬식 장신구의 연결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들(11, 12)은 각각 연결 고리들(13,14)과 통과공들(15,1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연결 부재들은 다른 연결 부재의 통과공에 자신의 연결 고리를 끼움에 의하여 조립되어 연결체 전체를 형성한다. 즉, 제1연결 부재(11)의 연결 고리(13)가 제2연결 부재(12)의 통과공(16)에 끼워지고, 제2연결 부재(12)의 연결 고리(14)가 제1연결 부재(11)의 통과공(15)에 끼워진다.
연결 고리 및 통과공이 일체로 제작되는 점을 제외하고, 연결 부재들(11,12)의 형상 및 모양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장신구의 미감을 다양화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에 의하여 형성된 연결체는 양 방향의 통과공을 통하여 양 방향을 연결 고리가 돌출되고, 돌출된 연결 고리는 연결체 부재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결체로부터 분리될 염려가 없다.
또한, 상기 연결체 부재들을 조립하여 형성된 연결체는 그 내부가 비어있으므로, 연결체가 상당한 부피를 가져도 중량감이 없어서 착용감이 좋을 뿐만 아니라, 연결체의 표면의 의하여 장식적인 효과를 충분히 거둘 수 있으므로, 장신구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체 부재들을 사용하여 연결체들을 조립한 후, 조립된 연결체들의 돌출된 고리를 통하여 조립된 연결체들을 서로 연결하여 사슬식 장신구를 완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슬식 장신구의 제작 공정이 연결 부재의 제작, 연결 부재의 조립에 의한 연결체의 제작, 조립된 연결체들을 서로 연결하여 사슬식 장신구를 완성하는 과정 등의 독립적인 세 가지 단계로 구별되므로, 각 공정을 별도로 진행할 수 있는 모듈화를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사슬식 장신구의 조립식 연결체는 제1방향에 연결고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제2방향에 통과공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연결체 부재를 복수개 사용하여, 하나의 연결체 부재의 연결 고리를 다른 연결체 부재의 통과공에 끼움에 의하여 조립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에 의한 사슬식 장신구의 조립식 연결체를 사용하여 제작된 사슬식 장신구는 연결 고리가 분리될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사슬식 장신구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연결 고리를 용접하는 등의 작업 공정이 생략될 수 있고, 제작의 각 단계를 별도로 진행할 수 있는 모듈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사슬식 장신구의 조립식 연결체를 사용하면, 여러 가지 형태를 사용한 장신구의 자유로운 개폐는 물론 내부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확보된 내부 공간에 다른 물체를 삽입할 수도 있다.

Claims (2)

  1. 사슬식 장신구의 사슬을 구성하기 위하여 반복되는 연결체에 있어서,
    제1방향에 연결고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제2방향에 통과공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연결체 부재를 복수개 사용하여, 하나의 연결체 부재의 연결 고리를 다른 연결체 부재의 통과공에 끼움에 의하여 조립될 수 있는 사슬식 장신구의 조립식 연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그 내부가 비어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슬식 장신구의 조립식 연결체.
KR2019970013817U 1997-06-10 1997-06-10 사슬식 장신구의 조립식 연결체 KR2001547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817U KR200154770Y1 (ko) 1997-06-10 1997-06-10 사슬식 장신구의 조립식 연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817U KR200154770Y1 (ko) 1997-06-10 1997-06-10 사슬식 장신구의 조립식 연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515U KR19990000515U (ko) 1999-01-15
KR200154770Y1 true KR200154770Y1 (ko) 1999-08-16

Family

ID=19502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3817U KR200154770Y1 (ko) 1997-06-10 1997-06-10 사슬식 장신구의 조립식 연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477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515U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73075A (zh) 珠宝和/或首饰物件
JP5882445B2 (ja) ジュエリーアイテムおよび可変寸法のジュエリーアイテムを得るためにモジュラーエレメントを連結する方法
EP0329733B1 (en) Costume jewelry
KR200154770Y1 (ko) 사슬식 장신구의 조립식 연결체
US7073351B2 (en) Engagement set with locking arrangement and rear crossover configuration
KR101657456B1 (ko) 이종 또는 동종 재질의 장신구용 연결구의 제조방법
GB2110920A (en) Ornamental stone for trinkets and jewelry in general
KR200380796Y1 (ko) 형태 변형이 가능한 목걸이용 펜던트
KR200186265Y1 (ko) 장신용 액세서리 체인
JP5128218B2 (ja) 装飾品用駒
US4245461A (en) Non-expansible linkage bracelet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CN218209378U (zh) 一种组合体装饰灯罩
KR200335703Y1 (ko) 십자가형 장신구
USRE31681E (en) Non-expansible linkage bracelet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100556819B1 (ko) 가요성 금속 와이어를 사용하여 악세서리를 제조하는 방법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악세서리
KR200289772Y1 (ko) 장신구
KR200381950Y1 (ko) 보석 마운팅 조립체
CN213664034U (zh) 一种吊坠结构及首饰
KR200267074Y1 (ko) 장식체인 연결 구조
KR200404238Y1 (ko) 볼 체인
EP3817617B1 (en) Jewelry cable
KR200293746Y1 (ko) 시계줄의 연결마디
KR200241340Y1 (ko) 장식용 사슬구조
KR200211036Y1 (ko) 장식성을 증대시킨 손목시계줄
KR200282239Y1 (ko)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신구 연결고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