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4322Y1 - 컬형상을 가지는 고전류용 케이블 - Google Patents

컬형상을 가지는 고전류용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4322Y1
KR200154322Y1 KR2019960068169U KR19960068169U KR200154322Y1 KR 200154322 Y1 KR200154322 Y1 KR 200154322Y1 KR 2019960068169 U KR2019960068169 U KR 2019960068169U KR 19960068169 U KR19960068169 U KR 19960068169U KR 200154322 Y1 KR200154322 Y1 KR 2001543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urrent
high current
connector
curl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81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4970U (ko
Inventor
백성현
Original Assignee
왕중일
대우전자부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중일, 대우전자부품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왕중일
Priority to KR20199600681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4322Y1/ko
Publication of KR199800549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49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43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43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6Extensible conductors or cables, e.g. self-coiling cords
    • H01B7/065Extensible conductors or cables, e.g. self-coiling cords having the shape of an heli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06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conductor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시가라이트용 전원으로 부터 고전류를 사용하는 휴대용 사무기기등에 전원을 연결시켜주는 케이블을 다수개의 가는 전선으로 배열하여 커얼 형상을 이루도록 하므로써 케이블에 신축성을 주게 되어 케이블이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컬형상을 가지는 고전류용 케이블
본 고안은 고전류용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전류용으로 사용되는 케이블에서도 커얼형상을 주도록 개선된 연결부와 배열을 가지는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AC/DC 인버터나 DC/DC 컨버터의 출력케이블은 전원으로 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그 길이가 1 - 1.8m정도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보통이고, 이렇게 길게 형성되는 경우 전원으로 부터 가까이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긴 케이블이 바닥에 끌리거나 사람의 행동에 걸리적 거리게 되어 오히려 방해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저전류용 케이블같이 통과하는 전류가 1A이하인 경우에는 케이블을 와선형으로 감겨지는 컬(curl) 형상을 주게 되므로써 짧은 거리에서는 신축되어져 늘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전원으로 부터 먼거리에 연결시켜줄 때는 상기 감겨진 컬형상이 늘어나면서 탄력적으로 길이가 가변되는 등 사용이 편리하게 되기때문에 케이블에 컬형상을 주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노트북컴퓨터등과 같은 휴대용 사무기기들이 점차 고급화되면서 사용되는 전원이 1A이상의 고전류를 사용하는 것이 점차 일반화되고 있는 데, 이러한 전원케이블의 내부 동선을 통해 도통되는 전류가 1A이상인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전원케이블을 컬형상을 주게되면 이들 컬형상에 따른 자기유도저항이 심해져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고전류용 케이블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에 삽입된 잭(10)을 통해 전기기기의 커넥터(12)로 전원을 도통시켜 주게된 케이블(14)을 그냥 스트레이트로 처리할 수 밖에 없어 사용상의 케이블이 바닥에 늘어져 끌리거나 지나가는 사람들의 발에 걸리적 거리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전류용 케이블을 늘어지지 않고 신축 팽창이 자유롭게 되도록 개선된 전원케이블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케이블은, 전원에 삽입되는 잭으로 부터 전기장치의 커넥터으로 전류를 도통시켜 주게 된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내부도선이 저용량의 전류를 통과시키도록 다수개의 내부전선으로 분류되어져 커넥터에서 합쳐지므로써 케이블을 컬화시키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에 따르면, 내부의 전선마다 1A이하의 저전류를 도통시키게되어 커넥터에서 다시 합쳐져 원하는 고전류를 얻게 될 뿐아니라 케이블은 나선형으로 컬하므로써 자기유도저항을 최대한 감소시켜 주게 되어 전류의 손실없이 효과적으로 케이블을 신축성 있는 컬타입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케이블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의 커넥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잭 12 : 케이블
14 : 커넥터 16 : 내부전선
18 : 단자 20 : 커넥터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이 컬형상으로 가공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의 커넥터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전원에 삽입되는 잭(10)으로 부터 전기장치의 커넥터(12)로 전류를 도통시켜 주게 된 케이블(14)이 나선형의 컬형상으로 처리되어 있다.
이때 내부전선(16)은 저용량의 전류를 통과시키도록 다수개의 도선으로 분류되어져 커넥터(14)에서 합쳐지게 되는 바,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도선이 각각 터미날(18)에 접합되고, 이 들 터미널(18)에 대응되는 상대방 커넥터(20)에 각각 삽입되어지면, 대응되는 상대방 커넥터(20)에서는 이들 단자들을 원하는 전류량을 이루기 위해 합쳐서 내부전원으로 공급하여 주게 된다.
이와같이 하므로써 케이블의 내부전선(16)은 각각 1A이하의 소용량으로 전류를 통과시키게 되므로써, 상기 저전류의 전선을 다수개의 가는 도선으로 처리하므로써 고용량의 굵은 도선으로 처리할 수 없는 나선형의 컬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게 해줄 뿐아니라 각 도선이 저전류를 도통시키므로써 나선형의 컬타입에 의한 전류손실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에 따르면, 내부의 전선(16)마다 1A이하로 제한하여 저전류를 도통시키게되어 커넥터(14)에서 다시 합쳐져 원하는 고전류를 얻게 될 뿐아니라 케이블은 나선형으로 컬하므로써 자기유도저항을 최대한 감소시켜 주게 되어 전류의 손실없이 효과적으로 케이블을 신축성 있는 컬타입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따라서 케이블의 늘어지는 부분을 컬타입에 의해 케이블에 신축/팽창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케이블 처리를 위한 고정수단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때 상기 케이블(10)은 내부에 전류를 통하는 전도성 재질 예컨대 구리선으로 이루어지고 외부는 절연재질로 피복된 구조로 이루어져, 설치자유도를 넓혀주기 위해 플렉시블하게 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요구되는 전원의 고전류화가 요구되는 전기기기에서 별도의 케이블 처리수단 없이 그 자체로 신축팽창이 자유롭도록 컬형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되어 케이블의 길이가 길어지더라도 늘어짐없이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Claims (1)

  1. 전원에 삽입되는 잭(10)으로 부터 전기장치의 커넥터(12)로 전류를 도통시켜 주게 된 케이블(14)에 있어서, 케이블의 내부전선(16)을 저용량의 전류를 통과시키도록 다수개의 도선으로 분류되어져 커넥터(14)에서 원하는 고전류로 합쳐지게 되고, 케이블(14)을 신축팽창이 자유로운 컬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류용 케이블.
KR2019960068169U 1996-12-31 1996-12-31 컬형상을 가지는 고전류용 케이블 KR2001543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8169U KR200154322Y1 (ko) 1996-12-31 1996-12-31 컬형상을 가지는 고전류용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8169U KR200154322Y1 (ko) 1996-12-31 1996-12-31 컬형상을 가지는 고전류용 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970U KR19980054970U (ko) 1998-10-07
KR200154322Y1 true KR200154322Y1 (ko) 1999-08-02

Family

ID=19489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8169U KR200154322Y1 (ko) 1996-12-31 1996-12-31 컬형상을 가지는 고전류용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432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970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713200D1 (de) Elektrische Verbinderanordnung mit Koaxialkabel mit gewelltem Aussenleiter
DE69821366D1 (de) Elektrischer steckverbinder für drehstrom
ATE244449T1 (de) Leistungstransformator/induktanz
ES2094707T1 (es) Terminal conector con lamina de fijacion aislante.
CN108092027A (zh) 用于多芯线的电缆的电插接连接器
DE69317296D1 (de) Elektrischer verbinder mit konischer innenfläche mit gewinde
DE50209106D1 (de) Flexible elektrische leitung
KR200154322Y1 (ko) 컬형상을 가지는 고전류용 케이블
JP2000299020A (ja) 給電設備およびその高周波電流用ケーブル
US1442648A (en) Cord conductor
US3019410A (en) Wire-to-wire connection
EA200000589A1 (ru) Магнитный накопитель энергии, высоковольтная система и система передачи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SE7904699L (ko)
JPH05263377A (ja) リッツ線
JP4676663B2 (ja) 住宅用分電盤
EA200000120A1 (ru) Способ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обрыва изолированного провода и моментального нарушения энергоснабжения
ATE293280T1 (de) Supraleitendes kabel
JP3601070B2 (ja) 照明器具
JP2873376B2 (ja) 電 線
KR0107412Y1 (ko) 전자레인지의 고전압 트랜스 배선구조
JPH097435A (ja) 高周波電力伝送ケーブル
JPH0865034A (ja) ヘリカルアンテナ
CA1077147A (en) Composite sheet winding for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apparatus
JPH053090A (ja) 照明器具
ATE416501T1 (de) Verbindungseinrichtung für elektrische leitungen mit elektrischer feldabschirm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