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3865Y1 - 출선구 센타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출선구 센타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3865Y1
KR200153865Y1 KR2019950053166U KR19950053166U KR200153865Y1 KR 200153865 Y1 KR200153865 Y1 KR 200153865Y1 KR 2019950053166 U KR2019950053166 U KR 2019950053166U KR 19950053166 U KR19950053166 U KR 19950053166U KR 200153865 Y1 KR200153865 Y1 KR 2001538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opening
guide
exit port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31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9032U (ko
Inventor
조남홍
안태진
김광열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500531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865Y1/ko
Publication of KR9700390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90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8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8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2Opening or sealing the tap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5Tapping equipment; 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 F27D3/1509Tapping equipment
    • F27D3/1518Tap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5Tapping equipment; 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 F27D3/1509Tapping equipment
    • F27D3/1527Taphole forming equipment, e.g. boring machines, piercing to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00Shaft or like vertical or substantially vertical furnaces
    • F27B1/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1/21Arrangements of devices for dis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트를 이용하여 고로 설비의 용선 배출구인 출선구를 개공하기 위한 출선구 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대략의 판재형상의 몸체(11)를 가지며, 상기 몸체(11)는 일측면의 좌우 양측에 각각 [, ]형 안내홈(12)을 형성하고, 타측면 상하부에 적정길이 돌출 절곡되어 평행하게 된 안내브라켓(13)이 설치되며, 상측 단부에는 상기 안내홈(12)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볼트부재(15)를 장착한 개공기 장착부재(10); 와, 개공기 장착부재(10)의 안내브라켓(13) 사이로 수용되는 미끄럼판(32)을 가지며, 상기 미끄럼판(32)은 일측 표면에 지지대(34)를 고정하며 상기 지지대(34)에는 몸체(11)의 하단부의 위치보다 더 하부측으로 위치하는 비트 이탈방지부재(36)를 장착하여 고정하며, 상기 비트 이탈방지부재(36)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비트안내 구멍(37)을 가지도록 된 비트 안내부재(30);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출선구 센타 조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출선구 센타 조정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출선구 센타 조정장치를 도시하며, a도는 평면도.
b도는 정면도.
c도는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출선구 센타 조정장치를 개공기 선단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개공기 장착부재 12 : 안내홈
13 : 안내브라켓 15 : 볼트부재
30 : 비트 안내부재 36 : 비트 이탈방지부재
본 고안은 고로 설비의 용선 배출구인 출선구를 개공하기 위한 출선구 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출선구를 개공하는 경우에, 개공기의 선단몸체에 상하 및 좌우로 이동될 수 있는 비트 이탈방지부재를 갖추어 그 비트 이탈 방지부재의 상하 및 좌우 방향에 대한 위치가 출선구 센타부분과 일치될 수 있도록 조정한 상태에서 머드건 접합부에 밀착되게 한 후, 비트가 상기 비트 이탈방지부재를 관통하면서 지지되어 출선구 개공작업을 행함으로서, 비트가 출선구의 굴착하고자 하는 지점, 즉 머드건 접합부의 내부측 정중앙 센타에 용이하고 정확하게 위치되어 그 굴착 비트가 출선구 센타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한 출선구 개공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출선구 센타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 노내에서 생성되어지는 용선 및 슬래그(Slag)는 출선구를 통하여 배출되어지고, 이러한 출선구는 노내 용융물인 용선 및 슬래그의 생성 속도와 조업 조건에 따라 탄력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상기 출선구를 개공하여 그 고로 노내의 용융물을 배출시켜주는 것이다.
이러한 출선구의 개공은 금봉을 미리 삽입하여 그 금봉을 제거하는 방법, 비트 굴착에 의하여 개공하는 방법, 및 산소를 취입하여 개공하는 방법등이 이용되어지고, 통상 출선구 굴착 성형 또는 면보수, 용선 탕도 보수등의 시기에는 금봉을 이용하지 않고 비트 굴착을 이용하는 것이다. 또한, 출선 작업중에 발생되는 출선구의 편측 마모로 인한 출선구의 센타(Center) 이탈시에도 금봉을 이용한 출선구 개공을 행하지 않고 비트 굴착을 이용하여 출선구를 개공하는 것이다.
상기 비트 굴착을 행하기 위하여는 고로 외부측에 선회하면서 출선구측으로 이동하거나 그 출선구로 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하도록 된 개공기를 갖추며, 상기 개공기가 출선구측으로 가까이 있을 수 있도록 선회하는 경우의 그 선단부에는 굴착 비트를 장착하여 출선구를 개공할 수 있는 것인데, 이러한 비트가 출선구를 개공하는 경우에는 그 비트를 출선구의 굴착하고자 하는 지점, 즉 머드건 접합부의 내부측 정중앙 센타에 위치시킨 다음, 굴착 작업 시작과 동시에 이러한 굴착 작업중 굴착 비트가 출선구 센타로부터 벗어나 이탈 또는 튕겨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금봉 또는 환봉을 이용하여 비트 상부를 누르거나 하부측을 받쳐주며 굴착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개공기 해머(Hammer)와 드릴등을 이용하여 비트가 원하는 굴착지점의 센타지점에서 유지하도록 하는데 이는 해머 타격시 비트에 강한 진동을 가하게 되므로 비트는 그 진동과 회전동작으로 인하여 초기에 설정되는 굴착지점에서 벗어나 원하지 않는 다른 부분을 굴착하거나 머드건 접합부를 파소시킴으로서 출선구 굴착 성형 또는 접합부 보수작업을 실시하여야 하는 곤란함을 유발하는 것이고, 또한 정확한 센타로 굴착되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단 몇차례의 출선구 사용후 제자 비트 굴착 작업을 실시하여야 하며 이러한 굴착작업 횟수의 증가는 노황 안정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작업소요시간의 증가, 자재원가의 상승 및 각종 출선구 설비의 파손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가지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고로 설비의 용선 배출구인 출선구를 개공하는 경우에, 비트가 원하는 굴착지점의 센타지점에서 유지하여 초기에 설정되는 굴착지점에서 벗어나 원하지 않는 다른 부분을 굴착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머드건 접합부 파손에 의한 출선구 굴착 성형 또는 접합부 보수작업의 필요를 제거하여, 노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출선구 설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출선구 센타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비트를 이용하여 고로 설비의 용선 배출구인 출선구를 개공하기 위한 출선구 개공장치에 있어서, 대략의 판재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몸체는 일측면의 좌우 양측에 각각 [, ]형 안내홈을 형성하고, 타측면 상하부에 적정길이 돌출 절곡되어 평행하게 된 안내브라켓이 설치되며, 상측 단부에는 상기 안내홈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볼트부재를 장착한 개공기 장착부재; 와, 개공기 장착부재의 안내브라켓 사이로 수용되는 미끄럼판을 가지며, 상기 미끄럼판은 일측 표면에 지지대를 고정하며 상기 지지대에는 몸체의 하단부의 위치보다 더 하부측으로 위치하는 비트 이탈방지부재를 장착하여 고정하며, 상기 비트 이탈방지부재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비트안내구멍을 가지도록 된 비트 안내부재;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출선구 센타 조정 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출선구 센타 조정장치를 도시하며, 제1a도는 평면도이고, 제1b도는 정면도이며, 제1c도는 사시도로서, 본 장치는 개공기 선단의 대략의 사각 판재형상으로 된 제2도에 도시되는 선단몸체(80)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좌우 양측에 각각 [, ]형 안내홈(12)을 형성한 개공기 장착부재(10)와, 상기 개공기 장착부재(10)에 끼워져 결합되고 비트를 적정한 위치에 안내할 수 있도록 된 비트 안내부재(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공기 장착부재(10)는 대략의 사각판재형상의 몸체(11)를 가지며, 상기 몸체(11)의 일측면 양단부에 상술한 안내홈(12)을 형성하며, 타측면 중앙부에는 상하로 일정거리 떨어져 평행하게 안내브라켓(13)이 설치되고, 이들 안내브라켓(13)은 몸체(11)에 수직하게 적정길이 돌출하고 그 단부가 다른 안내브라켓(13)측으로 절곡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11)의 상측 단부에는 볼트부재(15)를 상기 안내홈(12) 사이에 위치시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하는 절곡브라켓(14)이 형성된다.
상기 비트 안내부재(30)는 개공기 장착부재(10)의 안내브라켓(13) 사이로 수용되어 그 안내브라켓(13)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서 몸체(11)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사각판재 형상의 미끄럼판(32)을 가지며, 상기 미끄럼판(32)의 일측 도면, 즉 몸체(11)의 반대측 표면에는 좌우로 적정한 길이 떨어져 수평하게 위치하고 몸체(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대하여 하향경사를 가지는 지지대(34)의 일측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대(34)의 타측 단부는 상하방향에 대하여 상기 몸체(11)의 하단부에 위치보다 더 하부측으로 위치하도록 연장되어 비트 이탈방지부재(36)를 장착하여 고정하며, 상기 비트 이탈방지부재(36)는 도면상의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는 비트안내구멍(37)을 가지고, 이러한 비트안내구멍(37)은 도면상의 좌측 단부의 구멍 크기가 우측 단부의 구멍 크기에 비하여 더 크게 되는 그러한 원추형 구멍으로 형성하며 우측단부에는 원판형의 지지부재를 형성하여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34)의 하부측에는 수평하게 위치하는 지지막대(38)를 복수개 고정하며, 이러한 지지막대(38)는 몸체(11)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일정 거리 떨어져 평행하게 설치되어 그 단부의 상부면이 몸체(11)의 하측 단부의 하부면에 대략 접촉하여 있는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통상, 출선구를 개공하기 위한 설비는 비트 굴착을 행하기 위하여 고로 외부측에 선회하면서 출선구측으로 이동하거나 그 출선구로 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하도록 된 개공기를 갖추며, 상기 개공기가 출선구측으로 가까이 있을 수 있도록 선회하는 경우의 그 선단부에 본 고안의 장치가 장착된다.
즉, 상기 개공기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선단에 대략의 사각 판재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된 선단몸체(80)를 가지며, 이러한 선단몸체(80)의 상부측으로 개공기 장착부재(10)가 몸체(11) 좌우측에 형성된 안내홈(12)을 매개로 끼워져 결합되고, 이때 상기 몸체(11)는 안내홈(12) 사이의 상부측에 볼트부재(15)가 몸체(11)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으므로 그 볼트부재(15)의 하부면에 개공기 선단몸체(80)이 상부면이 접촉하여 있게 되며, 따라서 상기 볼트부재(15)를 회전시키며 그 상하방향 이동에 의하여 개공기 장착부재(10)가 개공기 선단몸체(80)를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렇게 개공기 장착부재(10)를 개공기 선단몸체(80)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한 후, 상기 개공기 장착부재(10)의 몸체(11)에 형성된 안내브라켓(13)의 사이로 비트 안내부재(30)의 미끄럼판(32)을 수평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끼워 결합한다.
이렇게 개공기 선단몸체(80)에 장착된 본 장치는, 개공기의 비티(82)가 출선구의 센타부분(92)으로 정확하게 위치하여 개공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데, 상기 비트(82)는 비트 이탈방지부재(36)의 비트안내구멍(37)을 통하여 출선구 센타부분으로 회전과 타격을 가하면서 이동하고, 이때 비트(82)의 위치조정은 본 고안의 장치에 의하여 상하 위치와 좌우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즉, 개공기 장착부재(10)의 상부측에 설치된 볼트부재(15)를 회전시키면 그 볼트부재(15)가 몸체(11)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개공기 장착부재(10)를 개공기 선단몸체(80)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서 비트 이탈방지부재(36)의 상하 방향에 대한 위치가 출선구 센타부분(90)과 일치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고, 비트 안내부재(30)의 미끄럼판(32)을 개공기 장착부재(10)의 안내브라켓(13)을 따라 좌우로 이동토록 하여 비트 이탈방지부재(30)의 좌우 방향에 대한 위치가 출선구 센타부분(90)과 일치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개공기를 전진작동하도록 하면, 비트 이탈방지부재(36)가 전진하여 그 단부의 원판형 지지부재가 머드건 접합부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작업을 완효한 후에는 개공기의 비트(86)를 전진시켜 그 비트(82)가 본 고안의 비트 이탈방지부재(36)의 내부 구멍(37)으로 들어가도록 한 다음, 비트(82)를 회전과 동시에 타격력을 가하면서 전진하도록 하면, 그 비트(82)는 원래의 요구하는 부분인 센타의 위치를 유지하면서 출선구를 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출선구의 개공작업이 완료되면, 상기한 순서와 역의 순서로 본 장치를 해체하여 차기 개공작업을 위해 별도의 장소에 보관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출선구 센타 조정장치에 의하면, 고로 노내에서 생성되어지는 용선 및 슬래그를 출선구를 통하여 배출하기 위해 그 출선구를 개공하는 경우에, 개공기의 선단몸체(80)에 상하 및 좌우로 이동될 수 있는 비트 이탈 방지부재(36)를 갖추어 그 비트 이탈방지부재(36)의 상하 및 좌우 방향에 대한 위치가 출선구 센타부분(90)과 일치될 수 있도록 조정한 상태에서 머드건 접합부에 밀착되게 한 후, 비트가 상기 비트 이탈방지부재(36)를 관통하면서 지지되어 출선구 개공작업을 행함으로서, 비트가 출선구의 굴착하고자 하는 지점, 즉 머드건 접합부의 내부측 정중앙 센타에 용이하고 정확하게 위치되어 그 굴착 비트가 출선구 센타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비트의 이탈 또는 튕겨 나감에 의하여 머드건 접합부를 파손시키거나 초기에 설정되는 굴착지점에서 벗어나 원하지 않는 다른 부분을 굴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고로 노체 내부의 용선등을 안정적으로 배출시킴으로서 노황 안정에 효과가 크며, 이는 또한 설비파손등에 의한 보수작업이 요인을 제거하여 출선구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실용상의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생성되어지는 용선 및 슬래그를 출선구를 통하여 배출하기 위해 그 출선구를 개공하는 경우에, 개공기의 선단몸체(80)에 상하 및 좌우로 이동될 수 있는 비트 이탈방지부재(36)를 갖추어 그 비트 이탈방지부재(36)의 상하 및 좌우 방향에 대한 위치가 출선구 센타부분(90)과 일치될 수 있도록 조정한 상태에서 머드건 접합부에 밀착되게 한 후, 비트가 상기 비트 이탈방지부재(36)를 관통하면서 지지되어 출선구 개공작업을 행함으로서, 비트가 출선구의 굴착하고자 하는 지점, 즉 머드건 접합부의 내부측 정중앙 센타에 용이하고 정확하게 위치되어 그 굴착 비트가 출선구 센타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비트의 이탈 또는 튕겨 나감에 의하여 머드건 접합부를 파손시키거난 초기에 설정되는 굴착지점에서 벗어나 원하지 않는 다른 부분을 굴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고로 노체 내부의 용선등을 안정적으로 배출시킴으로서 노황 안정에 효과가 크며, 이는 또한 설비파손등에 의한 보수작업의 요인을 제거하여 출선구 관리를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실용상의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Claims (1)

  1. 비트를 이용하여 고로 설비의 용선 배출구인 출선구를 개공하기 위한 출선구 개공장치에 있어서, 대략의 판재형상의 몸체(11)를 가지며, 상기 몸체(11)는 일측면의 좌우 양측에 각각 [, ]형 안내홈(12)을 형성하고, 타측면 상하부에 적정길이 돌출 절곡되어 평행하게 된 안내브라켓(13)이 설치되며, 상측 단부에는 상기 안내홈(12)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볼트부재(15)를 장착한 개공기 장착부재(10); 와, 개공기 장착부재(10)의 안내브라켓(13) 사이로 수용되는 미끄럼판(32)을 가지며, 상기 미끄럼판(32)은 일측 표면에 지지대(34)를 고정하며 상기 지지대(34)에는 몸체(11)의 하단부의 위치보다 더 하부측으로 위치하는 비트 이탈방지부재(36)를 장착하여 고정하며, 상기 비트 이탈방지부재(36)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는 비트안내구멍(37)을 가지도록 된 비트 안내부재(30);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출선구 센타 조정장치.
KR2019950053166U 1995-12-29 1995-12-29 출선구 센타 조정장치 KR2001538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3166U KR200153865Y1 (ko) 1995-12-29 1995-12-29 출선구 센타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3166U KR200153865Y1 (ko) 1995-12-29 1995-12-29 출선구 센타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032U KR970039032U (ko) 1997-07-29
KR200153865Y1 true KR200153865Y1 (ko) 1999-08-02

Family

ID=19442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3166U KR200153865Y1 (ko) 1995-12-29 1995-12-29 출선구 센타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86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704A (ko) * 2018-11-02 2020-05-12 주식회사 포스코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704A (ko) * 2018-11-02 2020-05-12 주식회사 포스코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
KR102158625B1 (ko) 2018-11-02 2020-09-22 주식회사 포스코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032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8894A (en) Furnace taphole drilling apparatus and method
KR200153865Y1 (ko) 출선구 센타 조정장치
KR200181320Y1 (ko) 고로 출선구 센터 조정장치
KR100910487B1 (ko) 코크스오븐용 레벨러빔의 작동와이어 텐션 조정장치
KR100402006B1 (ko) 고로 출선구 개공비트 센터조정 및 취외장치
KR101167122B1 (ko) 출선구 중심 관리장치
KR100983659B1 (ko) 슬래그 도어 겸용 매니풀레이터
RU209446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крывания летки в стенке шахтной печи
KR100487771B1 (ko) 산소취입장비용 지금 제거장치
KR20020051964A (ko) 전로의 다기능 슬래그 컷팅장치
KR101909506B1 (ko) 플라즈마 용융로의 용탕배출구 드릴링 머신
KR200297351Y1 (ko) 출선구 굴착장치
KR100902823B1 (ko) 래들 상부의 부착 지금 제거장치
KR200216575Y1 (ko) 출선구 개공기 태핑바 행거장치
KR200203151Y1 (ko) 출선구 개공기의 정밀 센터링장치
JP2572187B2 (ja) 出銑樋残銑抜き装置およびそのストッパ操作装置
KR101372726B1 (ko) 개공기 센터링장치
KR20010035575A (ko) 고로 출선구의 개공기 손상 방지장치
KR200260680Y1 (ko) 스카핑 머신의 지금제거장치
JP3383243B2 (ja) 既設水路上の作業設備およびその移動方法
KR20010035573A (ko) 고로 출선구의 용선부착 방지장치
KR20010019379A (ko) 고로 출선구 개공을 위한 센터링 형성 장치
KR100832445B1 (ko) 용광로 출선용 개공기의 드릴로드 역회전방지장치
NO347527B1 (en) Robotic Tapping System for Electric Arc Furnace
JP2001056185A (ja) 出湯装置及び出湯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