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8625B1 -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8625B1
KR102158625B1 KR1020180133660A KR20180133660A KR102158625B1 KR 102158625 B1 KR102158625 B1 KR 102158625B1 KR 1020180133660 A KR1020180133660 A KR 1020180133660A KR 20180133660 A KR20180133660 A KR 20180133660A KR 102158625 B1 KR102158625 B1 KR 102158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tapping bar
insert
divided
sp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0704A (ko
Inventor
정기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133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625B1/ko
Publication of KR20200050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2Opening or sealing the tap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5Tapping equipment; 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 F27D3/1509Tapping equipment
    • F27D3/1527Taphole forming equipment, e.g. boring machines, pierc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 Blast Furnaces (AREA)

Abstract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는, 개공기에 설치되고 고로 출선구의 센터를 굴착하는 태핑 바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 및 태핑 바와 출선구의 센터링을 맞추기 위하여 클램프의 측면과 태핑 바 사이에 삽입되기 위한 인서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DEVICE FOR CENTERING TAP HOLE OF HOLE DRILLING MACHINE}
본 발명은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의 출선구 개공전 사전 작업으로 출선구의 센터를 굴착하기 위해 개공기의 클램프를 이용하여 태핑 바(tapping bar)를 고정하고 출선구의 센터부를 굴착하게 된다.
즉, 개공기의 선단에 설치된 클램프를 유압 실린더로 오픈 또는 클로즈 상태로 제어하여 출선구 개공용 태핑 바를 집어 출선구에 밀착시킨 후, 개공기의 드릴 및 해머장치를 이용하여 출선구의 센터부를 굴착하게 된다.
그런데, 이 클램프는 출선구의 개공시 분출되는 용융물에 의한 열화 및 수십회 이상 반복적 사용으로 편측 마모가 발생되며, 이로 인하여 클램프의 측면과 태핑 바 사이에 유격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유격이 발생되면, 태핑 바가 헐렁하게 되거나 태핑 바와 출선구의 정중앙이 맞지 않게 되므로, 태핑 바가 출선구의 정중앙을 벗어나 밀리면서 굴착되어 센터가 불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개공기의 선단 클램프의 편측 마모가 발생되면, 작업자가 일일이 폐목 등의 임시 치구를 현장에서 즉석으로 만들어 작업자의 손으로 폐목 등을 잡은 상태에서 클램프를 클로즈 상태로 제어하여 태핑 바의 센터링 작업을 행하였다.
따라서, 태핑 바의 센터링 작업이 정교하게 되지 않게 되므로 태핑 바가 출선구의 센터 정위치를 벗어나게 되어 출선구 조업 불안정과 작업 부하가 발생되며, 작업자의 손이 클램프에 협착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출선구 센터링을 위한 인서트를 태핑 바에 부착한 후 작업자가 태핑 바 및 인서트를 직접 손으로 잡지 않고서 클램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클램프의 측면에서 발생되는 유격 크기 정보를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는, 개공기에 설치되고, 고로 출선구의 센터를 굴착하는 태핑 바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는, 클램프의 측면과 태핑 바 간에 유격이 발생되는 경우에, 태핑 바와 출선구의 센터링을 맞추기 위하여 상기 클램프의 측면과 상기 태핑 바 사이에 삽입되기 위한 인서트를 포함한다.
인서트는 내부가 비워있는 원통형 형태를 갖고, 길이 방향을 따라 분할된 제1 분할 인서트부와 제2 분할 인서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할 인서트부의 내경과 제2 분할 인서트부의 내경은 태핑 바의 외경 크기에 따라 설정되고, 제1 분할 인서트부의 외경과 제2 분할 인서트부의 외경은 클램프의 측면과 태핑 바 간에 발생되는 유격 크기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제1 분할 인서트부의 반경 방향의 제1 두께와 제2 분할 인서트부의 반경 방향의 제2 두께는 유격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 분할 인서트부의 양단부와 제2 분할 인서트부의 양단부에는 클램프의 클로즈 상태에서 태핑 바가 이동될 때 클램프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1 턱부와 제2 턱부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 턱부와 제2 턱부에는 제1 분할 인서트부와 제2 분할 인서트부를 태핑 바에 부착시켜 주기 위한 제1 자석부재와 제2 자석부재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턱부와 상기 제2 턱부에는 상기 제1 자석부재가 삽입되는 제1 삽입구멍과 상기 제2 자석부재가 삽입되는 제2 삽입구멍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턱부와 제2 턱부의 내주면에는 제1 자석부재와 제2 자석부재가 제1 턱부와 제2 턱부의 내주면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정지시켜 주기 위한 제1 스토퍼와 제2 스토퍼가 배치될 수 있다.
클램프의 양측면에 설치되고, 클램프의 측면과 태핑 바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기 위한 간격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간격 측정 센서와 연결되고, 간격 측정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간격 정보를 수신하여 클램프의 측면과 태핑 바 간의 유격 크기를 산출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와 연결되고, 제어부에 의하여 산출된 유격 크기 정보를 작업자에게 실시간으로 표시하기 위한 유격 크기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개공기의 클램프 측면에 발생되는 유격 크기를 측정하고 이 유격 크기 정보를 작업자에게 실시간 제공하므로, 작업자가 클램프와 출선구 센터링 작업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출선구 센터링을 위한 인서트를 태핑 바에 부착한 후 작업자가 태핑 바 및 인서트를 직접 손으로 잡지 않고서 클램프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손 협착 재해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출선구 센터링 작업 정확성 향상으로 인하여 출선구 폐쇄 시 용융물의 유출과 폐쇄 실패 등과 같은 출선구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고로 조업을 설명하기 위한 작업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의 개략적인 일부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의 개략적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의 개략적인 일부 결합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의 유격 측정부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제1 분할 인서트부를 태핑 바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제1, 제2 분할 인서트부를 태핑 바에 부착한 후 클램프를 클로즈 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제1, 제2 분할 인서트부를 태핑 바에 부착한 후 클램프를 클로즈 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태핑 바와 고로 출선구의 센터링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일반적인 고로 조업을 설명하기 위한 작업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의 개략적인 일부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의 개략적인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의 개략적인 일부 결합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의 유격 측정부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는 개공기(10)에 설치된 태핑 바(100)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20)의 측면과 태핑 바(100) 사이에 유격이 발생될 경우 고로(30) 출선구(31)의 센터링을 위한 장치이다.
클램프(20)의 측면 마모로 인해 클램프(20)의 측면과 태핑 바(100) 간에 유격이 발생되는 경우에 태핑 바(100)와 출선구(31)의 센터링을 맞추기 위하여 클램프(20)의 측면과 태핑 바(100)의 사이에 삽입되기 위한 인서트(Insert)(20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프(20)는 개공기(10)에 설치된 작동 실린더(미도시) 등에 의하여 오픈 상태 또는 클로즈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오픈 상태는 클램프(20)의 양단부가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로서 태핑 바(100)가 삽입될 수 있는 상태이다.
또한, 클로즈 상태는 클램프(20)의 양단부가 모아진 상태로서 태핑 바(100)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인서트(200)는 태핑 바(100)의 외주면에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워있는 원통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인서트(200)는 태핑 바(100) 및 클램프(20)의 측면과 접촉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고, 경량이고 저가인 밤나무와 같은 목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서트(200)에 사용되는 목재 등의 재료는 클램프 및 태핑 바(100)와 접촉 시 그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쉽게 파손되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설정된 크기의 강도를 가져야 한다.
인서트(200)의 내부 직경은 인서트(200)가 태핑 바(100)의 외주면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태핑 바(100)의 외경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클램프(20)의 측면과 태핑 바(100) 간에 발생되는 유격 크기에 따라 미리 다양한 크기의 직경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인서트(200)는 태핑 바(100)의 외주면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그 길이 방향을 따라 2부분으로 분할된 제1 분할 인서트부(210)와 제2 분할 인서트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할 인서트부(210)와 제2 분할 인서트부(220)는 직경선(도 2의 O-O선)에 대하여 길이 방향(도 2의 Z-Z 방향)을 따라 이등분으로 분할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분할 인서트부(210)와 제2 분할 인서트부(220)는 직경선에 평행하게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평행선에 대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분할될 수 있다.
제1 분할 인서트부(210)의 내경과 제2 분할 인서트부(220)의 내경은 태핑 바(100)의 외경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분할 인서트부(210)의 외경과 제2 분할 인서트부(220)의 외경은 클램프(20)의 측면과 태핑 바(100) 간에 발생되는 유격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1 분할 인서트부(210)의 반경 방향의 제1 두께(t1)와 제2 분할 인서트부(220)의 반경 방향의 제2 두께(t2)는 클램프(20)의 측면과 태핑 바(100) 간에 발생되는 유격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분할 인서트부(210)의 반경 방향의 제1 두께(t1)와 제2 분할 인서트부(220)의 반경 방향의 제2 두께(t2)는 클램프(20)의 측면과 태핑 바(100) 간에 발생되는 유격 크기에 따라 미리 설정된 크기로 각각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분할 인서트부(210)의 반경 방향의 제1 두께(t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분할 인서트부(220)의 반경 방향의 제2 두께(t2)보다 작은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이와는 반대로 제1 분할 인서트부(210)의 반경 방향의 제1 두께(t1)는 제2 분할 인서트부(220)의 반경 방향의 제2 두께(t2)보다 큰 크기로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분할 인서트부(210)의 양단부에는 클램프(20)의 클로즈 상태에서 태핑 바(100)가 이동될 때 클램프(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1 턱부(31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분할 인서트부(220)의 양단부에는 클램프(20)의 클로즈 상태에서 태핑 바(100)가 이동될 때 클램프(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2 턱부(3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턱부(310)는 제1 분할 인서트부(210)의 외측면과 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1 분할 인서트부(210)의 내주면으로부터 그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턱부(310)는 제2 분할 인서트부(220)의 외측면과 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2 분할 인서트부(220)의 내주면으로부터 그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턱부(310)에는 제1 분할 인서트부(210)를 태핑 바(100)의 외주면에 결합 시 작업자가 태핑 바(100)를 잡지 않고 제1 분할 인서트부(210)를 태핑 바(100)에 설정된 크기의 힘으로 끌어 당겨 부착시켜 주기 위한 제1 자석부재(311)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턱부(310)에는 제1 자석부재(311)가 삽입 설치되기 위한 제1 삽입구멍(313)이 설정된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삽입구멍(313)은 제1 자석부재(311)가 제1 분할 인서트부(210)를 태핑 바(100)에 견고하게 부착시켜 줄 수 있도록 제1 턱부(310)의 원주 방향 중간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자석부재(311)는 제1 삽입구멍(313)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삽입구멍(313)도 제1 자석부재(311)의 용이한 삽입을 위하여 원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턱부(310)의 내주면에는 제1 삽입구멍(313)에 삽입 설치된 제1 자석부재(311)가 제1 턱부(310)의 내주면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정지시켜 주기 위한 제1 스토퍼(315)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턱부(320)에는 제2 분할 인서트부(220)를 태핑 바(100)의 외주면에 결합 시 작업자가 태핑 바(100)를 잡지 않고 제2 분할 인서트부(220)를 태핑 바(100)에 설정된 크기의 힘으로 끌어 당겨 부착시켜 주기 위한 제2 자석부재(321)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턱부(320)에는 제2 자석부재(321)가 삽입 설치되기 위한 제2 삽입구멍(323)이 설정된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구멍(323)은 제2 자석부재(321)가 제2 분할 인서트부(220)를 태핑 바(100)에 견고하게 부착시켜 줄 수 있도록 제2 턱부(320)의 원주 방향 중간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자석부재(321)는 제2 삽입구멍(323)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삽입구멍(323)도 제2 자석부재(321)의 용이한 삽입을 위하여 원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턱부(320)의 내주면에는 제2 삽입구멍(323)에 삽입 설치된 제2 자석부재(321)가 제2 턱부(320)의 내주면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정지시켜 주기 위한 제2 스토퍼(325)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고하면, 클램프(20)에는 클램프(20)의 측면과 태핑 바(100) 간에 발생되는 유격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유격 측정부(400)가 설치될 수 있다.
유격 측정부(400)는 클램프의 양측면에 설치되고, 클램프(20)의 측면과 태핑 바(100)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기 위한 간격 측정 센서(4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격 측정부(400)는 간격 측정 센서(410)와 연결 케이블(420)에 의하여 연결되고, 간격 측정 센서(410)에 의하여 측정된 간격 정보를 수신하여 클램프(20)의 측면과 태핑 바(100) 간의 유격 크기를 산출하기 위한 제어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30)와 연결되고, 제어부(430)에 의하여 산출된 유격 크기 정보를 작업자에게 실시간으로 표시하기 위한 유격 크기 표시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격 측정부(400)의 간격 측정 센서(410)에 의하여 클램프(20)의 양측면과 태핑 바(100) 사이의 간격을 각각 측정하고, 간격 측정 센서(410)에 의하여 측정된 간격 정보는 제어부(430)로 전달된다.
제어부(430)는 간격 측정 센서(410)로부터 간격 정보를 수신하여 클램프(20)의 일측면과 태핑 바(100)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과 클램프(20)의 타측면과 태핑 바(100)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을 비교하여 유격 거리를 산출한다.
그리고, 제어부(430)에 의하여 유격 거리가 산출되면, 이를 유격 크기 표시부(440)에 표시하여 작업자에게 유격 크기 정보를 실시간 제공한다.
즉, 유격 거리가 산출되면, 클램프(2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편측 마모가 발생되어 클램프(20)의 측면과 태핑 바(100)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램프(20)의 측면과 태핑 바(100)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면, 태핑 바(100)와 고로(30)의 출선구(31)의 센터링이 맞지 않는 상태이다.
예컨대, 제어부(420)는 클램프(20)의 일측면과 태핑 바(100)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과 클램프(20)의 타측면과 태핑 바(100)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이 동일하면 클램프(20)와 태핑 바(100)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램프(20)와 태핑 바(100)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경우에는 유격 거리 정보는 유격 크기 표시부(440)에 제로로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클램프(20)의 일측면과 태핑 바(100)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이 클램프(20)의 타측면과 태핑 바(100)의 외측면 사이 간격보다 크거나 작으면 클램프(20)와 태핑 바(100) 사이에 유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유격 크기 표시부(440)에 그 유격 크기를 표시한다.
예컨대, 클램프(20)의 일측면과 태핑 바(100)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이 클램프(20)의 타측면과 태핑 바(100)의 외측면 사이 간격보다 크면, 그 차이에 해당하는 유격 거리가 플러스로 유격 크기 표시부(440)에 표시된다.
이와는 반대로, 클램프(20)의 일측면과 태핑 바(100)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이 클램프(20)의 타측면과 태핑 바(100)의 외측면 사이 간격보다 작으면, 그 차이에 해당하는 유격 거리가 마이너스로 유격 크기 표시부(440)에 표시된다.
예컨대, 유격 거리가 플러스로 유격 크기 표시부(440)에 표시되면, 작업자는 클램프(20)의 일측면과 태핑 바(100)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이 클램프(20)의 타측면과 태핑 바(100)의 외측면 사이 간격보다 큰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20)의 일측면과 태핑 바(100)의 외측면 사이에 제1 두께(t1)보다 두꺼운 제2 두께(t2)를 갖는 인서트의 제2 분할 인서트부(220)를 삽입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20)의 타측면과 태핑 바(100)의 외측면 사이에는 제2 두께(t2)보다 얇은 제1 두께(t1)를 갖는 인서트(200)의 제1 분할 인서트부(210)를 삽입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표시된 유격 크기에 맞는 제1 두께(t1)와 제2 두께(t2)를 갖는 인서트(200)의 제1 분할 인서트부(210)와 제2 분할 인서트부(220)를 선택한다.
이하에서는, 유격 크기에 맞게 선택된 인서트(200)의 제1 분할 인서트부(210)와 제2 분할 인서트부(220)를 클램프(20)의 측면과 태핑 바(100)의 사이에 삽입하여 태핑 바(100)와 출선구(31)의 센터링 과정을 설명한다.
인서트(200)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개공기(10)의 클램프(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 상태로 제어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클램프(20)를 오픈 상태로 제어한 상태에서 예컨대, 제1 분할 인서트부(210)를 태핑 바(100)의 직경선(O-O선)과 태핑 바(10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중심선에 대하여 태핑 바(100)의 외주면 반원부에 결합시켜 준다.
즉, 작업자가 제1 분할 인서트부(210)를 잡고 태핑 바(100)의 외주면의 우측 반원부에 결합시켜 주면, 제1 턱부(310)에 설치된 제1 자석부재(311)의 자력에 의하여 제1 분할 인서트부(210)가 태핑 바(100)에 부착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제1 분할 인서트부(210)와 마찬가지로, 제2 분할 인서트부(220)를 잡고 태핑 바(100)의 외주면 좌측 반원부에 결합시켜 주면, 제2 턱부(320)에 설치된 제2 자석부재(321)의 자력에 의하여 제2 분할 인서트부(220)가 태핑 바(100)에 부착된다.
이 때, 제1 분할 인서트부(210)의 반원면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분할 인서트부(220)의 반원면과 대응하게 접촉되고, 제1 턱부(310)의 반원면도 제2 턱부(320)의 반원면과 대응하게 접촉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20)를 클로즈 상태로 제어를 시작한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클로즈 상태로 제어한다.
클램프(20)가 클로즈 상태로 제어되면, 태핑 바(100)의 이동에 의하여 인서트(200)가 클램프(20)의 양측면과 제1 분할 인서트부(210)와 제2 분할 인서트부(220)의 외측면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이다.
그러면, 인서트(200)의 제1 분할 인서트부(210)와 제2 분할 인서트부(220)에 의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핑 바(100)와 고로의 출선구(31)의 센터링 작업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제1 턱부(310)와 제2 턱부(320)가 제1 분할 인서트부(210)와 제2 분할 인서트부(220)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므로, 클램프(20)의 클로즈 상태에서 태핑 바(100)가 이동될 때 인서트(200)가 클램프(2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클램프(20)의 측면과 태핑 바(100) 사이에 발생되는 유격 크기에 따라, 이에 맞게 제작된 인서트(200)의 제1 분할 인서트부(210)와 제2 분할 인서트부(220)를 다양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작업자는 제1 분할 인서트부(210)와 제2 분할 인서트부(220)를 잡고 태핑 바(100)에 결합시켜 준 후, 작업자가 직접 태핑 바(100), 제1 분할 인서트부(210) 및 제2 분할 인서트부(220)를 잡지 않은 상태에서 클램프(20)를 클로즈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램프 조작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에게 유격 크기 정보를 실시간 제공하고 유격 크기에 맞는 인서트를 선택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출선구 센터링 작업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100: 태핑 바
200: 인서트
210: 제1 분할 인서트부
220: 제2 분할 인서트부
310: 제1 턱부
311: 제1 자석부재
320: 제2 턱부
321: 제2 자석부재
400: 유격 측정부
410: 간격 측정 센서
430: 제어부
440: 유격 크기 표시부

Claims (9)

  1. 개공기에 설치되고, 고로 출선구의 센터를 굴착하는 태핑 바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 및
    상기 클램프의 측면과 상기 태핑 바 간에 유격이 발생되는 경우에 상기 클램프의 측면과 상기 태핑 바 사이에 삽입되는 인서트
    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는 내부가 비워있는 원통형 형태를 갖고, 길이 방향을 따라 분할된 제1 분할 인서트부와 제2 분할 인서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분할 인서트부의 내경과 상기 제2 분할 인서트부의 내경은 상기 태핑 바의 외경 크기에 따라 설정되고,
    상기 제1 분할 인서트부의 외경과 상기 제2 분할 인서트부의 외경은 상기 클램프의 측면과 상기 태핑 바 간에 발생되는 유격 크기에 따라 설정되는,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
  2. 개공기에 설치되고, 고로 출선구의 센터를 굴착하는 태핑 바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
    상기 클램프의 측면과 상기 태핑 바 간에 유격이 발생되는 경우에 상기 클램프의 측면과 상기 태핑 바 사이에 삽입되는 인서트, 및
    상기 클램프의 양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클램프의 측면과 상기 태핑 바의 외측면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기 위한 간격 측정 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인서트는 내부가 비워있는 원통형 형태를 갖고, 길이 방향을 따라 분할된 제1 분할 인서트부와 제2 분할 인서트부를 포함하는,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할 인서트부의 반경 방향의 제1 두께와 상기 제2 분할 인서트부의 반경 방향의 제2 두께는 상기 유격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할 인서트부의 양단부와 상기 제2 분할 인서트부의 양단부에는 상기 클램프의 클로즈 상태에서 상기 태핑 바가 이동될 때 상기 클램프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1 턱부와 제2 턱부가 각각 배치되는,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턱부와 상기 제2 턱부에는 상기 제1 분할 인서트부와 상기 제2 분할 인서트부를 상기 태핑 바에 부착시켜 주기 위한 제1 자석부재와 제2 자석부재가 각각 설치되는,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턱부와 상기 제2 턱부에는 상기 제1 자석부재가 삽입되는 제1 삽입구멍과 상기 제2 자석부재가 삽입되는 제2 삽입구멍이 배치되고,
    상기 제1 턱부와 상기 제2 턱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 자석부재와 상기 제2 자석부재가 상기 제1 턱부와 상기 제2 턱부의 내주면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을 정지시켜 주기 위한 제1 스토퍼와 제2 스토퍼가 배치되는,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할 인서트부의 내경과 상기 제2 분할 인서트부의 내경은 상기 태핑 바의 외경 크기에 따라 설정되고,
    상기 제1 분할 인서트부의 외경과 상기 제2 분할 인서트부의 외경은 상기 클램프의 측면과 상기 태핑 바 간에 발생되는 유격 크기에 따라 설정되는,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측정 센서와 연결되고, 상기 간격 측정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간격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클램프의 측면과 상기 태핑 바 간의 유격 크기를 산출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산출된 유격 크기 정보를 작업자에게 실시간으로 표시하기 위한 유격 크기 표시부를 포함하는,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
KR1020180133660A 2018-11-02 2018-11-02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 KR102158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660A KR102158625B1 (ko) 2018-11-02 2018-11-02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660A KR102158625B1 (ko) 2018-11-02 2018-11-02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704A KR20200050704A (ko) 2020-05-12
KR102158625B1 true KR102158625B1 (ko) 2020-09-22

Family

ID=70679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660A KR102158625B1 (ko) 2018-11-02 2018-11-02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62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3865Y1 (ko) 1995-12-29 1999-08-02 이구택 출선구 센타 조정장치
KR200203151Y1 (ko) 2000-04-27 2000-11-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출선구 개공기의 정밀 센터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006B1 (ko) * 1999-09-15 2003-10-17 주식회사 포스코 고로 출선구 개공비트 센터조정 및 취외장치
KR101421954B1 (ko) * 2012-11-27 2014-07-22 주식회사 포스코 개공기의 중심 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3865Y1 (ko) 1995-12-29 1999-08-02 이구택 출선구 센타 조정장치
KR200203151Y1 (ko) 2000-04-27 2000-11-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출선구 개공기의 정밀 센터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704A (ko) 202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8625B1 (ko) 개공기의 출선구 센터링 장치
CN210587937U (zh) 钢管法兰装配焊接定位夹紧装置
TW202110554A (zh) 板件狀態工具
CN107956433B (zh) 钻机用上卸杆装置和钻机
CN109781512B (zh) 钢筋焊接网并筋焊点抗剪力试验装置及其方法
JP5711983B2 (ja) 引張試験用掴み具
GB209292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clamping of workpieces to machine tools
CN113737861B (zh) 角度可调节的预埋钢筋接驳器固定定位装置及施工方法
CN215280693U (zh) 一种供热管线焊接对口器
US20150321307A1 (en) System to support machinable plates during machining process
CN209816882U (zh) 一种施工用锚固装置
KR200445924Y1 (ko) 그립의 탈부착이 편리한 만능재료 시험기
CN115172003A (zh) 一种钢制压力管道的焊接消磁方法
CN211740928U (zh) 一种自动化线材反复弯曲试验机
KR200475466Y1 (ko) 그리스 펌프
KR200479120Y1 (ko) 온도센서를 내장한 용접토치
KR20180002093U (ko) 구조물 점검용 기구봉
CN206811034U (zh) 一种多功能f型扳手
KR101421954B1 (ko) 개공기의 중심 조정장치
KR101167122B1 (ko) 출선구 중심 관리장치
CN213318669U (zh) 一种焊接辅助固定夹具
CN213351402U (zh) 一种管路夹紧组件及具有其的对焊导正夹紧装置
KR101485034B1 (ko) 유압장치의 배관 체결 장치
CN202974537U (zh) 开口自挂式全自动植筋锚固力检测仪
CN217846593U (zh) 一种管道焊接的消磁辅助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