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2950Y1 - 자동차 에어컨디셔너판넬용 노브의 조명반사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에어컨디셔너판넬용 노브의 조명반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2950Y1
KR200152950Y1 KR2019960040851U KR19960040851U KR200152950Y1 KR 200152950 Y1 KR200152950 Y1 KR 200152950Y1 KR 2019960040851 U KR2019960040851 U KR 2019960040851U KR 19960040851 U KR19960040851 U KR 19960040851U KR 200152950 Y1 KR200152950 Y1 KR 2001529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knob
display unit
light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08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7886U (ko
Inventor
김인환
Original Assignee
권오준
대우정밀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준, 대우정밀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권오준
Priority to KR20199600408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2950Y1/ko
Publication of KR199800278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8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29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29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display or indicating devices, e.g. voice si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고안은 노브샤프트의 표시부로 전달되어지는 광원의 빛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향상된 조명효과를 얻을수 있게 되고 간단한 구조에 의해 우수한 조립성 및 용이한 보수성등을 얻을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용 에어컨디셔너의 판넬에 결합되어 에어컨디셔너를 조절할수 있고 그 조절상태를 표시부(102)로 지시해 주는 노브샤프트(101)와,상기 노브샤프트(101)의 상측부에 결합되어 표시부(102)를 삽입공(108)으로 결합시키고 있는 노브커버(107)에 있어서, 상기 노브샤프트(101)의 내부에 형성되어 광원(110)의 조명을 상대편에 위치되는 표시부(102)로 반사하여 전달하여주는 반사면(103)과,상기 반사면(103)에서 반사된 조명이 용이하게 표시부(102)로 전달되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표시부(102)가 반대방향으로 위치되었을 경우에는 직접 광원(110)의 조명을 전달시켜주게 되는 조명통로(104)와,상기 조명통로(104)의 하측부에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회전력을 조절축으로 전달하기 위한 D형축(106)과, 상기 D형축(106)의 양측에 형성되어 일정한 탄력으로 조절축과 연결고정되기 위한 후크(10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 에어컨디셔너판넬용 노브의 조명반사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에어컨디셔너판넬용 노브의 조명반사구조
본고안은 자동차에 장착되어지는 에어컨디셔너 판넬의 로타리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브샤프트의 표시부로 전달되어지는 광원의 빛을 효과적 으로 전달하여 향상된 조명효과를 얻을수 있게되고 간단한 구조에 의해 우수한조립성 및 용이한 보수성등을 얻을수 있도록된 자동차 에어컨디셔너판넬용 노브의 조명반사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에 장착되어지는 에어컨디셔너판넬의 노브는 노브샤프트와 노브커버 그리고 샤프트보강용링과 조명용인디케이터 또한 샤프트의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단일광원에 대하여 노브인디케이터가 반대방향에 위치될 경우 노브샤프트의 내부 중앙에 형성되어지는 샤프트에 의해 전달 되는 빛이 차단되어 지게 된다.
따라서, 반대쪽의 조명인디케이터로 조명을 공급하지 못하는 상태가 되므로 야간주행시에는 운전자가 인디케이터의 표시를 보지 못하는 상태에서 감각적으로 조절을 해야하는 모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리고, 상기와같은 여러개의 부품들을 조립 해야 함으로 3번의 조립공정이 필요하게되고 아울러 보수가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등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 하기 위하여 본고안은 광원으로부터 전달되어지는 조명을 표시부가 정위치에 있을 때에는 반사면의 반사에 의해 조명통로로 통과시켜서 표시부로 조명을 전달하고 표시부가 반대위치에 있을 때에는 조명통로에 의해 직접조명을 하도록 함으로서 향상된 조명효과를 얻을수 있고 간단한 구성에 의해 조립성 및 보수성 등을 양호하게 할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에어컨디셔너판넬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를 나타낸 분리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측면도
도 4는 본 고안 노브의 정방향에서 빛이 반사될때를 나타낸 작용도
도 5는 본 고안 노브의 반대방향에서 빛이 반사될때를 나타낸 작용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노브샤프트 102 : 표시부
103 : 반사면 104 : 조명통로
105 : 후크 106 : D형 축
107 : 노브커버 108 : 삽입공
109 : 판넬 110 : 광원
도 1 내지 도 5에 의해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 하기로 한다.
자동차용 에어컨디셔너의 판넬에 결합되어 에어컨디셔너를 조절할수 있고 그 조절상태를 표시부(102)로 지시해 주는 노브샤프트(101)와,상기 노브샤프트(101)의 상측부에 결합되어 표시부(102)를 삽입공(108)으로 결합시키고 있는 노브커버(107)에 있어서,
상기 노브샤프트(101)의 내부에 형성되어 광원(110)의 조명을 상대편에 위치되는 표시부(102)로 반사하여 전달하여주는 반사면(103)과, 상기 반사면(103)에서 반사된 조명이 용이하게 표시부(102)로 전달되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표시부(102)가 반대방향으로 위치되었을 경우에는 직접 광원(110)의 조명을 전달시켜주게 되는 조명통로(104)와, 상기 조명통로(104)의 하측부에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회전력을 조절축으로 전달하기 위한 D형축(106)과, 상기 D형축(106)의 양측에 형성되어 일정한 탄력으로 조절축과 연결고정되기 위한 후크(105)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노브샤프트(101)에는 노브커버(107)가 결합되어 표시부(102)를 삽입공(108)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운전자가 볼수 있도록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노브커버(101)에 일체로 형성된 D형축(106)은 차체의 에어컨디셔너 조절축(도시안됨)으로 결합되어 운전자가 노브커버(107)를 손으로 회전 시키면 조절축이 회전 되어 지도록 되어있다.
또한, 상기 D형축(106)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후크(105)는 조절축에 용이하게 끼워질수 있고 분리가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노브샤프트(101)의 하측부에는 광원(110)이 위치되어 조명을 노브샤프트(101)의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도 4와 같이 표시부(102)가 광원(110)의 반대편에 위치되어 있는 정위치의 상태에서는 반사면(103)에 의한 반사작용으로 조명을 중계하게 된다.
즉, 상기의 반사면(103)을 통과한 조명은 조명통로(104)를 통과하여표시부(102)로 용이하게 전달 되는 것이므로 표시부(103)의 확실한 발광이 이루어질수 있게된다.
또한, 도 5 와같이 표시부(102)가 광원(110)과 일직선상으로 위치는 반대방향에서는 광원(110)의 조명이 조명통로(104)를 직접 통과하여 일직선상으로 표시부(103)에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표시부(103)가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직접 및 간접적인 수단으로 조명을 전달할수 있는 것이므로 항상 선명한 표시부(102)를 운전자가 보면서 운전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노브샤프트(101)와 노브커버(107)를 결합한뒤 조절축에 끼우면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므로 조립공정을 단순화 시킬수 있게되며 양호한 보수성도 얻을수 있게된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확실한 조명의 전달효과에 의해 보다 선명한 표시부를 운전자가 볼 수 있는 것이므로 향상된 표시효과를 얻을 수 있게된다.
또한 간단한 구성에 의해 조립공정을 단순화 시킬수 있게되고 이에따른 코스트의 절감효과와 능률적인 작업성등을 얻을수 있게되며 원활한 보수성등을 얻을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자동차용 에어컨디셔너의 판넬에 결합되어 에어컨디셔너를 조절할수 있고 그 조절상태를 표시부(102)로 지시해 주는 노브샤프트(101)와,상기 노브샤프트(101)의 상측부에 결합되어 표시부(102)를 삽입공(108)으로 결합시키고 있는 노브커버(107)에 있어서,
    상기 노브샤프트(101)의 내부에 형성되어 광원(110)의 조명을 상대편에 위치되는 표시부(102)로 반사하여 전달하여주는 반사면(103)과,
    상기 반사면(103)에서 반사된 조명이 용이하게 표시부(102)로 전달되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표시부(102)가 반대방향으로 위치되었을 경우에는 직접 광원(110)의 조명을 전달시켜주게 되는 조명통로(104)와,
    상기 조명통로(104)의 하측부에 일체로 형성되어지고 회전력을 조절축으로 전달하기 위한 D형축(106)과,
    상기 D형축(106)의 양측에 형성되어 일정한 탄력으로 조절축과 연결 고정되기 위한 후크(10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 에어컨디셔너판넬용 노브의 조명반사구조.
KR2019960040851U 1996-11-19 1996-11-19 자동차 에어컨디셔너판넬용 노브의 조명반사구조 KR2001529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851U KR200152950Y1 (ko) 1996-11-19 1996-11-19 자동차 에어컨디셔너판넬용 노브의 조명반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851U KR200152950Y1 (ko) 1996-11-19 1996-11-19 자동차 에어컨디셔너판넬용 노브의 조명반사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886U KR19980027886U (ko) 1998-08-05
KR200152950Y1 true KR200152950Y1 (ko) 1999-08-02

Family

ID=19474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0851U KR200152950Y1 (ko) 1996-11-19 1996-11-19 자동차 에어컨디셔너판넬용 노브의 조명반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295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23542B4 (de) * 2003-05-24 2007-08-30 Preh Gmbh Drehknopf eines Bediengerä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886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1951B2 (en) Actuator including intermediate wall
US7163455B2 (en) Operating device for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20080135206A1 (en) Interface device for climate control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centralized vehicle system command combination, climate control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and automotive vehicle
EP1518726A2 (en) Operating device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7690468B2 (en) Drive switching mechanism for vehicle
KR20050030232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조작장치 및 이것의 조립방법
US7273303B2 (en) Headlamp for two-wheel vehicle
US4995554A (en) Control unit for a heating, ventilating and/or air conditioning installation for an automotive vehicle
KR200152950Y1 (ko) 자동차 에어컨디셔너판넬용 노브의 조명반사구조
JP4884328B2 (ja) 車両用空調コントロール操作装置
JP2004210019A (ja) 車両空調用コントロール操作装置
US20040208015A1 (en) Vehicle mirror with internal illumination source and transmitting housing
CN221067906U (zh) 智能随动转向双光透镜车灯
KR200158734Y1 (ko) 자동차 공기조화 장치용 콘트롤패널 조립체
JPS5922558Y2 (ja) コントロ−ルパネル表示装置
JP2000311552A (ja) 操作ユニット
KR200353637Y1 (ko) 자동차용 공조패널의 조명장치
JP2000285766A (ja) 制御ユニット
CN117387018A (zh) 用于车辆的照明装置
KR20230002444U (ko) 발광기능을 갖는 플랩을 구비한 차량용 컵홀더 장치
KR200284548Y1 (ko) 자동차 공조패널 조명장치
KR200151415Y1 (ko) 자동차의 인사이드 미러 이중반사구조
KR0151771B1 (ko) 방향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룸 램프
KR200154154Y1 (ko) 차량용 룸 램프의 전구 위치 조정장치
KR0137363Y1 (ko) 자동차 뒷좌석 독서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