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2407Y1 - 출입문용 유리도어의 프레임 - Google Patents

출입문용 유리도어의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2407Y1
KR200152407Y1 KR2019970017039U KR19970017039U KR200152407Y1 KR 200152407 Y1 KR200152407 Y1 KR 200152407Y1 KR 2019970017039 U KR2019970017039 U KR 2019970017039U KR 19970017039 U KR19970017039 U KR 19970017039U KR 200152407 Y1 KR200152407 Y1 KR 2001524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piece
cover body
fastening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70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3443U (ko
Inventor
김정옥
Original Assignee
김정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옥 filed Critical 김정옥
Priority to KR20199700170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2407Y1/ko
Publication of KR199900034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4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24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24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54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inside U-shaped section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2Wings made completely of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건물의 현관등에 설치되는 출입문용 유리도어의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커버체가 다수의 결합부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하나의 커버체를 생산하기 위해 많은 제작공정과 조립과정을 거쳐야 되므로 생산성이 극히 저하되었으며 도어설치시 지지구의 체결을 위해 별도로 보울트를 받침부재에 용접 고정시킴으로서 작업공정이 길어져 설치작업에 시간과 인력의 과소모를 초래했던 것이라 본 고안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커버체를 구성함에 있어 단일판체로 절곡구성하고 양결합 단부에는 상호 결합되는 다수개의 돌편과 구멍을 형성하여 결합부품의 대폭적인 축소로 인한 제작공정과 조립시간의 단축시간과 인력의 낭비방지, 생산성향상등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받침부재에는 궤지공을 천공하여 보울트의 머리가 삽지되도록 함으로써 번거로운 용접과정이 불필요하고 지지구의 구멍에 일치시키기가 용이하여 설치작업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출입문용 유리도어의 프레임
본 고안은 건물의 현관등에 설치되는 출입문용 유리도어의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작과 조립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커버체의 구조를 개선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출입문용 유리도어는 상하단부에 유리도어를 지지 보호하여 주는 프레임을 설치하되, 이 프레임은 유리도어를 지지시켜 주는 받침부재의 표면을 커버하는 커버체로 구성되어 진다. 상기의 공지기술의 커버체는 전후 한쌍의 판재를 분리구비하고 각각의 판재 양측면부에 절곡형성된 절곡편을 밀접시킨뒤 내면에는 별도의 보강판을 대고 스폿트 용접으로 절곡편과 보강판을 일체로 용접 구성하게 된다.
이는 하나의 커버체를 구성하기 위하여 전후판재 및 보강판등의 다수개의 결합부재를 체결한 상태에서 용접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기한 바와같이 절곡,용접등 많은 제작공정에 의해 작업이 어렵고 또 이들을 상호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많은 인력과 시간의 낭비가 초래되는 한편으로 용접에 의한 결합방식을 실시함으로 용접부위는 부식가능성이 높고 외부충격시 지지력이 저하되어 프레임의 견고성이 떨어지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폐단을 시정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의 선출원등록 제98621및 2호(실용신안 공고번호 1996년 제3564-5호)와 함께 선출원 1993년 제 11552호가 있다.
상기 선고안에서는 전기한 용접수단을 폐단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커버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단일판체를 절곡 구성하고 양결합단부에는 상호 결합되는 다수개의 돌편과 구멍을 형성시켜 이들을 결합함으로 결합부품의 축소로 인한 제작공정의 편리성과 조립시간의 단축및 인력 낭비를 줄일 수 있어서 생산성 향상 가져 오도록 한바 있다.
이러한 선고안들은 종래의 용접수단에 의한 폐단을 개선하여 많은 편리성을 얻고 있으나 그 체결수단에서 체결의 어려움 내지는 체결부가 쉬이 해지되는 단점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상술한 종래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단일판제로 구성되어 절곡함으로서 직사각형의 프레임을 구성시키되, 상기 결합부에는 양끝단부가 교합된 상태에서 천공과 함께 천고오디는 부재의 절취편이 외측으로 절곡됨으로서 리벳팅되어서 체결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작업이 매우 간단함과 함께 견고한 체결력을 얻어 종래의 용접이나 체결수단 없이도 간단히 양단부를 고정시키도록 함을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커버체 4,4-1 : 절곡편
5 : 절곡부 6 : 삽입지지편
7 : 통공 8 : 절취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단일판제로 구성은 프레임판재를 내측으로 상호 절곡시켜 직사각형상의 도어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판제 양측의 절곡편중 일측 절곡편은 다시 절곡되어 내향된 삽입지지편을 구성하여타측의 절곡편과 교착함과 함께 가압에 의한 통공을 천공함으로서 천공에 의해 절취되는 절취편이 통공의 외측으로 절곡되면서 리벳팅으로 체결되게 한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해 그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발취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일판재로 구성되며 양단부에 형성된 절곡편(4)(4-1)을 상호 결합하여 체결고정하게 되는 통상의 커버체(10)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절곡편(4)(4-1)중 일측 절곡편(4)을 내향된 절곡부(5)에 의해 내향된 삽입지지편(6)을 형성시켜서 타측의 절곡편(4-1)과 교차함과 함께 상기 교차면을 타격에 의한 통공(7)을 천공하되, 천공에 의한 절취편(8)이 절곡편(4-1)과 함께 삽입지지편(6)을 리벳팅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0은 유리문, 22는 프레임 조절공을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커버체(10)는 단일판체로 전개재단된 상태에서 공지의 절곡기를 이용하여 절곡한다.
즉, 제1도에서와 같은 형상으로 제작하게 되는 것으로 펀칭공정과 절곡공정에 의해 커버체(10)가 형성되는 것으로 종래와 같이 전후판재 및 보강판을 별도로 제작 구비하여야 하는 것에 비해 제작과정이 매우 간편함과 같이 신속하게 되어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이상에 의해 형성된 커버체(10)는 제1도 내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의 절곡편(4)(4-1)을 교차되게 절곡조립함과 함께 일측의 절곡편(4)에 형성된 삽입지지편(6)이 타측의 절곡편(4-1)내단으로 교차시킨다.
이와같이 절곡조립된 상태에서 공지의 천공기를 이용하여 가압시켜 통공(7)을 천공하게 되면, 상기 통공(7)의 천공시에 절취되는 절취편(8)이 절곡편(4-1)과 삽입지지편(6)을 함께 고정하는 상태로 관통되어 삽입지지편(6)의 이면 외측으로 절곡되는 리벳팅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 리벳팅에 의해 상기 절곡편(4-1)과 삽입지지편(6)은 일체로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에 상기 절취편(8)이 삽입지지편(6) 이면에서 외향절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체결력이 약할 때에는 이 부분을 타격하여 압착하거나 천공작업시에 이면측에 마찰도구를 이용하게 되면 경고한 체결력과 절곡상태가 더욱 양호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커버체(10)에 일체로 형성되는 양측의 절곡편(4)(4-1)을 교차시키는 간편성과 이 절곡편(4)(4-1)을 바로 리벳팅하여 작업이 간단하고 일체의 부재가 절취되면서 동시에 절곡되어 고정됨으로서 견고한 체결력 및 동일부재의 절곡고정으로 녹방지와 같이 외관이 미려하게 구성되는 고안이다.

Claims (1)

  1. 단일판재로 구성되며 양단부에 형성된 절곡편(4)(4-1)을 상호 결합하여 체결고정하게 되는 통상의 커버체(10)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절곡편(4)(4-1)중 일측 절곡편(4)을 내향된 절곡부(5)에 의해 내향된 삽입지지편(6)을 형성시켜 타측의 절곡편(4-1)과 교차함과 함께 상기 교차면에 타격에 의한 통공(7)을 천공하되, 천공에 의한 절취편(8)이 삽입지지편(6)을 관통하는 리벳팅으로 체결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출입문용 유리도어의 프레임.
KR2019970017039U 1997-06-30 1997-06-30 출입문용 유리도어의 프레임 KR2001524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039U KR200152407Y1 (ko) 1997-06-30 1997-06-30 출입문용 유리도어의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039U KR200152407Y1 (ko) 1997-06-30 1997-06-30 출입문용 유리도어의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443U KR19990003443U (ko) 1999-01-25
KR200152407Y1 true KR200152407Y1 (ko) 1999-07-15

Family

ID=19504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7039U KR200152407Y1 (ko) 1997-06-30 1997-06-30 출입문용 유리도어의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240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443U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2407Y1 (ko) 출입문용 유리도어의 프레임
KR100210466B1 (ko) 창틀골재 연결구
WO2003048496A1 (en) Metal sheet skin door edge profil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0341307Y1 (ko) 철재문틀 조립 장치
JP3921003B2 (ja) 留め付け金具
KR100541572B1 (ko) 지지판을 이용한 철문과 힌지의 연결구조 및 그 지지판의제조방법
KR200163581Y1 (ko) 문틀조립장치
JP3188632B2 (ja) 枠体の組立装置
JP2005315066A (ja) 壁体構築用下地材、金属パネル及び金属壁体
KR0134497Y1 (ko) 문용 조립식 프레임
KR200281175Y1 (ko) 현관도어의 조립식 스텐레즈 스틸프레임
JP2001123565A (ja) 外壁パネル張付用のフレーム
JP3409257B2 (ja) 門扉、フェンス等の面体の格子組み構造
KR200393500Y1 (ko) 창틀용 결합부재
KR100395372B1 (ko) 샤시의 조립구조
JP4106007B2 (ja) スチールハウス等の住宅用縦枠材とその固定装置
KR200307751Y1 (ko) 브라켓
KR20180085963A (ko) 케이블 트레이에서 렁의 구조를 이용한 4단 체결구조
KR200296930Y1 (ko) 문틀 체결구조
JP3090069U (ja) セーフティーゲートのドアフレーム
JP3472613B2 (ja) ドアサッシュの取付構造
KR100475963B1 (ko) 도어 샤시 내측 선단의 웨더스트립 센터씰 취부 구조
JPH0531512Y2 (ko)
JPH0635108Y2 (ja) ドアへの化粧モール取り付け構造
JP3014980B2 (ja) 壁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