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2366Y1 - 지반굴착용 비트 - Google Patents

지반굴착용 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2366Y1
KR200152366Y1 KR2019950029933U KR19950029933U KR200152366Y1 KR 200152366 Y1 KR200152366 Y1 KR 200152366Y1 KR 2019950029933 U KR2019950029933 U KR 2019950029933U KR 19950029933 U KR19950029933 U KR 19950029933U KR 200152366 Y1 KR200152366 Y1 KR 2001523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nail
construction
ground
dri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99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8330U (ko
Inventor
신영숙
Original Assignee
장병주, 이일쇄
주식회사대우
이정우
주식회사동아지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주, 이일쇄, 주식회사대우, 이정우, 주식회사동아지질 filed Critical 장병주, 이일쇄
Priority to KR20199500299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2366Y1/ko
Publication of KR9700183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83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23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23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44Bits with helical conveying portion, e.g. screw type bits; Augers with leading portion or with detach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8Production methods using an auger, i.e. continuous flight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최근 급속한 경제성장에 따른 기반시설구축 및 도시재개발공사등으로 대규모 진행되고 있는 흙막이공사나 터널축조시의 지반조강공법에 사용되는 지반굴착용 비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흙막이 공사시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지반 조강공법은 대개 굴착기로서 구멍을 천공하고 이에 철근을 삽입한 다음 그라우팅을 순서적으로 각각 실시하게 되므로 전체적인 작업속도가 늦고 공정이 번거러우며 소음, 진동 및 분진등이 많이 발생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비트에 철근 즉 네일(NAIL)를 연결시키고 비트에 설치하는 스크류는 비트와 분리가능하게 연결하여 천공과 동시에 네일을 지반내에 삽입하고 천공후 스크류만을 빼낼 수 있게 하므로서 천공과 네일 설치를 일원화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지반굴착용 비트
본 고안은 최근 급속한 경제성장에 따른 기반시설구축 및 도시재개발공사등으로 대규모 진행되고 있는 흙막이 공사나 터널축조시의 지반조강공법에 사용되는 지반굴착용 비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흙막이 공사시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지반 조강공법은 대개 굴착기로서 구멍을 천공하고, 이에 철근을 삽입한 다음 그라우팅을 순서적으로 각각 실시하게 되므로 전체적인 작업속도가 늦고 공정이 번거러우며 소음, 진동 및 분진 등이 많이 발생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공법은 천공후 공벽이 무너지지 않을 정도의 토질일 경우에는 별문제가 없으나 토사 및 연약층인 경우에는 천공후 공벽이 무너질 우려가 있어 작업시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비트에 철근, 즉 네일(NAIL)를 연결시키고 비트에 설치하는 스크류는 비트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여 천공과 동시에 네일을 지반내에 삽입하고 천공후 스크류만을 빼낼 수 있게 하므로서 천공과 네일 설치를 일원화한 것인데,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예시도.
제3도는 굴착상태 단면도.
제4도는 굴착후 스크류를 인출한 상태의 단면도.
제5도는 그라우팅 시멘트를 주입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크류축 2 : 비트
3 : 삽지판 4 : 네일
5 : 중심공 6 : 삽지홈
7 : 오거축
스크류축(1)의 하부에 네일(4)이 수직으로 부착된 비트(2)를 연결설치한 것에 있어서 비트(2)에 부착된 네일(4)의 기부에 삽지판(3)을 설치하여 네일(4)을 스크류축(1)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뚫은 중심공(5)속에 끼워넣되 비트(2)의 삽지판(3)이 스크류축(1) 선단에 요설한 삽지홈(6)에 끼워지도록 연결하여서 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7은 오거축이고, 8은 그라우트재이며, 9는 고정너트이고, 10은 굴착공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비트(2)에 네일(4)을 고정하고 네일(4)은 스크류축(1)의 중심공(5)속으로 삽입하여 스크류축(1) 선단의 삽지홈(6)에 비트(2)의 삽지판(3)이 끼워지도록한 것이므로 스크류축(1)을 오거축(7)에 축설하여 회전시키면 삽지홈(6)과 삽지판(3)이 키의 역할을 하여 비트(2)도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스크류축(1)을 오거축(7)에 연결하여 굴착공(10)을 형성한 위치에서 작동시키면 비트(2)와 스크류축(1)이 동시에 회전하여 지반을 굴착하게 되고, 이때 발생된 슬라임은 스크류 날개에 의해 밖으로 배토되므로 굴착공(10)을 깊이 형성할 수 있게 되며 소망하는 깊이까지 굴착공(10)을 뚫고난 후, 스크류축(1)만을 빼내게되면 비트(2)의 삽지판(3)이 삽지홈(6)에 끼워져 결합된 스크류축(1)은 간단하게 빠져나오게 되므로, 제4도와 같이 비트(2)와 이에 연결된 네일(4)이 굴착공(10)속에 정확하게 삽입되어 있게 되고 이 상태에서 그라우트재(8)를 굴착공(10)속에 주입하여 경화시킨 후 네일(4)의 후단을 고정너트(9)로서 체결하면 굴착공(10)내의 그라우팅 중심에 네일(4)이 정확하게 매설되어 견고한 지반을 조성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비트(2)에 네일(4)을 일체로 결합하여 굴착공(10)의 굴착과 동시에 네일(4)을 일체로 설치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굴착후 별도로 네일(4)을 삽입하는 번거러운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작업속도를 보다 빠르게 할 수 있으며, 굴착공(10)의 내부에 네일(4)이 동시에 설치되어 토사나 연약층의 굴착시 매우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스크류축(1)의 하부에 네일(4)이 수직으로 부착된 비트(2)를 연결설치한 것에 있어서 비트(2)에 부착된 네일(4)의 기부에 삽지판(3)을 설치하여 네일(4)을 스크류축(1)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뚫은 중심공(5)속에 끼워넣되 비트(2)의 삽지판(3)이 스크류축(1) 선단에 요설한 삽지홈(6)에 끼워지도록 연결하여서 되는 지반굴착용 비트.
KR2019950029933U 1995-10-20 1995-10-20 지반굴착용 비트 KR2001523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9933U KR200152366Y1 (ko) 1995-10-20 1995-10-20 지반굴착용 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9933U KR200152366Y1 (ko) 1995-10-20 1995-10-20 지반굴착용 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8330U KR970018330U (ko) 1997-05-26
KR200152366Y1 true KR200152366Y1 (ko) 1999-07-15

Family

ID=19426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9933U KR200152366Y1 (ko) 1995-10-20 1995-10-20 지반굴착용 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236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8330U (ko) 199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212870A (ja) 地下穿孔機のセメントソイル装置
JP2000160980A (ja) 大断面トンネルのいわし骨工法
SE9704292L (sv) Anordning för jordförstärkning, verktyg och metod
JP2008057184A (ja) H型pc杭を用いた地中壁の構築方法
KR100543727B1 (ko) 암반 이중굴착을 통한 지반천공 공법
KR200152366Y1 (ko) 지반굴착용 비트
KR0171394B1 (ko) 지하굴착용 선단 확대비트
JP2000314291A (ja) フレキシブルパイプ及びトンネル地山の補強方法
JPS6149473B2 (ko)
KR100655761B1 (ko) 오거 및 케이싱 병행 작업시의 배토구조를 구비한 앵커 및네일링 시공을 위한 천공장비
KR20020068981A (ko) 강관마이크로파일 및 그라우팅 시공방법
US4673218A (en) Tunnel excavation method
JPH07229386A (ja) 偏平大断面トンネルの掘削方法
JPS5894598A (ja) 坑道掘削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穿孔ガイド
SU1567789A1 (ru) Способ креплени горных выработок
KR100690255B1 (ko) 대구경 자천공 지반 보강재
JP4263054B2 (ja) 注入パイプ
JP2004162256A (ja) 撤去可能な埋設管
JP2000328560A (ja) 鋼管柱列土留壁の造成方法
JPH07259072A (ja) トンネル掘進機による掘進時の地山改良補強方法
JPH0393920A (ja) 補強土工法
JP2000226982A (ja) トンネル掘削におけるグラウト注入補強工法
JP3030013B2 (ja) 無拡幅鋼管先受式掘削方法で用いる鋼管
JPH01174720A (ja) 連続掘削孔の施工方法および地中掘削用装置
KR19990086347A (ko) 굴착공사에서의 제거형 네일링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