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1171Y1 - 버스의 행선지표시판 - Google Patents

버스의 행선지표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1171Y1
KR200151171Y1 KR2019970020381U KR19970020381U KR200151171Y1 KR 200151171 Y1 KR200151171 Y1 KR 200151171Y1 KR 2019970020381 U KR2019970020381 U KR 2019970020381U KR 19970020381 U KR19970020381 U KR 19970020381U KR 200151171 Y1 KR200151171 Y1 KR 2001511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destination
board
socke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03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6888U (ko
Inventor
이태곤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203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1171Y1/ko
Publication of KR199900068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8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11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11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8Advertisement panels on sides, front or back of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4Signs, boards or panels mounted on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스의 행선지표시판에 관한 것이다. 이는, 행선지표시판에 발광수단을 설치하여 야간에 탑승객에게 행선지표시판을 용이하게 판독할 수 있게 하므로 버스의 선택탑승이 용이하도록, 버스 외부의 상부 외측패널(1)에 부착되는 함체(10)와, 이 함체(10)의 내측 중앙부에서 양측으로 이격설치되는 소켓설치판(16)과, 이 소켓설치판(16)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소켓(18)과, 이 소켓(18)에 끼워지는 발광수단(20)과, 상기 함체(10)의 상하단부에서 대향절곡되어 형성되는 가이드홈(24)과, 이 가이드홈(24)의 내측에 부착되는 안내편(12)과, 상기 가이드홈(24)에 끼워지며 상기 안내편(12)의 내측에 설치되어 수평이송되는 행선지표기판(30)과, 상기 함체(10)의 양측을 덮어주는 측면커버(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버스의 행선지표시판을 제공한다. 그리하여, 버스의 측방에서 차량의 노선이나 행선지를 용이하게 알아볼 수 있고 발광수단을 야간에 점등시키면 탑승객이 글귀를 판독할 수 있어 선택탑승이 용이하고 장거리 주행시 행선지를 외부인에게 알려주므로 버스의 측면에서도 쉽게 차량의 행선지를 알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버스의 행선지표시판
본 고안은 버스의 행선지표시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행선지표시판을 버스의 측면에 설치함과 동시에 발광수단을 설치시켜 버스의 측면에서도 행선지의 판별이 가능하며 야간주행시에도 용이하에 판독할 수 있어 탑승객이 정확하게 행선지를 확인하여 버스를 탑승할 수 있는 버스의 행선지표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는 대형수송용 차량임과 동시에 장거리 수송용 차량이므로 차실내에는 가능한 다수의 승객이 앉게 되도록 좌석이 배치되고, 이러한 좌석승객이 장거리 여행시 편의도모를 위하여 여러 가지 편의시설이 설치된다.
또한, 버스가 장거리 운행을 하는 경우 상업용 버스는 그 행선지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고, 이러한 행선지표시판은 통상 버스의 전면 유리 상측에 설치되어 버스의 행선지를 탑승객에게 알려 버스의 선택승차를 올바르게 하고 외부인에게 행선지를 알리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버스에 설치되는 행선지표시판은 상업용 고속버스인 경우, 통상 버스의 전면 유리 상측에만 설치되고, 이 행선지표시판은 주로 아크릴판에 행선지를 표시하는 글귀가 색인된다.
그리고, 상기 행선지표시판은 장거리 여행을 하는 상업용 고속버스인 경우에는, 고속버스의 내측에서 운전자나 수송관계자가 설치하는데, 통상 행선지표시판의 상부에 부착되는 고무흡반을 사용하여 버스의 전면유리에 부착하거나 전면유리의 상부에서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와이어 등에 걸게 되므로 설치하게 된다.
또한, 상업용 시내버스인 경우에는 행선지표시판이 아크릴재의 함체로 형성되어 상기 고속버스의 경우와 동일하게 버스의 전면 유리에 행선지표시판이 부착되고, 이 함체에는 형광등이나 기타 발광수단을 설치하여 야간에 탑승객이 선택승차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시내버스인 경우에는 외부 측면에 철재의 행선지표시판을 고정설치하므로 탑승객에게 버스의 행선지 즉, 노선을 알려주게 된다.
그러나, 상기 상업용 시내버스인 경우 탑승객이 주로 주시하게 되는 행선지표시판은 버스의 사이드패널에 부착되는 행선지표시판인데도 불구하고 발광수단이 설치되지 않아 야간에 탑승객이 행선지표시판을 판독하기가 어렵고, 또한 상업용 고속버스인 경우에는 버스의 전면 유리에만 행선지표시판이 부착되므로 탑승객이 버스의 전방으로 가기 전에는 행선지를 알기가 어려워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상업용 시내버스의 측면패널에 설치되는 행선지표시판에 발광수단을 설치하여 야간에 탑승객에게 행선지표시판을 용이하게 판독할 수 있게 하므로 버스의 선택탑승이 용이하며, 상업용 고속버스의 측면에도 발광수단이 설치된 행선지표시판을 설치하므로 탑승객이 버스의 양측에서도 행선지의 확인이 용이한 버스의 행선지표시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버스의 측면 상부의 외측패널에 부착되는 함체와, 이 함체의 내측 중앙부에서 양측으로 이격설치되는 소켓설치판과, 이 소켓설치판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소켓과, 이 소켓에 끼워지는 발광수단과, 상기 함체의 상하단부에서 대향절곡되어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이 가이드홈의 내측에 부착되는 끼움편과,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지며 상기 끼움편의 내측에 설치되어 수평이송되는 행선지표기판과, 상기 함체의 양측을 덮어주는 측면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버스의 행선지표시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 행선지표시판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측패널 10 : 함체
11 : 부착편 12 : 안내편
14 : 끼움편 16 : 소켓설치판
18 : 소켓 20 :발광수단
22 : 측면커버 24 : 가이드홈
30 : 행선지표기판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0)와, 행선지표기판(30)과, 발광수단(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버스의 외측에서 판독이 가능하면서 버스의 측면 상부의 외측패널(1)에 설치되므로 상기 함체(10)는 버스의 측면 유리의 상부와 루프패널사이의 수직거리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그리하여, 이 함체(10)의 후방부가 외측패널(1)에 용접이나 기타 부착수단으로 설치가 된다.
또한, 상기 함체(10)의 양내측에는 소켓설치판(16)이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데, 이 소켓설치판(16)은 상기 함체(10)가 강재로 형성된 경우에는 전기가 도통되지 않는 절연물질로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 소켓설치판(16)의 내측에는 발광수단(20) 즉, 형광등이나 기타 일정한 밝기로 점등이 용이한 전구 등이 고정되어 전원공급이 되는 소켓(18)이 설치되고, 이 소켓(18)에는 상기 발광수단(20)이 끼워진다.
상기 행선지표기판(30)은 안전유리나 투명아크릴재질로 소정의 강성을 가지고 설치되는데, 이 행선지표기판(30)은 행선지의 표기가 되는 곳이므로 필기구 및 기타 색인기구등으로 용이하게 글귀를 표기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함체(10)의 상하단부에는 버스의 외측패널(1) 반대측 단부에서 함체(10)가 일체로 대향절곡되어 가이드홈(24)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홈(24)의 내측에는 안내편(12)이 함체(10) 내부의 상하부에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24)에는 상기 행선지표기판(30)이 끼워지고, 이 행선지표기판(30)은 가이드홈(24)내에서 수평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가이드홈(24)의 폭은 행선지표기판(30)의 두께보다 넓게 형성되므로 행선지표기판(30)이 수평이동되거나 멈추어 있게되는 경우, 행선지표기판(30)이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위해 가이드홈(24)의 내측으로 끼움편(14)이 부착되어 행선지표기판(30)과 상기 안내편(12)이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함체(10)의 양측면에는 부착편(11)이 절곡형성되고, 이 부착편(11)에는 함체(10)의 측면을 덮어주는 측면커버(22)가 함체(10) 양측으로 용접이나 본딩작업 등을 통해 부착된다.
또한, 이 함체(10)내에는 발광수단(20)이 설치되므로 이 발광수단(20)을 점등시키는데 필요한 전기적기구나 회로판 등 회로부(C)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러한 회로부(C)는 함체(10)의 내측에 일체로 형성가능하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운전자나 기타 운송관계자 등이 버스의 행선지나 노선 등을 표기하기 위하여 행선지표기판(30)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 표기자는 행선지표기판(30)을 함체(10)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이 행선지표기판(30)의 분리는 행선지표기판(30)의 일측을 파지하여 일측으로 밀거나 잡아당기게 되면 행선지표기판(30)은 함체(10)의 가이드홈(24)내에서 이동이 된다.
이때, 행선지표기판(30)은 가이드홈(24)의 내측에 부착된 끼움편(14)에 의해 함체(10)의 내측에 부착된 안내편(12)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일정이상의 힘으로 잡아당기거나 밀어야 행선지표기판(30)은 가이드홈(24)내에서 이동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행선지표기판(30)이 함체(10)로부터 슬라이딩되어 행선지표기판(30)이 함체(10)로부터 분리되면, 이 행선지표기판(30)의 외측면 즉, 버스의 외측면으로 행선지나 노선 등을 표기하게 되고, 표기가 끝나게 되면 다시 행선지표기판(30)을 상기 가이드홈(24)에 끼워 설치하게 된다.
이 행선지표기판(30)을 가이드홈(24)에 끼우게 되는 경우, 행선지표기판(30)의 측면을 파지한 후에 행선지표기판(30)의 두께를 상기 가이드홈(24)내의 끼움편(14)과 안내편(12)사이로 끼우게 되고, 이렇게 끼움편(14)과 안내편(12)사이에 끼워진 행선지표기판(30)은 안내편(12) 측으로 밀착되므로 사용자는 일정한 힘으로 밀어 넣게 된다.
그리하여, 행선지표기판(30)이 소정의 위치 즉, 함체(10)를 덮어주는 위치로 완전히 밀어주게 되면 행선지표기판(30)은 함체(10)를 덮어주어 함체(10) 내부에 설치된 발광수단(20)이나 기타 회로부(C)에 수분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가이드홈(24)내의 끼움편(14)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어 버스가 운행중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행선지표기판(30)이 함체(10)로부터 분리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 행선지표기판(30)에 표기된 행선지나 노선 등의 식별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되어 식별가능한 행선지표기판(30)은 야간주행시에는 그 식별이 어려우므로 함체(10)의 내측에 설치되는 발광수단(20) 즉, 형광등을 점등시키게 되면 행선지표기판(30)의 후방에서 발광되는 빛에 의해 행선지표기판(30)에 표기된 노선이나 행선지가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상기 행선지표기판(30)이 일정한 광투과율을 가지는 반투광 아크릴재를 사용하게 되면 행선지의 표기도 용이할 뿐 만 아니라 이 행선지표기판(30)의 후방에서 점등되는 발광수단(20)의 빛이 행선지표기판(30)을 투과하여 외부의 식별자에게 감지되므로 행선지표기판(30)의 글귀가 야간에도 판독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버스의 행선지나 노선이 표기되는 행선지표기판(30)을 버스의 외측패널(1)의 상부에 부착되는 함체(10)로부터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홈(24)내에 끼워서 설치시키고, 이 행선지표기판(30)을 가이드홈(24)으로부터 슬라이드시키면 행선지표기판(30)이 함체(10)로부터 분리되어 행선지나 노선 등을 표기하므로 외부의 탑승객이 버스의 측면에서 글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 행선지표기판(30)의 후방에 발광수단(20)을 설치하여 야간에 점등시키면 어두운 상황에서도 탑승객이 용이하게 행선지표기판(30)의 글귀를 판독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 버스의 행선지표시판는, 버스의 외측패널(1) 상부에 함체(10)를 부착시켜 이 함체(10)의 전방에서 슬라이딩되며 버스의 행선지나 노선 등이 표기되는 행선지표기판(30)을 설치시키고, 이 행선지표기판(30)의 후방으로 발광수단(20)을 설치시키므로 버스의 측방에서 차량의 노선이나 행선지를 용이하게 알아볼 수 있고 발광수단(20)을 야간에 점등시키면 야간주행시에도 탑승객이 글귀를 판독할 수 있어 선택탑승이 용이하여 원하는 방향의 시내버스 노선을 확인하여 탑승하므로 원하는 노선의 버스를 손쉽게 탑승할 수 있고 장거리 주행시 행선지를 외부인에게 알려주므로 버스의 측면에서도 쉽게 차량의 행선지를 알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버스의 행선지를 표기하여 버스에 설치되는 행선지표시판에 있어서,
    상기 버스 외부의 상부 외측패널(1)에 부착되는 함체(10)와, 이 함체(10)의 내측 중앙부에서 양측으로 이격설치되는 소켓설치판(16)과, 이 소켓설치판(16)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소켓(18)과, 이 소켓(18)에 끼워지는 발광수단(20)과, 상기 함체(10)의 상하단부에서 대향절곡되어 형성되는 가이드홈(24)과, 이 가이드홈(24)의 내측에 부착되는 안내편(12)과, 상기 가이드홈(24)에 끼워지며 상기 안내편(12)의 내측에 설치되어 수평이송되는 행선지표기판(30)과, 상기 함체(10)의 양측을 덮어주는 측면커버(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행선지표시판.
KR2019970020381U 1997-07-30 1997-07-30 버스의 행선지표시판 KR2001511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381U KR200151171Y1 (ko) 1997-07-30 1997-07-30 버스의 행선지표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381U KR200151171Y1 (ko) 1997-07-30 1997-07-30 버스의 행선지표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888U KR19990006888U (ko) 1999-02-25
KR200151171Y1 true KR200151171Y1 (ko) 1999-07-15

Family

ID=19506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0381U KR200151171Y1 (ko) 1997-07-30 1997-07-30 버스의 행선지표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117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888U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6903A (en) Backlite assembly for an automotive vehicle
US6860047B1 (en) Illuminated flag decal
US4114299A (en) Radiation powered illuminated display
KR200151171Y1 (ko) 버스의 행선지표시판
KR20160123582A (ko) 차량 설치형 안전표지 삼각대
JP2011081244A (ja) 車両用のledを用いた表示板
KR200151170Y1 (ko) 버스의 행선지표시판
KR100879245B1 (ko) 노선번호 표시장치를 갖는 버스백미러
RU78973U1 (ru)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водителей автомобилей во время движения
JP4162777B2 (ja) 自動車用電装品のスイッチ
CN212347686U (zh) 滑板
KR20200124922A (ko) 사고방지용 교통안내 표지판
KR101447175B1 (ko) 엘이디 델리니에이터
JP3130694U (ja) 自動車後部窓の警告灯
GB2395773A (en) Breakdown alarm lamp for vehicle
KR20100116151A (ko) 탑승 승객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표시등을 갖는 버스 정류장 안내판
KR101221193B1 (ko) Led 택시 표시등
KR200245916Y1 (ko) 광고 기능을 겸비한 보조 정지등
KR200305404Y1 (ko) 외장형 주행표시등을 갖는 택시표시등
KR890006406Y1 (ko) 백미러 겸용 택시 표시장치
KR200245927Y1 (ko) 택시용 안내 디스플레이 장치
KR200382618Y1 (ko) 낮에도 식별이 용이한 택시 방범등의 빈차 표시장치
KR200300402Y1 (ko) 자동차용 보조 조명장치
KR0125228Y1 (ko) 착탈이 가능한 차량용 룸 램프
KR200168343Y1 (ko) 차량의 유턴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