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1047Y1 - 개선된 스탠드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개선된 스탠드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1047Y1
KR200151047Y1 KR2019950035762U KR19950035762U KR200151047Y1 KR 200151047 Y1 KR200151047 Y1 KR 200151047Y1 KR 2019950035762 U KR2019950035762 U KR 2019950035762U KR 19950035762 U KR19950035762 U KR 19950035762U KR 200151047 Y1 KR200151047 Y1 KR 2001510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housing
display device
stand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57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5080U (ko
Inventor
문종학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500357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1047Y1/ko
Publication of KR9700250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50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10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10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개선된 스탠드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과, 이 액정패널을 감싸도록 된 하우징과, 하우징에 결합되어 이를 지지하도록 된 스탠드를 구비한다.
하우징은 그 배면에 형성된 걸이홈과, 양측 소정 위치에 돌출된 형성된 힌지축을 포함하고,
스탠드는 양단이 각각 힌지축에 왕복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한쌍의 가이드부와, 이 가이드부를 상호 연결하고 바닥에 지지되는 받침부로 이루어진 일체형 프레임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바닥 거치와 벽걸이 겸용으로 쉽게 절환할 수 있으며, 그 구조를 단순화하여 조립공수의 절감과, 생산성 향상 그리고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선된 스탠드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제1도의 (a)(b)는 종래 접철식 스탠드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의 일예에 따른 외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제2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의 개선된 스탠드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하우징 33 : 힌지
35 : 홈부 40 : 스탠드
41,43 : 가이드부 45 : 받침부
47 : 결합공 50 : 걸이홈
본 고안은 개선된 스탠드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벽걸이 또는 거치 겸용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접철가능한 개선된 스탠드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컴퓨터용 모니터나 TV 수상기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음극선관을 이용한 표시장치와 비교해 볼 때 구현 가능한 화면 크기를 대폭 늘릴 수 있고, 그 두께를 작게할 수 있고, 평면사각의 구현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 액정표시장치는 그 두께가 대략 5 내지 10㎝ 이내로 얇게할 수 있으므로, 통상적의 표시장치와 마찬가지로 바닥에 거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벽에 걸 수도 있다.
그러므로, 표시장치를 지지하는 스탠드를 접철형으로 하거나, 분리 결합형으로하여 사용자가 바닥에 거치하거나 벽면에 걸어 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간편히 휴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1도의 (a)(b)는 종래 접철식 스탠드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의 일예에 따른 외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액정표시장치는 하우징(10)과, 화상을 형성하는 액정패널(미도시)과, 상기 하우징에 접철가능하게 결합된 스탠드(20)로 대별된다.
상기 스탠드(20)는 받침대(21)와, 이 받침대(21)와 상기 하우징(10)을 연결하는 지지대(23)와, 상기 하우징(10)의 배면에 상기 지지대(23)가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안내하는 제1체결부(25)와, 상기 지지대(23)가 상기 받침대(21)에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도록 하는 제2체결부(27)로 이루어져 있다.
거치형으로 사용할 때 상기 받침대(21)가 바닥면과 마주하도록 제1 및 제2체결부(25,27)의 결합위치를 조절한다. 그리고, 벽면에 설치하거나 휴대를 위하여 접철할 경우 제1도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철한다. 벽면에 설치를 위하여 상기 받침대(20)의 바닥면에는 걸이홈(29)이 형성되어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같은 스탠드는 그 미관은 뛰어나지만 벽면에 설치시 상기 받침대 및 지지대의 두께 만큼 상기 하우징이 이격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조립공수가 복잡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언급한 바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탠드의 구조를 단순화함으로 조립공수를 줄이고 제조원가를 낮춘 개선된 스탠드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액정패널과, 이 액정패널을 감싸도록 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이를 지지하도록 된 스탠드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그 배면에 형성된 걸이홈과, 양측 소정 위치에 돌출된 형성된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는 양단이 각각 상기 힌지축에 왕복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한쌍의 가이드부와, 이 가이드부를 상호 연결하고 바닥에 지지되는 받침부로 이루어진 일체형 프레임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개선된 스탠드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로, 제2도는 스탠드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제3도는 스탠드를 펼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화상을 구현하는 액정패널(미도시)과, 이 액정패널을 감싸도록 되고 내부에 스피커 및 여러 신호처리 수단등이 포함된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30)에 결합되어 이를 지지하도록 된 스탠드(40)로 대별된다.
상기 스탠드(40)는 상기 하우징(30)을 바닥에 거치하거나 벽면에 걸기 위한 일체형 프레임으로 되어 있다. 상기 스탠드(30)는 한쌍의 가이드부(41,43)와, 이 가이드부(41,43)를 상호 연결하고 바닥에 지지되는 받침부(45)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부(41,43) 각각의 일단에는 결합공(4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30)은 벽면에 걸 수 있도록 그 배면에 걸이홈(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41,43)에 형성된 결합공(47)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양측 소정 위치에 힌지축(33)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30)의 전면에서 볼 때 상기 가이드부(41,43)가 하우징(30)의 측면 옆으로 튀어나오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30)의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부(41,43)의 두께 및 길이에 대응되는 홈부(35)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탠드를 벽걸이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힌지축(33)을 중심으로 가이드부(41,43)를 회동시켜 상기 하우징(30)의 벽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상기 걸이홈(50)을 이용하여 벽면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30)과 벽면 사이에 사이뜸이 거의 없으므로 안정적으로 설치가 가능하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마련된 홈부에 상기 가이드부가 끼워지므로 미관을 해치지 않는다. 상기 스탠드를 바닥에 거치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부(41,43)를 회동시켜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대해 대략 직교하도록 설치한다.
이와 같이 구비된 본 고안에 따른 개선된 스탠드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장치는 바닥 거치와 벽걸이 겸용으로 쉽게 절환할 수 있으며, 그 구조를 단순화하여 조립공수의 절감과, 생산성 향상 그리고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액정패널과, 이 액정패널을 감싸도록 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이를 지지하도록 된 스탠드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그 배면에 형성된 걸이홈과, 양측 소정 위치에 돌출된 형성된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스탠드는 양단이 각각 상기 힌지축에 왕복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한쌍의 가이드부와, 이 가이드부를 상호 연결하고 바닥에 지지되는 받침부로 이루어진 일체형 프레임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스탠드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가이드부 두께에 대응되는 홈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스탠드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19950035762U 1995-11-25 1995-11-25 개선된 스탠드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1510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5762U KR200151047Y1 (ko) 1995-11-25 1995-11-25 개선된 스탠드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5762U KR200151047Y1 (ko) 1995-11-25 1995-11-25 개선된 스탠드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080U KR970025080U (ko) 1997-06-20
KR200151047Y1 true KR200151047Y1 (ko) 1999-07-15

Family

ID=19430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5762U KR200151047Y1 (ko) 1995-11-25 1995-11-25 개선된 스탠드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104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080U (ko) 199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8998B1 (en) Liquid crystal display monitor
US6816364B2 (en) Display units
US5854735A (en) Device for tiltably supporting a LCD
CA2497543C (en) Support for one or more flat panel displays
US11068022B2 (en) Display stand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AU2013204014B2 (en) Support fr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0151047Y1 (ko) 개선된 스탠드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JPH10207385A (ja) 平面ディスプレイ取付構造
JP4799742B2 (ja) パネル型装置の支持機構
EP3407597B1 (en) Display stand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20000000722U (ko) 엘시디 모니터
KR100826196B1 (ko) 영상표시장치
KR20040063548A (ko) 평판 모니터용 절첩식 받침대 구조
KR2005010931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00000827U (ko) 액정 모니터
KR100520088B1 (ko) 모니터장치
JP3623699B2 (ja) 卓上壁掛兼用型通信機器
WO2023185645A1 (zh) 一种摄像头支架保护壳
CN102024385A (zh) 数字图片显示装置
KR100686766B1 (ko) 월 마운트 장치
KR200274596Y1 (ko) 액정 모니터의 받침대 및 손잡이 변환장치
KR19990060272A (ko) 스탠드를 이용하여 벽걸이용으로 사용 가능한 평판디스플레이장치
KR100304427B1 (ko) Pdp텔레비전의스피커착탈및회전장치
KR100617100B1 (ko) 영상기기 및 영상기기의 스탠드 어셈블리
KR20060077274A (ko)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벽걸이용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