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0905Y1 - 디스크체인저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체인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0905Y1
KR200150905Y1 KR2019960044944U KR19960044944U KR200150905Y1 KR 200150905 Y1 KR200150905 Y1 KR 200150905Y1 KR 2019960044944 U KR2019960044944 U KR 2019960044944U KR 19960044944 U KR19960044944 U KR 19960044944U KR 200150905 Y1 KR200150905 Y1 KR 2001509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turntable
disc
rotated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49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1780U (ko
Inventor
어윤하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600449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905Y1/ko
Publication of KR199800317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7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9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9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009Turntables, hubs and motors for disk drives; Mounting of motors in the driv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3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in containers or tray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38Centering or locking of a plurality of discs in a single cartridge

Abstract

본 고안은 디스크체인저장치에 있어서, 턴테이블에 형성된 디스크트레이에 디스크가 놓인 상태에서 디스크가 고정 되도록 함으로서 디스크를 선택하기 위하여 턴테이블이 출입될 때 또는 회전될 때 디스크가 디스크트레이의 정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한 디스크체인저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부에 모터로 회전되는 턴테이블이 설치되고 하부에 픽업수단이 형성된 기판과 상기 턴테이블의 상면에 디스크가 놓이는 디스크트레이가 다수개 형성된 디스크체인저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트레이의 중앙에 회전 가능토록 형성된 홀더부재와, 상기 픽업수단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홀더부재와 맞물려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크체인저장치
본 고안은 디스크체인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턴테이블에 형성된 디스크트레이에 디스크가 놓인 상태에서 디스크가 고정 되도록 함으로서, 디스크를 선택하기 위하여 턴테이블이 출입될 때 또는 회전될 때 디스크가 디스크트레이의 정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한 디스크체인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디스크체인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전방에 출입구(11)가 형성되고 상기 출입구(11)를 따라 출입되는 기판(20)이 상기 본체(1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기판(20)의 상부에 다수개의 디스크(50)가 놓이는 턴테이블(30)이 설치된다.
턴테이블(30)의 상부에는 디스크(50)가 놓이는 디스크트레이(31)가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턴테이블(30)의 중앙에 축받이(32)가 형성된다.
또한 기판(20)의 중앙에 형성된 축(21)의 외주면에 상기 축받이(32)가 끼워지고 축(21)의 상단에 나사못(34)에 체결되어 턴테이블(30)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기판(20)에 결합된다.
상기 턴테이블(30)의 저면에는 내접기어(33)가 형성되고, 한편 모터(22)로 회전되는 워엄기어(23)가 감속기어(24a)(24b)를 통하여 내접기어(33)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체(10) 내부의 기판(20) 저면으로 픽업수단(40)이 힌지(43)를 중심으로 승강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디스크(50)의 상부에는 클램프(41)가 설치되어 픽업수단(40)이 디스크(50)를 회전시킬 때 디스크(50)가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 준다.
상기 픽업수단(40)은 픽업고정대(41)에 디스크(50)의 기록을 판독하는 렌즈(45)와 디스크(50)를 회전시키는 회전편(47)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편(47) 저면에 로딩된 디스크(50)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46)가 구비되며, 또한 디스크(50)가 회전되는 동안 렌즈(45)가 구동모터(44)에 의해 디스크(50)의 저면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구성된 종래의 디스크체인저는 기판(20)이 출입구(11)를 따라 본체(10)의 내외부로 출입되며 본체(1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수개의 디스크(50)를 턴테이블(30)에 형성된 디스크트레이(31)에 올려놓는다.
이 같은 상태에서 기판(20)이 본체(10) 내부로 삽입된 후 소망하는 디스크(50)를 선택하면, 모터(22)의 구동에 의해 턴테이블(30)이 회전된다. 즉, 모터(22)의 회전력이 워엄기어(23)와 감속기어(24a)(24b)를 거쳐 내접기어(33)에 전달되어 내접기어(33)가 회전되면 턴테이블(30)이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디스크(50)를 선택하게 되고, 이렇게 선택된 디스크(50)가 픽업수단(40)의 상부에 위치되면 턴테이블(30)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후, 픽업수단(40)이 상승되면 상부의 클램프(41)와 하부의 회전편(47)에 의해 상기 디스크(50)가 상하부로 고정되어 회전편(47) 저면의 회전모터(46)에 구동으로 회전된다. 한편, 상기 픽업수단(40)에 형성된 구동모터(44)가 디스크(50)의 저면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구동모터(44) 상단에 형성된 렌즈(45)를 통하여 디스크(50)에 형성된 기록이 판독된다.
따라서, 디스크(50)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렌즈(45)를 통하여 디스크(50)의 내용이 재생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디스크체인저는 디스크가 턴테이블에 놓여진 상태에서 본체의 내외부로 출입되거나 회전될 때 또는 디스크체인저에 강한 외부충격이 가해질 때 디스크가 디스크트레이에서 이탈되어 기록이 재생되지 않고, 또한 디스크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즉, 턴테이블에 형성된 디스크트레이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형성됨으로 디스크가 놓여진 상태에서 턴테이블에 이상충격이 가해질 경우 디스크가 정위치에서 이탈되어 디스크트레이에서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디스크가 정위치에 놓이지 않게 됨으로 디스크의 재생이 불가능하게 되고 또한 턴테이블의 출입시 출입구에 걸려 파손될 우려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턴테이블에 형성된 디스크트레이에 디스크가 놓인 상태에서 디스크가 고정 되도록 함으로서, 디스크를 선택하기 위하여 턴테이블이 출입될 때 또는 회전될 때 디스크가 디스크트레이의 정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한 디스크체인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스크체인저장치의 작동을 설명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디스크체인저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디스크체인저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 디스크체인저장치의 요부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디스크,201-디스크중심공,
300-턴테이블,301-디스크트레이,
400-기판,402-모터,
500-픽업수단,600-홀더부재,
601-지지편,602-축,
700-구동부재,701-회전모터,
603,702-기어603a,702a-테이퍼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에 모터로 회전되는 턴테이블이 설치되고 하부에 픽업수단이 형성된 기판과 상기 턴테이블의 상면에 디스크가 놓이는 디스크트레이가 다수개 형성된 디스크체인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디스크트레이의 중앙에 회전 가능토록 형성된 홀더부재와, 상기 픽업수단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홀더부재와 맞물려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디스크체인저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디스크체인저장치의 평면도이며,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 디스크체인저장치의 요부사시도이다.
전방에 출입구(101)가 형성된 본체(100)가 구비되고 상기 출입구(101)를 따라 출입되는 기판(400)이 상기 본체(10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기판(400)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디스크(200)가 놓이도록 디스크트레이(301)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턴테이블(300)이 설치된다.
턴테이블(300)의 중앙에 축받이(302)가 형성되고, 또한 기판(400)의 중앙에 형성된 축(401)의 외주면에 상기 축받이(302)가 끼워지고 축(401)의 상단에 나사못(304)에 체결되어 턴테이블(300)이 회전 가능한 상태로 기판(400)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디스크트레이(301)의 중앙에 회전 가능토록 홀더부재(600)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부재(600)는 각 디스크트레이(301) 상단에 형성되어 디스크중심공(201)의 내측면을 압박하여 구속하는 다수의 지지편(601)과; 그 하단에 축(602)을 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지지편(601)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기어(60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턴테이블(300)의 저면에는 내접기어(303)가 형성되고, 기판(400) 상단에 모터(402)로 회전되는 워엄기어(403)가 감속기어(404a)(404b)를 통하여 내접기어(303)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체(100) 내부의 기판(400) 저면으로 픽업수단(500)이 승강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픽업수단(500)의 일측 단부는 힌지(501)에 의해 회동 가능토록 본체(100)와 체결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픽업수단(500)이 상승하였을 때에 상기 홀더부재(600)와 맞물려 디스크(20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700)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재(70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모터(701)와 그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기어(603)와 대응되어 회전되는 다른 기어(702)가 구비되며, 상기 각 기어(603)(702)는 상호 맞물려 회전되도록 그 측면에 각각 테이퍼부(603a)(702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픽업수단(500)에는 구동모터(502) 및 디스크(200)의 기록을 판독하는 렌즈(503)가 구비되어 디스크(200)가 회전되는 동안 렌즈(503)가 구동모터(502)에 의해 디스크(200)의 저면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어 디스크(200)에 형성된 기록이 판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디스크체인저는 기판(400)이 출입구(101)를 따라 본체(100)의 내외부로 출입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기판(400)이 본체(10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수개의 디스크(200)를 턴테이블(300)에 형성된 각각의 디스크트레이(301)에 올려놓는다.
이때, 상기 디스크트레이(301)의 중앙에 회전 가능토록 형성된 홀더부재(600)에 디스크가 끼워져 고정된다. 즉, 홀더부재(600)의 외측 상단에 형성된 다수의 지지편(601)이 상기 디스크중심공(201)의 내측면을 외측방향으로 압박하여 구속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판(400)에 디스크(200)가 놓인 상태에서 출입될 때 또는 턴테이블(300)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디스크트레이(301)에 놓인 디스크(200)가 정위치를 이탈하지 않게 된다. 즉, 각 지지편(601)에 의해 디스크(200)가 고정됨으로 디스크(200)의 유동이 억제되며 따라서 디스크(200)의 정위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디스크(200)가 고정된 상태에서 기판(400)이 본체(100) 내부로 삽입되고 이후, 소망하는 디스크(200)를 선택하면 모터(402)의 구동에 의해 턴테이블(300)이 회전된다.
상기 모터(402)의 회전력은 워엄기어(403)와 감속기어(404a)(404b)를 거쳐 내접기어(303)에 전달되어 내접기어(303)를 회전시키고, 따라서 턴테이블(300)이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디스크(200)가 픽업수단(500)의 상부에 위치되면 턴테이블(300)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서 디스크(200)를 선택하게 된다.
이후, 선곡을 위하여 픽업수단(500)이 힌지(501)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디스크(200) 저면쪽으로 상승되면 상기 픽업수단(500) 단부에 형성된 구동부재(700)가 상기 홀더부재(600)와 맞물려 디스크(200)를 회전시킨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픽업수단(500)이 상승됨에 따라 상기 홀더부재(600)의 지지편(601) 하단에 축(602)을 통하여 형성된 기어(603)에 상기 구동부재(700)의 회전모터(701) 상단에 형성된 다른 기어(702)가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모터(701)에 동력이 인가되어 그 상단의 다른 기어(701)가 회전되면, 이에 대응되어 맞물려진 기어(603)가 회전되고 그 상단의 지지편(601)이 연동하여 회전됨으로 디스크(200)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때, 구동부재가 상승하여 상기 기어(603)와 다른 기어(702)가 상호 맞물려 회전됨에 있어서, 원활한 결합을 위하여 그 측면에 각각 테이퍼부(603a)(702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픽업수단(500)에 형성된 구동모터(502)가 디스크(200)의 저면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구동모터(502) 상단에 형성된 렌즈(503)를 통하여 디스크(200)에 형성된 기록이 판독됨으로서, 디스크(200)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전후방으로 이동되는 렌즈(503)를 통하여 디스크(200)의 정보가 재생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일실시예에서 설명된 내용에 국한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사상과 원리에 벗어남이 없이 실용신안등록청구의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포함되는 모든 수정, 변형 및 개량을 이에 포함하고자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턴테이블에 형성된 디스크트레이에 디스크가 놓인 상태에서 디스크가 고정 되도록 함으로서, 디스크를 선택하기 위하여 턴테이블이 출입될 때 또는 회전될 때 디스크가 디스크트레이의 정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함으로서, 오동작이 발생되지 않고 디스크의 재생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상부에 모터(402)로 회전되는 턴테이블(300)이 설치되고; 하부에 픽업수단(500)이 형성된 기판(400)과, 상기 턴테이블(300)의 상면에 디스크(200)가 놓이는 디스크트레이(301)가 다수개 형성된 디스크체인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디스크트레이(301)의 중앙에 회전 가능토록 형성된 홀더부재(600)와,
    상기 픽업수단(500)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홀더부재(600)와 맞물려 디스크(20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700)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체인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600)는 디스크트레이(301) 상단에 형성되어 디스크중심공(201)의 내측면을 압박하여 구속하는 다수의 지지편(601)과; 그 하단에 축(602)을 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지지편(601)과 연동하여 회전되는 기어(603)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재(70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701)와; 그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기어(603)와 대응되어 회전되는 다른 기어(702)가 구비되며,
    상기 각 기어(603)(702)는 상호 맞물려 회전되도록 그 측면에 각각 테이퍼부(603a)(702a)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디스크체인저장치.
KR2019960044944U 1996-11-30 1996-11-30 디스크체인저장치 KR2001509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944U KR200150905Y1 (ko) 1996-11-30 1996-11-30 디스크체인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944U KR200150905Y1 (ko) 1996-11-30 1996-11-30 디스크체인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780U KR19980031780U (ko) 1998-08-17
KR200150905Y1 true KR200150905Y1 (ko) 1999-07-15

Family

ID=19476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4944U KR200150905Y1 (ko) 1996-11-30 1996-11-30 디스크체인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90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780U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4448A (en) Disc case
JP2882321B2 (ja) 記録再生装置
JPH0675329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US6388974B1 (en) Recording medium driving apparatus
JP3809786B2 (ja) カートリッジ
KR200150905Y1 (ko) 디스크체인저장치
JP2749703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H0110789Y2 (ko)
KR100518585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
KR200162375Y1 (ko) 디스크 플레이어
KR200178167Y1 (ko) 디스크체인저의 턴테이블장치
JP3736148B2 (ja) 記録再生装置
KR100195617B1 (ko) 광디스크 안착유무 표시기능이 구비된 광디스크 체인저의트레이
KR960003702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
JPH0388170A (ja) マルチディスクプレーヤ
JPH0736246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H082845Y2 (ja) 回転型のディスクオートチェンジャー装置
KR100442351B1 (ko) 디스크 호환가능형 기록재생장치용 디스크 카트리지
JP2526812B2 (ja) ディスクプレ―ヤ
JPS63276750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675330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H0216459Y2 (ko)
JP3933858B2 (ja) ディスク選択式ディスク装置
KR100195611B1 (ko) 광디스크 체인저의 룰렛구조
JPH031909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