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0900Y1 -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티엠아이(tmi)조립체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티엠아이(tmi)조립체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0900Y1
KR200150900Y1 KR2019960044904U KR19960044904U KR200150900Y1 KR 200150900 Y1 KR200150900 Y1 KR 200150900Y1 KR 2019960044904 U KR2019960044904 U KR 2019960044904U KR 19960044904 U KR19960044904 U KR 19960044904U KR 200150900 Y1 KR200150900 Y1 KR 2001509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main chassis
holder
support
t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49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1741U (ko
Inventor
최성권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600449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900Y1/ko
Publication of KR199800317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7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9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9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3Mounting arrangements of constructional parts onto a chassi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2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s, e.g. connectors, cables, switches

Landscapes

  • Mount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he Like (AREA)
  • Mounting Components In General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개선된 티엠아이(TMI) 지지구조를 개시한다. 종래에는 별도로 제작된 브라켓으로 티엠아이 조립체를 파지한 뒤, 이 브라켓을 메인섀시의 지지보스상에 나사로 체결하였으므로 그 제작과 조립이 번잡할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을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메인섀시의 측벽에 형성된 구멍내에 위치되어 일단이 메인섀시에 일체로 연결되며 타단에 티엠아이 조립체의 상단부를 클램핑하는 도그를 가지는 홀더와, 이 홀더의 일단과 메인섀시의 구멍 내단간에 일체로 형성되며 절곡 가능한 연결편을 구비하여 별도의 브라켓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티엠아이 조립체를 메인섀시에 대해 간단하고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티엠아이(TMI)조립체 지지구조
본 고안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ideo cassette recorder:VCR)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티엠아이 조립체(Tuner Modulator IF Modulator assembly)를 메인섀시(main chassis)에 지지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VCR은 자기기록매체인 테이프(tape)를 데크(deck)상의 소정의 주행경로상으로 주행시키면서 영상 및 음성정보를 기록하거나 또는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테이프레코더는 기록재생용 헤드드럼(head drum)을 포함하여 테이프가 권취된 카세트(cassette)가 안착되는 릴테이블(reel table) 및 카세트로부터 테이프를 인출하여 그 주행경로상으로 이동시키는 폴베이스(pole base)등 많은 구성부품들로 이루어진 복잡한 데크 메카니즘(deck mechanism)을 구비한다.
이러한 데크 메카니즘은 회로기판(PCB)을 통해 각 구성부품들이 상호 접속되어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바, 회로기판에는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의 전자회로부품들이 구비된다. 이중 티엠아이 조립체는 크기가 비교적 크면서도 충격에 매우 약한 부품인 바, 이에 따라 VCR의 안정성과 신뢰성 등을 위해서는 티엠아이 조립체의 견고한 지지가 매우 중요하다.
도 1에는 이를 위한 종래 티엠아이 조립체 지지구조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이것은 메인섀시(S)의 측벽에 지지보스(support boss:B)를 형성하고, 회로기판(PCB)상에 조립된 티엠아이 조립체(TMI)의 상부를 브라켓(bracket:K)의 클램프(clamp:C)로 파지한 뒤, 브라켓(K)을 메인섀시(S)의 지지보스(B) 상면에 나사(set screw:W)로 체결함으로써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지지구조는 별도로 제작된 브라켓(K)을 이용하여 나사(W)로 체결하는 구성이므로 부품수 및 조립공수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조립이 번잡하고,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회로기판(PCB)의 동박을 크게 구성하여 지지력을 높이고 있기도 하나, 이 경우 회로기판(PCB)의 패턴(pattern) 선택이 그만큼 제한되는 문제가 야기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들을 감안하여 별도의 브라켓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티엠아이 조립체를 메인섀시에 간단하고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VCR의 티엠아이 조립체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VCR의 티엠아이 조립체 지지구조는, 데크 메카니즘 등의 구성부품이 설치되는 메인섀시와, 이 메인섀시와 데크 사이에 설치되는 회로기판 및 회로기판상에 설치되는 티엠아이 조립체 등을 구비하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 있어서, 메인섀시의 측벽에 형성된 구멍내에 위치되어 일단이 메인섀시에 일체로 연결되며 타단에 티엠아이 조립체의 상단부를 클램핑하는 도그(dog)를 가지는 홀더(holder)와, 이 홀더의 일단과 메인섀시의 구멍 내단간에 일체로 형성되며 절곡 가능한 연결편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도그의 두 핑거(finger) 내면에 티엠아이 조립체의 걸림홈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걸리는 걸림돌기가 각각 형성되어 티엠아이 조립체의 지지력을 향상시킨다.
본 고안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메인섀시의 측벽에 상면에 나사구멍을 가지는 지지보스가 형성되고, 홀더의 고정단측에 지지보스의 나사구멍에 체결되는 나사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연결편이 파단된 경우에도 나사를 통해 티엠아이 조립체를 간단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별도의 브라켓 없이도 티엠아이 조립체를 메인섀시에 간단하고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므로 VCR의 제작과 조립성 향상 및 원가절감 등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지지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지지구조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지지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지지구조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홀더(holder)1a: 관통구멍
2: 도그(dog)3: 핑거(finger)
4: 걸림돌기5: 연결편
6: 지지돌기7: 지지보스(支持boss)
7a: 나사구멍7b: 지지홈
8: 나사TMI: 티엠아이 조립체
G: 걸림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VCR의 티엠아이 조립체 지지구조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서, 본 고안에 의한 VCR의 티엠아이 조립체 지지구조는 메인섀시(S)의 측벽에 형성된 구멍(H)내에 회로기판(PCB)상에 조립된 티엠아이 조립체(TMI)를 메인섀시(S)에 지지하는 홀더(1)가 구비된다.
홀더(1)는 그 일단과 메인섀시(S)의 구멍(H) 내단간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편(5)에 의해 메인섀시(S)와 일체로 구성된다. 연결편(5)은 홀더(1)가 회로기판(PCB)상에 수직으로 설치된 티엠아이 조립체(TMI)를 클램핑 할 수 있도록 절곡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연결편(5)은 충분히 절곡될 수 있도록 적절한 폭을 가지며, 메인섀시(S)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홀더(1)의 타단측에는 티엠아이 조립체(TMI)의 상단부를 클램핑하는 도그(2)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 도그(2)의 두 핑거(3) 내면에는 바람직하기로 티엠아이 조립체(TMI)의 걸림홈(G)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걸림으로써 이탈없이 티엠아이 조립체(TMI)를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한 걸림돌기(4)가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홀더(1)로 티엠아이 조립체(TMI)를 지지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1)를 메인섀시(S)의 내측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연결편(5)이 접혀지면서 홀더(1)가 메인섀시(S)의 측벽에 대해 대략 직교하도록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홀더(1)를 다시 초기 방향으로 약간 회전시키면 도 4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도그(2)가 회로기판(PCB)상에 조립된 티엠아이 조립체(TMI)의 상단부를 삽입하게 된다.
이어서, 홀더(1)를 더 눌러 주면 도그(2)의 두 핑거(3)가 그 걸림돌기(4)들에 의해 외측 방향으로 탄성변형된 후 복원됨으로써 각 걸림돌기(4)들이 티엠아이 조립체(TMI)의 걸림홈(G)에 끼워져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메이섀시(S)에 대한 티엠아이 조립체(TMI)의 지지가 완료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별도의 브라켓이나 나사 등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메인섀시(S)에 일체로 구성된 홀더(1)에 의해 티엠아이 조립체(TMI)를 간단하고 안정되게 메인섀시(S)에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에서 메인섀시(S)의 측벽에 그 상면에 나사구멍(7a)을 가지는 지지보스(7)를 더 구비하고, 홀더(1)의 고정단측에 지지보스(7)의 나사구멍(7a)에 체결되는 나사(8)가 관통하는 관통구멍(1a)이 더 형성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의 실시예는 자칫 발생할 수도 있는 연결편(5)이 파단된 경우에 별도의 지지구 없이도 파단된 절단된 홀더(1)를 이용하여 티엠아이 조립체(TMI)를 메인섀시(S)에 대해 간단하고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충격등 외부적 용인에 의해 홀더(1)를 메인섀시(S)에 연결하는 연결편(5)이 절단된 경우, 우선 절단된 홀더(1)를 그 도그(2)를 통해 티엠아이 조립체(TMI)에 결합한 뒤 그 관통구멍(1a)을 메인섀시(S) 지지보스(7)의 나사구멍(7a)에 일치시켜 나사(8)로 체결함으로써 티엠아이 조립체(TMI)를 다시 메인섀시(S)에 지지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 홀더(1)가 나사(8)에 의해서만 지탱되므로 자칫 유동이 발생될 우려가 매우 많다. 이에 따라 바람직하기로는 지지보스(7)의 나사구멍(7a) 둘레에 지지홈(7b)이 형성되고, 홀더(1)의 관통구멍(1a) 둘레에 지지보스(7)의 나사구멍(7a)에 삽입되는 지지돌기(6)가 구비되어 홀더(1)를 메인섀시(S)에 대해 유동없이 안정되게 지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티엠아이 조립체를 클램핑하는 홀더가 메인섀시와 일체로 구성되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브라켓을 구비하지 않고서도 티엠아이 조립체를 메인섀시에 간단하고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 비해 제작이 훨씬 간단해 질 뿐 아니라 조립공수도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VCR의 제작 및 조립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제조원가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데크 메카니즘 등의 구성부품이 설치되는 메인섀시와, 상기 메인섀시와 데크 사이에 설치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상에 설치되는 티엠아이 조립체 등을 구비하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 있어서,
    상기 메인섀시(S)의 측벽에 형성된 구멍(H)내에 위치되어 일단이 상기 메인섀시(S)에 일체로 연결되며 타단에 상기 티엠아이 조립체(TMI)의 상단부를 클램핑하는 도그(2)를 가지는 홀더(1)와,
    상기 홀더(1)의 일단과 상기 메인섀시(S)의 구멍(H) 내단간에 일체로 형성되며 절곡 가능한 연결편(5)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티엠아이 조립체 지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그(2)의 두 핑거(3) 내면에 상기 티엠아이 조립체(TMI)의 걸림홈(G)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걸리는 걸림돌기(4)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티엠아이 조립체 지지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섀시(S)의 측벽에 상면에 나사구멍(7a)을 가지는 지지보스(7)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1)의 고정단측에 상기 지지보스(7)의 나사구멍(7a)에 체결되는 나사(8)가 관통하는 관통구멍(1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티엠아이 조립체 지지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보스(7)의 나사구멍(7a) 둘레에 지지홈(7b)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1)에 상기 지지보스(7)의 지지홈(7b)에 삽입되는 지지돌기(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티엠아이 조립체 지지구조.
KR2019960044904U 1996-11-30 1996-11-30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티엠아이(tmi)조립체 지지구조 KR2001509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904U KR200150900Y1 (ko) 1996-11-30 1996-11-30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티엠아이(tmi)조립체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904U KR200150900Y1 (ko) 1996-11-30 1996-11-30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티엠아이(tmi)조립체 지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741U KR19980031741U (ko) 1998-08-17
KR200150900Y1 true KR200150900Y1 (ko) 1999-07-15

Family

ID=19476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4904U KR200150900Y1 (ko) 1996-11-30 1996-11-30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티엠아이(tmi)조립체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90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741U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0900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티엠아이(tmi)조립체 지지구조
US6882498B2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device
JP3456246B2 (ja) 樹脂シャーシを使用した磁気記録再生装置
JP3059650B2 (ja) ビデオカセットレコーダーのマグネチックイレージングヘッド
KR900006057Y1 (ko) 자기헤드의 차폐커버 부착체
JPH05165049A (ja) 液晶表示装置
JPS6029188Y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半田付け構造
KR19980031757U (ko) 테이프 레코더의 데크 조립구조
KR0125839Y1 (ko) 지지용 지지프레임 구조
KR200147774Y1 (ko) Mic스위치가설치된디지탈비디오카세트레코더
JP2003115355A (ja) 本体へ挿脱される記憶媒体の本体への電気接続構造
KR920000290Y1 (ko) 자기헤드용 시일드 케이스
JPH10112589A (ja) 基板ホルダー及び当該基板ホルダーを利用した配線基板取付構造
KR0126445Y1 (ko) 테이프 레코더의 프론트 브래킷 조립구조
KR19990013589U (ko) 테이프 레코더용 폴 베이스 안착구조
KR100200596B1 (ko) 자기 기록 재생 장치
JPH0356956Y2 (ko)
JP2870150B2 (ja) 磁気ヘッドの製造方法
JPH0564280A (ja) スピーカ接続装置
JPS62162399A (ja) 電子部品用収納ケ−ス及び電子部品の装着方法
KR0111686Y1 (ko) A/v기기 신호단자 어댑터
JPH0525270Y2 (ko)
JPH07272782A (ja) 電気部品の取付け機構
KR19980031756U (ko) 테이프 레코더 조립구조
JPH052505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