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0800Y1 - 전기부품의 회로기판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전기부품의 회로기판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0800Y1
KR200150800Y1 KR2019950010361U KR19950010361U KR200150800Y1 KR 200150800 Y1 KR200150800 Y1 KR 200150800Y1 KR 2019950010361 U KR2019950010361 U KR 2019950010361U KR 19950010361 U KR19950010361 U KR 19950010361U KR 200150800 Y1 KR200150800 Y1 KR 2001508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assembly
fixing jaw
assembled
connect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03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9041U (ko
Inventor
방용웅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500103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800Y1/ko
Publication of KR9600390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90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8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8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체가 회로기관에 조립되는 전기부품의 회로기관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이상의 결합공이 형성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회로기판의 결합공을 통과하여 상기 회로기판에 조립되는 접속핀이 구비된 조립체로 이루어진 전기부품의 회로기판 조립구조에 있어서 : 상기 접속핀이 상기 회로기판의 결합공에 삽입될 경우 상기 조립체가 상기 회로기판으로부터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과 면접촉되며 하측이 급격하게 수평으로 확장되어 형성된 제1고정턱과 : 상기 제1고정턱이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과 면접촉되어 상기 접속핀이 상기 회로기판에 조립될 경우 상기 접속핀이 들뜸이 없이 상기 회로기관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제1고정턱으로부터 상기 회로기판의 두께와 대체로 동일한 하부에 상기 제1고정턱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결합공을 원활하게 통과하도록 하부가 완만한 경사를 갖고 상부가 수평으로 확장된 제2고정턱으로 이루어진 전기부품의 회로기판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접속핀에 제1고정턱 및 제2고정턱이 형성되므로써 별도의 도구나 치구를 사용함이 없이 조립체를 회로기판으로부터 일정간격을 유지되도록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조립체를 회로기판에 조립한 후에는 조립체 및 접속핀이 유동됨이 없게 되므로써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키고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키며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불량률을 저하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부품의 회로기판 조립구조
본 고안은 조립체가 회로기판에 조립되는 전기부품의 회로기판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체를 회로기판에 조립시킬 경우 조립체와 회로기판이 일정간격으로 유지되도록 함과동시에 조립체의 접속핀이 회로기판으로부터 들뜸이 없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부품의 회로기판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 다이오드, 저항소자, 트랜지스터 등의 존기부품 조립체를 회로기판에 고정 장착시키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상의 회로기판(20)의 상부에는 조립체(10)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조립된다. 상기 조립체(10)와 상기 회로기판(20)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게 위하여 상기 조립체(10)와 상기 회로기판(20)의 사이에는 접속핀(11)이 설치되는데, 상기 접속핀(11)의 상기 접속핀(11)의 상단은 상기 조립체(10)의 하면에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접속핀(11)의 하부는 상기 회로기판(20)을 관통하여 상기회로기판(20)의 하측까지 연장설치되어 상기 조립체(10)를 상기 회로기판(20)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조립체(10)와 상기 회로기판(20)사이의 접속핀(11)애는 상기 조립체(10)와 상기 회로기판(20)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고정지지대(1)가 설치되고, 상기 회로기판(20)의 하측면과 상기 핀(11)의 접촉부위는 납땜(2)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전기부품의 회로기판 조립구조는, 상기 회로기판(20)에 조립되는 상기 조립체(10)중 자동삽입기를 이용할 수 있는 부품은 상기 회로기판(20)과 일정간 거리를 유지하면서 조립할 수 있으나,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상기 조립체(10)를 상기 회로기판(20)에 조립될 경우 상기 조립체(10)를 상기 회로기판(20)으로부터 일정 거리가 유지되도록 상기 고정지지대(1)가 소요되므로써 부품이 추가되는 것은 물론이고 제조시에 제조공정의 증대로 제조코스트가 증대되고 생산성이 저하되게 된다.
또, 상기 접속핀(11)과 상기 회로기판(20)을 남땜할 경우 상기 접속핀(11)이 상기 회로기판(20)에 고정되지 못해 상기 접속핀(11)이 들뜬 상태에서 남땜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상기 회로기판(20)과 상기 조립체(10)를 일정간격으로 유지시키지 못해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고 불량률이 높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기부품의 회로기판 조립구조의 예로써는 일본국에서 실용신안공개된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소61-151372호 미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소 63-16478호가 있다.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소61-151372호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형상전자부품본체(1a) 의 양단부에 프린트기판(2)에 남땜부착된 단자(1b)가 돌출된 봉형상전자부품(1)을, 상기 프린트기판(2)에 취부할 경우 상기 봉형상전자부품본체(1b)를 상기 프린트기판(2)으로부터 이간한 위치로 유지시키는 봉형상전자부품홀더에 있어서, 상기 봉형상전자부품본체(1a)와 대체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서 상기 본체(1a)를 지지하는소(12b)가 형성된 본체지지부(12)와, 상기 본체지지부(12)의 길이방향의 양단부로 연결되어서 상기 프린트기판(2)에 당접하는 다리부(13)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지지부(12)에는 상기 봉형상전자부품본체(1b)를 상기소(12b)에 수납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1a)와 계합해서 수납상태를 지지하는 계합돌부(12c)를 상기소(12b)내에 돌설하며, 한편 당접판부(13a)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당접판부(13a)에 상기 봉형상전자부품(1)의 단자(1b)가 삽통공(13b)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일본국 실개소 61-151372호는 상기 봉형상전자부품(1)을 프린트기판(2)에 취부할 경우 봉형상전자부품본체(1a)와 상기 프린트기판(2)이 일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소(12b) 및 계합돌기(12c)가 형성된 본체지지부(12)와, 당접판(13a) alc 삽통공(13b)이 구비된 다리부(13)로 이루어진 별도의 치구를 사용하여야 하므로써 제작시에 제조공수가 과다하게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되고, 이로 인한 제조코스트가 상승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일본국 실개소 63-16478호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항, 콘덴서, 반도체소자 등의 소자(2')로부터 리드선(3')이 도출되며, 상기 리드선(3')의 도출부(3A')로부터 포밍부(5')를 향해서 대체로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고, 또 상기 포밍부(5')는 내측으로 대체로 직각으로 절곡되며, 더욱이 상기 포밍부(5')로부터 상기 리드선(3')의 선단부(3B')까지는 서로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드선(3')을 테핑용대지와 접착테프와 협착해서 복수개의 회로부품을 일련화한 테핑회로부품에 있어서, 프린트배선판(1')에 상기 회로부품을 탑재할 경우, 상기 프린트 배선판(1')의 취부면(1A')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3')의 도출부(3A')와 상기 포밍부(5')의 사이에 계지부(5A')를 형성시킴과 동시에, 상기 프린트배선판(1')의 남땜면(1B')에 있어서 상기 계지부(5A')의 절곡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상기 리드선(3')을 절곡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일본국 실개소 63-16478호는, 제3도의 상태에서 상기 리드선(3')의 선단부(3B')를 상기 프린트배선판(1')의 구멍에 삽입시켜서 상기 리드선(3')의 포밍부(5')가 상기 프린트배선판(1')의 취부면(1A')에 접하도록 한 상기 리드선(3')을 상기 계지부(5A')의 절곡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절곡시키게 된다.
즉, 종래의 일본국 실개소 63-16478호는 리드선(3')을 프린트배선판(1')에 삽입시킨 후 그 단부를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절곡시켜야 하므로써 작업시에 작업공정의 증대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고 이로인해 제조코스트가 상승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도구 혹은 치구를 사용함이 없이 조립체를 회로기판에 유동됨이 없이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하여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조립시 불량률을 저하시킬 수 있는 전기부품의 회로기판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전기부품의 회로기판 조립구조는, 하나이상의 결합공이 형성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회로기판의 결합공을 통과하여 상기 회로기판에 조립되는 접속핀이 구비된 조립체로 이루어진 전기부품의 회로기판 조립구조에 있어서 : 상기 접속핀이 상기 회로기판의 결합공에 삽입될 경우 상기 조립체가 상기 회로기판으로부터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과 면접촉되며 하측이 급격하게 수평으로 확장되어 형성된 제1고정턱과 : 상기 제1고정턱이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과 면접촉되어 상기 접속핀이 상기 회로기판에 조립될 경우 상기 접속핀이 들뜸이 없이 상기 회로기판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제1고정턱으로부터 상기 회로기판의 두께와 대체로 동일한 하부에 상기 제1고정턱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결합공을 원활하게 통과하도록 하부가 완만한 경사를 갖고 상부가 수평으로 확장된 제2고정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전기부품의 회로기판 조립구조에 의하면, 접속핀에 제1고정턱 및 제2고정턱이 형성되므로써 별도의 도구나 치구를 사용함이 없이 조립체를 회로기판으로부터 일정간격을 유지되도록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조립체를 회로기판에 조립한후에는 조립체 및 접속핀이 유동됨이 없게 되므로써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키고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키며 제품의 향상시키고 제품의 불량률을 저하시킬 수 있다.
제1도는 종래예에 적용되는 전기부품의 회로기판 조립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제2도는 종래의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소 61-151372호의 기술사상을 도시한 구성도.
제3도는 종래의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소 63-16478호의 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제4도는 종래의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소 63-16478호의 조립체가 회로기판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전기부품의 회로기판 조립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조립체 11 : 접속핀
20 : 회로기판 21 : 결합공
30 : 고정턱 31 : 제1고정턱
32 : 제2고정턱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전기부품의 회로기판 조립구조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야 상세하게 설명된다.
제5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전기부품의 회로기판 조립구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제5도에 있어서, (20)은 다수개의 결합공(21)이 형성된 회로기판이고, (10)은 상기 회로기판(20)에 조립되도록 다수개의 접속핀(11)이 구비된 조립체이다.
즉, 상기 조립체(10)의 접속핀(11)이 상기 회로기판(20)의 결합공(21)을 통과하여 상기 접속핀(11)이 상기 회로기판(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접속핀(11)에는 상기 접속핀(11)이 상기 회로기판(20)에 조립될 경우 상기 회로기판(20)과 상기 조립체(10)가 일정간격으로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조립체(10)가 들뜸이 없이 고정되도록 고정턱(30)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고정턱(30)은, 상기 회로기판(20)의 두께와 대체로 동일한 두께만큼의 간격으로 이격설치된 제1고정턱(31)과 제2고정턱(32)으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제1고정턱(31)은 상기 조립체(10)와 상기 회로기판(20)의 간격이 일정거리로 이격유지되도록 상기 접속핀(11)의 삽입을 제한하며, 상기 제2고정턱(32)은 상기 접속핀(11)에 형성된 상기 제1고정턱(31)이 상기 회로기판(20)의 상면과 접촉되어 상기 접속핀(11)이 상기 회로기판(20)과 조립될 경우 상기 접속핀(11)이 상측으로 들뜨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고정턱(30)은, 상기 접속핀(11)이 상기 회로기판(20)의 결합공(21)에 삽입될 경우 상기 조립체(10)가 상기 회로기판(20)으로부터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상기 회로기판(20)의 상면과 면접촉되며 하측이 급격하게 수평으로 확장되어 형성된 제1고정턱(31)과, 상기 제1고정턱(31)이 상기회로기판(20)의 상면과 면접촉되어 상기 접속핀(11)이 상기 회로기판(20)에 조립될 경우 상기 접속핀(11) 이 들뜸이 없이 상기 회로기판(20)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1고정턱?(31)으로부터 상기 회로기판(20)의 두께와 대체로 동일한 위치에서 돌출되며 상기 결합공(21)을 원활하게 통과하도록 하부가 완만한 경사를 갖고 상부가 수평으로 확장된 제2고정턱(32)으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제1고정턱(31)과 상기 제2고정턱(32)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전기부품의 회로기판 조립구조의 조립공정을 설명하면, 상기 접속핀(11)의 하단을 상기 결합공(21)에 일치시킨 후 상기 조립체(10)를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제2고정턱(32)은 상기 결합공(21)을 통과하게 된다.
즉, 상기 제2고정턱(32)은 하측이 완만하게 경사져 형성되므로써 사용자가 상기 접속핀(11)의 하단을 상기 결합공(21)에 일치시킨후 상기 조립체(10)를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누르면 상기 제2고정턱(32)은 ㅅ아기 결합공(21)을 통과하게 되는 것이다.
또, 이와 같이 상기 제2고정턱(32)이 상기 결합공(21)을 통과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조립체(10)의 하부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제1고정턱(31)이 상기 회로기판(20)의 경합공(21)을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제1고정턱(31)의 하면과 상기 회로기판(20)의 상면과 면접촉되게 된다.
즉, 상기 제1고정턱(31)은 상기 제2고정턱(32)과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므로써 상기 제2고정턱(32)이 상기 결합공(21)을 통과한 후 상기 조립체(10)의 하부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제1고정턱(31)이 상기 회로기판(20)의 상면과 면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제2고정턱(32)이 상기 회로기판(20)의 하면과 면접촉되게 되어 상기 접속핀(11)은 상기 회로기판(20)에 유동됨이 없이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조립된 본 고안은 상기 제1고정턱(31)과 상기 제2고정턱(32)사이의 간격이 상기 회로기판(20)의 폭과 대체로 동일하게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접속핀(11)이 상기 회로기판(20)에 조립된 후 상기 제1고정턱(31)의 하측은 상기 회로기판(20)의 상면과 면접촉되고 상기 제2고정턱(32)의 상측은 상기 회로기판(20)의 하면과 면접촉되므로써, 상기 조립체(10)는 상기 회로기판(20)으로부터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유동됨이 없이 조립되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 한 전기부품의 회로기판 조립구조에 의하면, 접속핀 제1고정턱 및 제2고정턱이 형성되므로써 별도의 도구나 치구를 사용함이 없이 조립체를 회로기판으로부터 일정간격을 유지되도록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조립체를 회록디판에 조립한 후에는 조립체 및 접속핀이 유동됨이 없게 되므로 생산성을 보다 향상시키고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키며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불량률을 저하시킬수 있다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하나이상의 결합공(21)이 형성된 회로기판(20)과, 상기 회로기판(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회로기판(20)의 결합공(21)을 통과하여 상기 회로기판(20)에 조립되는 접속핀(11)이 구비된 조립체(10)로 이루어진 전기부품의 회로기판 조립구조에 있어서 : 상기 접속핀(11)이 상기 회로기판(20)의 결합공(21)에 삽입될 경우 상기 조립체(10)가 상기 회로기판(20)으로부터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상기 회로기판(20)의 상면과 면접촉되며 하측이 급격하게 수평으로 확장되어 형성된 제1고정턱(31)과 : 상기 제1고정턱(31)이 상기 회로기판(20)의 상면과 면접촉되어 상기 접속핀(11)이 상기 회로기판(20)에 조립될 경우 상기 접속핀(11)이 들뜸이 없이 상기 회로기판(2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제1고정턱(31)으로부터 상기 회로기판(20)의 두께와 대체로 동일한 하부에 상기 제1고정턱(31)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결합공(21)을 원활하게 통과하도록 하부가 완만한 경사를 갖고 상부가 수평으로 확장된 제2고정턱(3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부품의 회로기판 조립구조.
KR2019950010361U 1995-05-16 1995-05-16 전기부품의 회로기판 조립구조 KR2001508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0361U KR200150800Y1 (ko) 1995-05-16 1995-05-16 전기부품의 회로기판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0361U KR200150800Y1 (ko) 1995-05-16 1995-05-16 전기부품의 회로기판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9041U KR960039041U (ko) 1996-12-18
KR200150800Y1 true KR200150800Y1 (ko) 1999-07-15

Family

ID=19413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0361U KR200150800Y1 (ko) 1995-05-16 1995-05-16 전기부품의 회로기판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80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9041U (ko) 1996-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1859B2 (en) Vertical surface mount assembly and methods
EP0303873A2 (en) Conductive lead arrangement
KR0138885B1 (ko) 전기 커넥터와 이를 이용한 열프린트 헤드(electrical connector and thermal printhead using the same)
GB2168200A (en) Holding device for mounting an electronic component on a printed circuit board
JPH0622111B2 (ja) 基板装着用電球及びその製造方法
EP0583407A1 (en) Integrated circuit packages using tapered spring contact leads for direct mounting to circuit boards
US6510060B2 (en) Electrical subassembly having a holding device and an electrical component fastened thereto
KR200150800Y1 (ko) 전기부품의 회로기판 조립구조
JP2946059B2 (ja) 電子部品の取付装置及び取付方法
JP2809824B2 (ja) 電子部品用ホルダ
JP3022400B2 (ja) 表示灯用表面実装部品
JPH0335595A (ja) プリント配線板の固定具
JP3534360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H0334923Y2 (ko)
JP2577461Y2 (ja) 半導体センサの取り付け装置
JP3296752B2 (ja) 基板どうしの取付け方法及び取付け構造
KR100191165B1 (ko) 티브이의 콘넥터 연결장치
JPS5910777Y2 (ja) 電線固定具
JP2001257443A (ja) 端子ピンを備えた電源
JP2510220Y2 (ja) 電気部品の装着装置
JP2556435Y2 (ja) 放熱板の接地構造
JPH0735297Y2 (ja) リードレス端子電球
JPH0529108U (ja) 表面実装部品用端子
JP2509521Y2 (ja) プリント板への部品取付け構造
WO1999019942A1 (en) Retention clip for an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19980825

Effective date: 19990224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