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0345Y1 - 팩시밀리의 동력절환장치 - Google Patents

팩시밀리의 동력절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0345Y1
KR200150345Y1 KR2019960021552U KR19960021552U KR200150345Y1 KR 200150345 Y1 KR200150345 Y1 KR 200150345Y1 KR 2019960021552 U KR2019960021552 U KR 2019960021552U KR 19960021552 U KR19960021552 U KR 19960021552U KR 200150345 Y1 KR200150345 Y1 KR 2001503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is
roller
switching devic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15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9945U (ko
Inventor
노승오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20199600215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345Y1/ko
Publication of KR9800099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9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3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3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9Using specific components
    • H04N1/00602Feed ro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9Mounting or support of components or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631Ejecting or st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3Facsimil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나의 모터로 팩시밀리의 CIS(Contact Imige Sensor)롤러 및 플래튼롤러의 가동을 가능케하는 팩시밀리의 동력절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구조를 보면 팩시밀리의 양측에 CIS(20), CIS롤러(22), TPH(10) 및 플레튼롤러(12)를 지지하는 프레임(11)의 일측면에 축설되는 구동기어(30)와; 상기 CIS롤러(22)의 축단에 설치되는 CIS롤러기어(24)와; 상기 플래튼롤러(10)의 축단에 설치되는 플래튼롤러기어(12)와; 수신 및 송신신호에 따라 정역회전하는 구동기어(30) 따라 회동하여 상기CIS롤러기어(24)와 맞물려 플래튼롤러기어(14)에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제1절환장치와; 카피명령신호가 주어지면 상기 구동기어(30)의 동력을 CIS롤러기어(24) 쪽으로 전달하는 제2절환장치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팩시밀리의 동력절환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팩시밀리의 동력절환 장치의 구조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팩시밀리에 수신신호가 주어졌을 때의 동력절환 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팩시밀리의 제2절환장치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이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팩시밀리에 송신신호가 주어졌을 때의 동력절환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팩시밀리에 카피신호가 떨어졌을 때의 동력절환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제6도는 제4도 상태에서의 제2동력절환장치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이다.
제7도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력절환장치의 구조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TPH 12 : 플래튼롤러
14 : 플래튼롤러기어 20 : CIS
22 : CIS롤러 24 : CIS롤러기어
30 : 구동기어 40, 50 : 고정기어
42, 52 : 이동기어 44, 54 : 브래킷
46 : 아이들기어 48a, 58a : 고정기어 축
48b, 58b : 이동기어 축 56 : 고정홈
60 : 솔레노이드 62 : 레버
64 : 힌지 66 : 고리부
본 고안은 팩시밀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게하게는 하나의 모터로 팩시밀리의 CIS(Contact Imige Sensor)롤러 및 플래튼롤러의 가동을 가능케하는 팩시밀리의 동력절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팩시밀리는 문자, 그림 및 사진을 전기적으로 송수(送受)하는 것으로 크게 송신장치와 수신장치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송신장치에는 원고를 스캐닝하여 전기적신호로 변환시킨 CIS가 있고, 수신장치에는 전기적 신호로 수신된 메시지를 기록지에 출력시키는 TPH(Thermal Print Head)가 설치되어 있으며, CIS에는 원고를 이송시키는 CIS롤러가 한조로 설치되고, TPH에는 기록지를 이송시키는 플래튼롤러가 한조로 설치된다.
따라서 원고대에 원고를 올려놓은 후 신호를 주면 CIS롤러가 작동하여 원고를 CIS스캐닝부로 밀착시키면서 이송시키며, 수신신호가 주어지면 플래튼롤러가 기록지를 TPH에 밀착시키면서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와 같은 작동은 송신신호 수신신호 및 카피(Copy)신호에 따라 CIS롤러와 플래튼롤러가 각각 개별적으로 동작하거나 또는 함께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CIS롤러 및 플래튼롤러를 개별적으로 작동가능하도록 모터가 각각 구비되며, 그에 따른 고가의 모터를 비롯하여 동력전달장치들이 필요하게 되므로 부품수가 늘어나고 팩시밀리의 부피가 커지게 되며, 부품비가 많이 필요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모터로 CIS 및 플래튼롤러를 송신, 수신 및 카피(Copy)명령에 따라 개별적 또는 함께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팩시밀리의 동력절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고가의 모터를 하나로하여 부품수 및 부품비를 줄이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팩시밀리의 양측에 CIS, CIS롤러, TPH 및 플레튼롤러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일측면에 축설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CIS롤러의 축단에 설치되는 CIS롤러기어와; 상기 플래튼롤러의 축단에 설치되는 플래튼롤러기어와; 수신 및 송신 신호에 따라 정역회전하는 구동기어 따라 회동하여 상기 CIS롤러기어와 맞물려 플래튼롤러기어에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제1절환장치와; 카피명령신호가 주어지면 상기 구동기어의 동력을 CIS롤러기어 쪽으로 전달하는 제2절환장치가 구비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팩시밀리의 동력절한 장치의 구조도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10은 수신된 메시지를 출력하는 TPH로서, 그 하부에는 플레튼롤러(12)가 밀착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TPH(10)의 하방 이측에는 원고의 내용을 스캐닝하는 CIS(20)가 설치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CIS롤러(22)가 밀착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플래튼롤러(12) 및 CIS롤러(22)의 축 일측단에는 플래튼롤러기어(14) 및 CIS롤러기어(2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참조번호 30은 송신 및 수신신호에 따라 정역회전을 하는 구동기어로서, 구동기어(30)에는 CIS롤러(22)와 플래튼롤러(12)에 선택적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1절환장치와, 카피신호에만 CIS롤러기어(24)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절환장치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참조번호 11은 상기와 같은 장치를 지지하는 팩시밀리의 프레임이다.
상기 제1절환장치는 구동기어(30)에 맞물리는 고정기어(40)와; 상기 고정기어(40)와 맞물리는 이동기어(42)로 구성되는데, 상기 고정기어 축(48a)와 이동기어 축(48b)은 브래킷(44)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2절환장치는 구동기어(30)와 맞물리는 고정기어(50)와; 상기 고정기어(50)와 맞물리는 이동기어(52)와; 중간부위에 고정홈(56)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기어 축(58a)과 이동기어 축(58b)을 연결하는 브래킷(54)과; 카피신호가 떨어지기 전에는 이동기어(52)가 회동하지 못하도록 제2브래킷(54)을 쇄정하는 고정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장치는 제3도에서와 같이 끝단이 절곡되어 제2브래킷(54)의 고정홈(56)에 삽입되는 고리부(66)를 갖고 중간부에 구비된 힌지(64)에 의해 시이소운동하는 레버(62)와; 상기 힌지(64)에 끼워져 일측단은 프레임(11)에 탄지되고 타단은 레버(64)의 내측면에 탄지되어 레버(64)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69)과; 카피신호가 주어지면 레버(62)의 단부를 밀어주는 솔레노이드(6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본 고안의 작동 및 그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로부터 메시지를 수신받으면 도면에 도시생략된 모터가 회전하여 구동기어(30)를 제2도에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구동기어(30)와 맞물려 있는 제1절환장치의 고정기어(40)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동기어(42)는 시계방향으로 되전하게 된다. 이때, 이동기어 축(48b)이 구동기어 축(48a)과 브래킷(44)로 연결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구동기어(30)가 회전하게 되면 브래킷(44)이 구동기어(30)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동에 의해 상기 이동기어(42)는 구동기어(30)의 주위를 시계반대방향으로 공전하게 되고, 결국에는 플래튼롤러기어(14)와 맞물리게 되므로 플래튼롤러(12)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기록지를 이송시킨다.
이와 동시에 구동기어(30)와 맞물려 있는 제2절환장치는 아이들기어(46)와 고정기어(50) 및 이동기어(52)로 동력이 전달되지만 제3도에서와 같이 레버(62)가 스프링(69)의 탄성력에 의해 회동하여 그 끝단의 고리부(66)가 고정기어 축(58a)과 이동기어 축(58b)을 연결하는 브래킷(54)의 고정홈(56)에 삽입되어 있어 상기 이동기어(52)가 CIS롤러기어(24)와 이격되어 있으므로 동력이 전달되지 않아 CIS롤러(22)는 작동하지 않는다.
한편, 송신신호가 주어지게 되면 도면에 도시생략된 모터가 구동기어(30)를 제4도에서와 같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구동기어(30)와 맞물려 있는 제1절환장치의 고정기어(4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고정기어(40)와 맞물려 있는 이동기어(42)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브래킷(44)은 고정기어(40)의 회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이동기어(42)는 시계방향으로 고정기어(40)의 둘레를 공전하게 되며, 결국은 하부의 CIS롤러기어(24)와 맞물리게 되어 플레튼롤러(12)로 전달되는 동력이 차단되고 CIS롤러(22)로 동력이 전달되므로 상기 CIS롤러기어(24)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원고를 이송하게 되고 CIS는 원고를 스케닝하게 된다.
이때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절환장치는 고정장치에 의해 CIS(20)로 동력전달을 하지못하는 상태로 있게 된다.
한편, 팩시밀리를 통해 원로를 카피하고자 할 때에는 플래튼롤러(12) 및 CIS롤러(22)를 회전시켜야 한다. 이때에는, 도5에서와 같이 구동기어(30)시계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제6도에서와 같이 제2절환장치의 솔레노이드(60)를 작동시켜 레버(62)의 일단을 당기게 되면 레버(62)는 힌지(64)를 축으로 회동하여 브래킷(54)의 고정홈(56)에 걸려있는 레버(62)의 고리부(66)가 빠지게 되어 이동기어(52)를 자유롭게 한다.
이와 같은 작동에 연동되어 구동기어(30)와 맞물려 있는 제1절환장치의 고정기어(4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동기어(4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브래킷(44)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고정기어(40)의 둘레를 공전하여 플래튼롤러기어(14)에 맞물려 플래튼롤러(12)를 회전시킨다.
또한 제2절환장치는 구동기어(30)와 맞물려 있는 고정기어(5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동기어(5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브래킷(54)에 의해 고정기어(50)의 둘레를 반시계방향으로 공전하여 CIS롤러기어(24)와 맞물리게 됨과 동시에 CIS롤러기어(24)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원고를 CIS(20)로 이송시킨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원고의 스캐닝작동과 기록지의 출력작동을 동시에 실시하므로 원하는 원고를 용이하게 카피할 수 있다.
제7도는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절환장치의 고정기어(40)와 제2절환장치의 고정기어(50)의 사이에 아이들기어(46)를 개재시켜 제1절환장치의 고정기어(50)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한 것이다.
즉, 구동기어(30)와 CIS롤러기어(24)의 거리가 멀러서 제2절환장치의 구동기어(30)와 이동기어(52)로는 동력을 전달시킬 수 없을 경우에 적용되는 것으로, CIS롤러(22)와 좀더 가까운 상기 제1절환장치의 고정기어(40)에 전달된 동력을 이용하기 위한 구조이며, 제1절환장치의 구동기어(30)에 연결되어 회전방향이 바뀐 것을 바로 잡기 위해 제1절환장치의 구동기어(30)와 제2절환장치의 고정기어(50)의 사이에 아이들기어(46)를 설치하였다.
따라서, 제2절환장치의 작동은 동일하되 구동기어(30)와 CIS롤러기어(24)와의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아이들기어(46)에 의해 용이하게 좁힐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동하는 절환장치에 의해 하나의 모터로 플래튼롤러 및 CIS롤러를 송수신 및 카피신호에 따른 작동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며, 아울러 고가의 모터가 하나로 줄어들게 됨에 따라 부품비용의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팩시밀리의 동력절환장치는 오직 예시적인 목적으로 설명한것일 뿐 당해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명세서를 기초로 다양한 변형예와 응용예를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나 응용예들은 본 고안자가 의도하는 진정한 의미의 기술적 사랑과 범주 및 이하에서 규정하는 실요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밝혀 둔다.

Claims (4)

  1. 팩시밀리의 양측에 CIS(20), CIS롤러(22), TPH(10) 및 플레튼롤러(12)를 지지하는 프레임(11)의 일측면에 축설되는 구동기어(30)와; 상기 CIS롤러(22)의 축단에 설치되는 CIS롤러기어(24)와; 상기 플래튼롤러(10)의 축단에 설치되는 플래튼롤러기어(12)와; 수신 및 송신 신호에 따라 정역회전하는 구동기어(30) 따라 회동하여 상기 CIS롤러기어(24)와 맞물려 플래튼롤러기어(14)에 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제1절환장치와; 카피명령신호가 주어지면 상기 구동기어(30)의 동력을 CIS,롤러기어(24) 쪽으로 전달하는 제2절환장치가 구비되어 구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동력절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환장치는 구동기어(30)에 맞물리도록 프레임(11)에 축설되는 고정기어(40)와; 상기 고정기어(40)와 맞물려 고정기어(40)의 둘레를 공전하는 이동기어(42)와; 상기 고정기어 축(48a)과 이동기어 축(48b)을 연결하는 브래킷(4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동력절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2절환장치는 구동기어(30)와 맞물리도록 프레임(11)에 축설되는 아이들기어(46)와; 상기 프레임(11)에 축설되면서 아이들기어(46)와 맞물리는 고정기어(50)와; 상기 고정기어(50)와 맞물려 고정기어(50)를 공전하는 이동기어(52)와; 중간부위에 고정홈(56)이 형성된 구조로 상기 고정기어 축(58a)과 이동기어 축(58b)을 연결하는 브래킷(54)과; 카피신호가 떨어지기 전에는 이동기어(52)가 회동하지 못하도록 제2브래킷(54)을 쇄정하는 고정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동력절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끝단이 절곡되어 제2브래킷(54)의 고정홈(56)에 삽입되는 고리부(66)를 갖고 중간부에 구비된 힌지(64)에 의해 시이소운동하는 레버(62)와; 상기 레버의 힌지(64)에 끼워져 일측단은 프레임(11)에 타측단은 레버(64)의 내측면을 탄지하는 스프링(69)과; 프레임(11)에 고정설치되어 카피신호가 주어지면 레버(62)의 고리부(66)를 제2브래킷(54)의 고정홈(56)으로부터 해지시키는 솔레노이드(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동력절환장치.
KR2019960021552U 1996-07-22 1996-07-22 팩시밀리의 동력절환장치 KR2001503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1552U KR200150345Y1 (ko) 1996-07-22 1996-07-22 팩시밀리의 동력절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1552U KR200150345Y1 (ko) 1996-07-22 1996-07-22 팩시밀리의 동력절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945U KR980009945U (ko) 1998-04-30
KR200150345Y1 true KR200150345Y1 (ko) 1999-07-01

Family

ID=19461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1552U KR200150345Y1 (ko) 1996-07-22 1996-07-22 팩시밀리의 동력절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3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052B1 (ko) * 2001-01-29 2003-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정보처리기의 원고 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052B1 (ko) * 2001-01-29 2003-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정보처리기의 원고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945U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4696A (en) Single motor driving device of a facsimile system
JPH0789638B2 (ja) ファクシミリの紙送り装置
KR980007455A (ko) 원고 이송 구동장치
KR200150345Y1 (ko) 팩시밀리의 동력절환장치
US5867283A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ion/reception/duplication positions in facsimile system
KR100244718B1 (ko) 팩시밀리 구동장치
KR100229764B1 (ko) 팩시밀리의 구동장치
JPS6124865B2 (ko)
KR100260637B1 (ko) 팩시밀리구동장치
JP3208309B2 (ja) 駆動装置
KR100475655B1 (ko) 팩시밀리의 원모터 구동장치
KR100269658B1 (ko) 팩시밀리의 구동장치
KR100269659B1 (ko) 팩시밀리의 구동장치
KR0120922Y1 (ko) 팩시밀리 송수신장치
KR100194475B1 (ko) 팩시밀리의 동력전달장치
KR100260636B1 (ko) 원모터를이용한팩시밀리의구동장치
KR100248980B1 (ko) 양면 인쇄용 팩시밀리의 기록용지 이송장치
KR950009595B1 (ko) 팩시밀리장치
KR200363253Y1 (ko) 복합기의 동력전달장치
KR960008007Y1 (ko) 팩시밀리 구동장치
KR0153383B1 (ko) 팩시밀리의 원모터 구동장치
JP2908065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00235861B1 (ko) 송신부에 잠금장치가 구비된 팩시밀리
JP3064485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200276471Y1 (ko) 스캔 유닛의 원고전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