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4475B1 - 팩시밀리의 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팩시밀리의 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4475B1
KR100194475B1 KR1019960068176A KR19960068176A KR100194475B1 KR 100194475 B1 KR100194475 B1 KR 100194475B1 KR 1019960068176 A KR1019960068176 A KR 1019960068176A KR 19960068176 A KR19960068176 A KR 19960068176A KR 100194475 B1 KR100194475 B1 KR 100194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am
drive gear
roller
facsim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8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9462A (ko
Inventor
남동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68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4475B1/ko
Publication of KR19980049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9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4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4475B1/ko

Links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1 모터/1 롤러의 구동 메카니즘(mechanism)에서 일방향 클러치(one-way clutch)를 이용하여 캠을 구동시켜 팩시밀리의 송신, 수신, 복사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팩시밀리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캠 구동축에서 롤러 구동축(또는 롤러 구동축에서 캠 구동축)으로 동력이 전달시에 동력전달 시간을 단축시켜 팩시밀리의 송신, 수신, 복사시에 고해상도의 화상을 형성시킬 수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의 팩시밀리의 동력전달장치는 스텝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아이들기어 및 제2 아이들기어와, 상기 제2 아이들기어와 맞물려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방향에 따라 송신, 수신, 복사 기능을 구분하기 위해 캠을 구동시키는 제1 일방향클러치가 설치된 캠 구동기어와, 상기 캠 구동기어와 맞물려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방향에 따라 원고 또는 용지를 이송시키기 위해 롤러를 구동시키는 제2 일방향클러치가 설치된 롤러 구동기어로 구성되어 있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팩시밀리, 복합기.

Description

팩시밀리의 동력전달장치.
본 발명은 복합기, 팩시밀리 등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1 모터/1 롤러의 구동 메카니즘(mechanism)에서 일방향 클러치(one-way clutch)를 이용하여 캠을 구동시켜 팩시밀리의 송신, 수신, 복사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팩시밀리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팩시밀리의 1 모터/1 롤러 구동 메카니즘(mechanism)은 스텝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캠 또는 롤러가 서로 달리 구동되었다. 즉, 팩시밀리의 송신, 수신, 복사 기능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텝모터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캠을 구동시켜 접점이미지센서 또는 감열기록헤드와 롤러 사이를 적절히 착탈시키며, 원고 또는 용지를 이송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텝모터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캠은 정지시키고 롤러를 구동시켜 상기 용지 또는 원고를 이송시켰다. 이때, 상기 캠(cam) 및 롤러(roller)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 1과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단기어로 형성된 스윙기어(swing gear)를 이용하여 동전달장치를 구성하였다.
즉, 상기 종래의 동력전달장치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24)와, 상기 구동기어(24)의 일측면에는 제1 아이들기어(22)가 맞물려 있으며, 상기 제1 아이들기어(22)의 일측면에는 제2 아이들기어(18)가 맞물려 있다. 상기 제2 아이들기어(18)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기어(24)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텝모터의 회전력을 캠 또는 롤러에 전달하는 2단기어의 스윙기어(5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스윙기어(50)는 제2 아이들기어(18)와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기어(52)와 상기 구동기어(24)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1 캠구동기어(56)와 제1 롤러구동기어(60)에 각각 맞물렸다, 떨어졌다 하면서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기어(54)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윙기어(50)의 일측 상부에는 팩시밀리의 송신, 수신, 복사 기능을 구분하기 위해 캠을 구동시키는 제1 캠구동기어(56)가 설치되며, 상기 제1 캠구동기어(56)의 일측면에는 제2 캠구동기어(58)가 맞물려 있다. 또한, 상기 스윙기어(50)의 일측 하부에는 원고 또는 용지를 이송시키기 위해 롤러를 구동시키는 제1 롤러구동기어(60)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롤러구동기어(60)의 일측면에는 제2 롤러구동기어(62)가 맞물려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서, 첫번째로 팩시밀리의 송신, 수신, 복사 기능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어(24)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텝모터의 회전력을 제1 아이들기어(22)에 전달하고, 상기 제1 아이들기어(22)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력을 제2 아이들기어(18)에 전달한다. 그후, 상기 제2 아이들기어(18)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력을 스윙기어(50)의 제1기어(52)에 전달한다. 그후, 상기 제1기어(52)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2기어(54)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캠구동기어(56)와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어서, 상기 제1 캠구동기어(56)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텝모터의 회전력을 제2 캠구동기어(58)에 전달한다. 그후, 상기 제2 캠구동기어(58)는 스텝모터의 회전력을 도시하지 않은 캠에 전달하므로서 접점이미지센서 또는 감열기록헤드와 롤러 사이를 적절히 착탈시킨다.
두번째로, 원고 또는 용지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롤러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구동기어(24)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텝모터의 회전력을 제1 아이들기어(22)에 전달하고, 상기 제1 아이들기어(2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력을 제2 아이들기어(18)에 전달한다. 그후, 상기 제2 아이들기어(18)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력을 스윙기어(50)의 제1기어(52)에 전달한다. 그후, 상기 제1기어(52)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2기어(54)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롤러구동기어(60)와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어서, 상기 제1 롤러구동기어(6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텝모터의 회전력을 제2 롤러구동기어(62)에 전달한다. 그후, 상기 제2 롤러구동기어(62)는 스텝모터의 회전력을 도시하지 않은 롤러에 전달하므로서 상기 롤러는 원고 또는 용지를 구동력으로 이송시킨다.
그러나, 위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동력전달장치는 스텝모터의 회전방향(정방향, 역방항)에 의하여 스윙기어를 이동시켜 상기 스텝모터의 회전력을 캠 또는 롤러에 전달하므로서 상기 스윙기어는 스텝모터의 회전속도 또는 기어들의 구성에 따라 캠 구동축에서 롤러 구동축으로, 롤러 구동축에서 캠 구동축으로 이동하는 속도에 차이가 발생하며, 또한 상기 스윙기어가 이동하는 공간에 이물질이나 이동 방해요소가 발생할 경우에는 상기 캠 또는 롤러에 구동이 전달되기 까지의 이동시간이 길어지거나 이동중에 간섭에 의해 상기 스윙기어가 걸리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로인해 팩시밀리의 송신, 수신, 복사시에 고해상도의 화상을 형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캠 구동축에서 롤러 구동축(또는 롤러 구동축에서 캠 구동축)으로 동력이 전달시에 동력전달 시간을 단축시켜 고해상도의 화상을 형성시킬 수 있는 팩시밀리의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캠 및 롤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기어 수를 최소화시켜 제품의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팩시밀리의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팩시밀리의 동력전달장치는 스텝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아이들기어 및 제2 아이들기어와, 상기 제2 아이들기어와 맞물려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방향에 따라 송신, 수신, 복사 기능을 구분하기 위해 캠을 구동시키는 제1 일방향클러치가 설치된 캠 구동기어와, 상기 캠 구동기어와 맞물려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방향에 따라 원고 또는 용지를 이송시키기 위해 롤러를 구동시키는 제2 일방향클러치가 설치된 롤러 구동기어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의 동력전달장치에서 팩시밀리의 송신, 수신, 복사 기능을 구분하기 위하여 캠(cam)을 구동시키는 동작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의 동력전달장치에서 원고 또는 기록용지를 이송시키 위하여 롤러를 구동시키는 동작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의 동력전달장치의 구성 및 캠과 롤러를 구동시키는 동작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의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캠 구동기어12: 제1 일방향클러치
14: 롤러 구동기어16: 제2 일방향클러치
18: 제2 아이들기어20: 센서
22: 제1 아이들기어24: 구동기어
26: 프레임28: 제1 샤프트
30: 드레인기어32: 캠
34: 제2 샤프트36: 롤러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의 동력전달장치의 구성 및 캠과 롤러를 구동시키는 동작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의 동력전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마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캠 구동기어와 롤러 구동기어에 설치된 일방향 클러치(one way clutch)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도시하지 않은 스텝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24)와, 상기 구동기어(24)의 일측면에는 제1 아이들기어(22)가 맞물려 있으며, 상기 제1 아이들기어(22)의 일측면에는 제2 아이들기어(18)가 맞물려 있다. 이때, 상기 제2 아이들기어(18)의 상부 일측면에는 ........... 센서(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아이들기어(18)의 일측면에는 상기 구동기어(24)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텝모터의 회전력을 캠(32)에 전달하는 캠 구동기어(10)가 맞물려 있다. 이때, 상기 캠 구동기어(10)에는 팩시밀리의 송신, 수신, 복사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구동기어(24)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시에만 상기 캠 구동기어(10)가 동작되도록 하는 제1 일방향클러치(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일방향클러치(12)가 설치된 캠 구동기어(10)는 제1샤프트(28)에 설치되고, 상기 제1샤프트(28)에는 상기 캠 구동기어(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캠(32)을 구동시키는 드레인기어(drain gear)(3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캠 구동기어(10)의 하부 일측면에는 상기 구동기어(24)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텝모터의 회전력을 롤러(36)에 전달하는 롤러 구동기어(14)가 맞물려 있다. 이때, 상기 롤러 구동기어(14)에는 원고 또는 용지를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구동기어(24)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시에만 상기 롤러 구동기어(14)가 동작되도록 하는 제2 일방향 클러치(1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일방향클러치(16)가 설치된 롤러 구동기어(14)와 캠(32)은 상기 롤러(36)를 구동시키는 제2샤프트(28)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 일방향클러치(12)와 제2 일방향클러치(16)의 구성 및 동작상태는 통상적인 공지기술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생략하겠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방향 클러치를 이용한 동력전달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팩시밀리의 송신, 수신, 복사 기능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된(→방향) 바와 같이 구동기어(24)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텝모터의 회전력을 제1 아이들기어(22)에 전달하고, 상기 제1 아이들기어(22)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력을 제2 아이들기어(18)에 전달한다. 그후, 상기 제2 아이들기어(18)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텝모터의 회전력을 캠 구동기어(10)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캠 구동기어(10)는 제1 일방향클러치(12)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2 아이들기어(18)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캠 구동기어(1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텝모터의 회전력을 제1샤프트(28)에 전달하고, 상기 제1샤프트(28)는 드레인기어(3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그후, 상기 드레인기어(3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력을 캠(32)에 전달하고, 상기 캠(32)은 스텝모터의 회전력으로 도시하지 않은 접점이미지센서 또는 감열기록헤드와 롤러 사이를 적절히 착달시킨다. 이때, 상기 롤러 구동기어(14)는 제2 일방향클러치(16)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2 아이들기어(1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에만 회전력을 전달받기 때문에 시계 방향으로 공회전을 하게 된다.
두번째로, 원고 또는 용지를 이송시키기 위하여 롤러(36)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방향) 바와 같이 구동기어(24)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텝모터의 회전력을 제1 아이들기어(22)에 전달하고, 상기 제1 아이들기어(2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력을 제2 아이들기어(18)에 전달한다. 그후, 상기 제2 아이들기어(18)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텝모터의 회전력을 캠 구동기어(10)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캠 구동기어(10)는 제1 일방향클러치(12)의 동력에 의해 상기 제2 아이들기어(18)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에만 회전력을 전달받기 때문에 시계 방향으로 공회전만 하게되어 상기 캠(32)은 동작되지 않는다.
그후, 상기 캠 구동기어(1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텝모터의 회전력을 롤러 구동기어(14)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롤러 구동기어(14)는 제2 일방향클러치(16)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2 아이들기어(18)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후, 상기 롤러 구동기어(14)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텝모터의 회전력을 제2샤프트(34)에 전달하고, 상기 제2샤프트(34)는 회전력을 롤러(36)에 전달하므로서 상기 원고 또는 용지는 롤러(36)의 구동력에 의해 이송되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팩시밀리의 동력전달장치는 별도의 스윙기어를 설치하지 않고 캠 또는 롤러를 구동시키므로서 부품수의 최소화에 따른 제품의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일방향 클러치가 설치된 기어를 이용하여 캠 또는 롤러를 구동시키므로서 스텝모터의 회전력을 정확하고 간력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또한 캠 구동축에서 롤러 구동축(또는 롤러 구동축에서 캠 구동축)으로 동력이 전달시에 동력전달 시간을 단축시켜 팩시밀리의 송신, 수신, 복사시에 고해상도의 화상을 형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팩시밀리의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장치는 스텝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24);
    상기 구동기어(24)와 맞물려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 아이들기어(22) 및 제2 아이들기어(18);
    상기 제2 아이들기어(18)와 맞물려 상기 구동기어(24)의 회전방향에 따라 송신, 수신, 복사 기능을 구분하기 위해 캠(32)을 구동시키는 제1 일방향클러치(12)가 설치된 캠 구동기어(10);
    상기 캠 구동기어(10)와 맞물려 상기 구동기어(24)의 회전방향에 따라 원고 또는 용지를 이송시키기 위해 롤러(36)를 구동시키는 제2 일방향클러치(16)가 설치된 롤러 구동기어(14)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동력전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일방향클러치(12)는 구동기어(24)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시에 상기 캠 구동기어(10)에 동력을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동력전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일방향클러치(16)는 구동기어(24)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시에 상기 롤러 구동기어(14)에 동력을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동력전달장치.
KR1019960068176A 1996-12-19 1996-12-19 팩시밀리의 동력전달장치 KR100194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8176A KR100194475B1 (ko) 1996-12-19 1996-12-19 팩시밀리의 동력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8176A KR100194475B1 (ko) 1996-12-19 1996-12-19 팩시밀리의 동력전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462A KR19980049462A (ko) 1998-09-15
KR100194475B1 true KR100194475B1 (ko) 1999-06-15

Family

ID=66444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8176A KR100194475B1 (ko) 1996-12-19 1996-12-19 팩시밀리의 동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447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462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7810Y1 (ko) 팩시밀리의 원 모터 구동장치
JPH0789638B2 (ja) ファクシミリの紙送り装置
KR980007455A (ko) 원고 이송 구동장치
US5663804A (en) Image processor having recording paper cutting control
KR100524075B1 (ko) 화상형성장치의 자동급지장치
KR100194475B1 (ko) 팩시밀리의 동력전달장치
US5867283A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ion/reception/duplication positions in facsimile system
JPS6124865B2 (ko)
GB2279067A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KR0120922Y1 (ko) 팩시밀리 송수신장치
CN218647315U (zh) 处理盒
KR960008007Y1 (ko) 팩시밀리 구동장치
KR200150345Y1 (ko) 팩시밀리의 동력절환장치
KR920004809Y1 (ko) 팩시밀리의 용지 절단장치
KR200265787Y1 (ko) 복합기의 구동 장치
KR200363253Y1 (ko) 복합기의 동력전달장치
KR100244718B1 (ko) 팩시밀리 구동장치
US4330201A (en) Scanner drive clutch
KR100318740B1 (ko) 팩시밀리의 원고 정렬 장치
KR0129997Y1 (ko) 원고분리 구동장치
KR100219935B1 (ko) 팩시밀리 또는 스캐너의 구동장치
KR100476773B1 (ko) 복합기의 구동장치
KR100475655B1 (ko) 팩시밀리의 원모터 구동장치
KR100533137B1 (ko) 사무기기용 용지이송기구
KR20000010205U (ko) 복합기 모듈의 동력전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