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0219Y1 - 자동차용 좌석 취부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좌석 취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0219Y1
KR200150219Y1 KR2019940024676U KR19940024676U KR200150219Y1 KR 200150219 Y1 KR200150219 Y1 KR 200150219Y1 KR 2019940024676 U KR2019940024676 U KR 2019940024676U KR 19940024676 U KR19940024676 U KR 19940024676U KR 200150219 Y1 KR200150219 Y1 KR 2001502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eat
mounting structure
bracke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46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0483U (ko
Inventor
김수광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400246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219Y1/ko
Publication of KR9600104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4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2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2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좌석의 취부구조에 사용되는 그 부품수를 줄임으로서 생산비용을 절감시키는 동시에 파손되어진 좌석을 현장에서 간단한 작업으로 분해와 조립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플레이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을 횡방향으로 형성시키고, 그 하부에 레일이 횡방향을 따라 형성되도록 된 지지체와, 이 레일에 탄성적으로 삽탈이 이루어지는 탄지편이 구비된 브라켓이 설치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좌석 취부 구조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좌석 취부구조의 측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결합단면을 보여주는 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이 외부 충격에 의해 작동되는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패널 4 :지지체
6 :패널 8 :홈
10 :레일 12 :후크
14 :패드 16 :탄지편
18 :브라켓트 20 :프레임
본 고안은 좌석을 차량의 실내에 고정시키는 자동차용 좌석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정수단에 따른 부품수를 줄이므로서 생산원가를 줄일 수 있어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하였고, 또한 그에따른 작업공정을 줄일 수 있게 하여 효과적인 생산이 이루어지게 한 자동차용 좌석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3도에 도시된바와 같이 차량의 플레이트(22) 일면에 "ㄷ"형상을 하는 레일(24)이 나사로 체결 고정되고,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이 레일(24)의 상, 하부에 형성되는 페드(26)가, 상기 플레이트(22) 외면에 부착되는 페널(28)의 외면을 밀착하듯이 설치되며, 상기 레일(24)면 상에 삽입되는 보울트(30)가 실내방향을 향하도록 되게 한 후 이 보울트(30)에 절곡되어진 브라켓트(32)가 결합되는 동시에, 체결되는 너트(34)에 의해 상기 브라켓트(32)가 레일(24)의 일면에 밀착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브라켓트(32)상에 용접되어진 좌석의 프레임(36)이 위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좌석취부 구조를 결합하는 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에 설치되는 플레이트(22)에 실내 장식제인 패널(28)을 그 외면에 횡방향으로 상, 하 간격을 두면서 부착시키고 이 플레이트(22) 사이에 상기 레일(24)를 플레이트(22)의 일측면에 접하게 한 후, 나사로 고정시키는데 이때 패드(26)가 상기 페널(28)의 일면을 밀착하듯이 설치시킨다.
이와 같이 고정되는 레일(24)에 개방되어진 일단에서 보울트(30)가 실내방향을 향하게 삽입시켜 소정의 위치까지 도달하게 한다음, 상기 절곡되어진 브라켓트(32)의 일면을 그 보울트(30)에 결합시키고, 너트(34)를 상기 보울트(30)에 체결시켜 고정시키는 동시에 상기 절곡되어진 브라켓트(32)상에 좌석의 프레임(36)을 안착시킨 다음 용접하여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종래의 좌석 취부구조는 구성되는 부품수가 많을뿐만 아니라 결합 및 분리하기가 곤한한 구조로 되어 있어서 다음과 같은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먼저, 부품수가 많이 사용됨으로서 생산되는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그로 인하여 작업공정이 증가하게 됨에따라 생산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으며 또한, 차량에 장착되어 사용도중 파손등으로 교체할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그 구조 자체가 분해와 조립이 불편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교체가 신속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좌석의 취부구조에 사용되는 부품수를 줄임으로서 생산비용을 절감시키는 동시에 파손되어진 좌석을 현장에서 간단한 작업으로 분해와 조립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좌석 취부 구조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플레이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홈이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하부에 레일이 횡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지지체와, 이 레일에 탄성적으로 삽탈이 이루어지는 탄지편이 구비된 브라켓이 설치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별을 구성하는 플레이트(2)의 일측벽에 미도시한 좌석을 지지하여 주는 지지체(4)가 나사로 체결 고정되는데, 이 지지체(4)의 상단에 실내를 장식하기 위해 설치되는 페널(6)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홈(8)이 횡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홈(8)의 아래측에 실내측 방향에서 횡방향으로 레일(10)이 형성되는데 이 레일(10)의 선단부에 후크(12)가 횡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동시에 그 하부에 페드(14)가 하향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레일(10)상에 탄성적으로 유동하는 탄지편(16)이 상기 후크(12)에 걸려지게 위치되고, 이 탄지편(16)의 일단이 절곡 되어진 브라켓(18)의 일측 하단에 용접되어 고정되며, 이 브라켓(18)의 절곡되어진 상단면에 좌석의 프레임(20)이 용접 고정된다.
상기와 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결합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체의 플레이트(2)에 상기 지지체의 일측면을 부착시킨 후, 레일(10)의 일면으로부터 나사를 체결시켜 상기 플레이트(2)에 결합고정시키고 동시에 지지체(4)의 하부에 위치한 페드(14)를 플레이트(2)에 나사결합시킨 다음, 상기 홈(8)에 실내 장식을 위해 설치되는 페널(6)을 삽입 고정시킨 후, 상기 레일(10)상에 탄성적으로 유동하는 탄지편(16)을 실내방향에서 삽입시키면, 오므라 나가 다시 탄성적으로 벌어지면서 절곡되어진 부분이 상기 레일(10) 선단에 위취된 후크(12)에 걸려져 고정이 된다
이때, 상기 지지체(4)의 상부에 절곡되어진 브라켓(18)의 일측면이 밀착 고정된다.
계속하여 상기 브라켓(18)의 상단부에 미도시한 좌석의 프레임(20)을 용접하여 고정시킨다.
상기와는 반대로 좌석을 해지시키기 위해서 먼저 실내방향으로 좌석을 당기게 되면 벌어져 있는 탄지편(16)이 오므라지면서 그 절곡 부위가 후크(12)로 부터 이탈하게 되고, 동시에 브라켓(18)의 일측면이 지지체(4)의 일면으로 부터 이격된다.
상기와는 반대로 교체한 좌석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수단과는 반대로 결합을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고안은 부품수를 줄이므로서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고 또한, 작업 공정이 감소하게 되어 생산성이 증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파손된 좌석을 교체하기 위해서 간단히 당기기만 하면 분리가 이루어지므로 교환 작업이 용이하다.

Claims (1)

  1. 실내를 장식하는 패널(6)의 일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횡방향으로 홈(8)을 형성하고, 상기 홈(8) 하부에 홈(8)과 평행하게 레일(10)을 형성하며, 상기 레일(10)의 일측에 후크(12)를 형성하여 구성되며, 차량벽인 플레이트(2)에 고정되는 지지체(4)와, 상기 후크(12)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탄지편(16)과, 상기 타지편(16)에 일체로 용접 부착되며, 절곡된 그 상측에 좌석의 프레임(20)이 고정되는 브라켓트(18)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좌석 취부 구조.
KR2019940024676U 1994-09-26 1994-09-26 자동차용 좌석 취부 구조 KR2001502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4676U KR200150219Y1 (ko) 1994-09-26 1994-09-26 자동차용 좌석 취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4676U KR200150219Y1 (ko) 1994-09-26 1994-09-26 자동차용 좌석 취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483U KR960010483U (ko) 1996-04-12
KR200150219Y1 true KR200150219Y1 (ko) 1999-07-01

Family

ID=19393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4676U KR200150219Y1 (ko) 1994-09-26 1994-09-26 자동차용 좌석 취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21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483U (ko) 199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0219Y1 (ko) 자동차용 좌석 취부 구조
JP2000177474A (ja) フットレストプレート
KR100197268B1 (ko) 승용차용 프론트 범퍼 가드 체결구조
KR950004022Y1 (ko) 차량용 시트의 착탈장치
CN218949068U (zh) 一种自行车架的辅助斜坡安装结构
KR200226412Y1 (ko) 크래쉬 패널(CRASH Panel)용 고정 클립
JPH11324476A (ja) 電車用ドアの戸先ゴムの取付け構造
KR950009389Y1 (ko) 객차의 상구조
KR960005209Y1 (ko) 버스창문틀의 탈거가 용이한 창문프레임
KR200162441Y1 (ko) 차량의 범퍼측면 결합구조
KR200143073Y1 (ko) 트럭용 글로브박스 장착구조
KR19980057289U (ko) 엘리베이터내 의장측판 보호막 취부구조
KR200153910Y1 (ko) 버스의 시트 설치구조
KR960011948B1 (ko) 승용차용 뒷좌석(Rear Seat) 고정장치
KR970001258Y1 (ko) 버스 라디에이터의 탈.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수직필러의 취부구조
JPS5934384Y2 (ja) 平行架設カ−テンレ−ルのブラケツト
JPH11299693A (ja) 温水洗浄便座の取付構造
KR200195833Y1 (ko) 순찰차용 경고등 고정장치
KR200236757Y1 (ko) 중형버스의 에어컨 그릴 장착장치
JPH0222337Y2 (ko)
KR920006304Y1 (ko) 냉장고의 캐스터(caster)고정구
KR19980028803U (ko) 윈드시일드 글라스의 취부구조
KR200153088Y1 (ko) 카울 패널의 취부구조
KR0132629Y1 (ko) 자동차용 와이퍼의 아암헤드 고정수단
KR0117529Y1 (ko) 차량의 파워 스티어링 호스 서브용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