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9869Y1 - 화물차용 적재함의 캔버스브라켓트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화물차용 적재함의 캔버스브라켓트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9869Y1
KR200149869Y1 KR2019950008262U KR19950008262U KR200149869Y1 KR 200149869 Y1 KR200149869 Y1 KR 200149869Y1 KR 2019950008262 U KR2019950008262 U KR 2019950008262U KR 19950008262 U KR19950008262 U KR 19950008262U KR 200149869 Y1 KR200149869 Y1 KR 2001498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vas
bracket
canvas bracket
van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82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4073U (ko
Inventor
박두식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20199500082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9869Y1/ko
Publication of KR9600340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40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98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98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60J5/06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for utility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 B60J5/065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for utility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with non-rigid elements, e.g. side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차용 적재함의 캔버스브라켓트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캔버스브라켓트(6)를 적재함(1)의 양쪽 측면문(2)에 습동가능하면서도 그 고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설치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화물차용 적재함의 캔버스브라켓트 설치구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캔버스브라켓트의 설치상태도.
제2도는 제1도의 요부확대도.
제3도는 제2도의 I-I선 단면도.
제4도는 종래 화물차의 적재함에 캔버스브라켓트의 설치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적재함 2 : 측면문
3 : 안내홈 4 : 끼움구멍
5 : 돌출턱 6 : 캔버스브라켓트
7 : 제1끼움구멍 8 : 제2끼움구멍
9 : 고정핀
본 고안은 화물차용 적재함은 캔버스브라켓트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재함의 좌/우 측면문 상단부에 캔버스브라켓트가 습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이를 매개로 캔버스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된 화물차용 적재함의 캔버스브라켓트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화물차의 후방 적재함에 다양한 종류의 수화물등을 적재시켜 이를 운반시키도록 되어 있는 바, 현재 생산되는 화물차의 적재함에는 우천시와 같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기를 막기 위해 적재함의 상부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시킬 수 있는 별도의 장착물의 마련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11)의 양쪽 측면문(12)에 파이프와 같은 고정부재(13)을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용접시켜 고정한 다음, 이 고정부재(13) 사이에 대략 U자 형상으로 절곡된 캔버스 브라켓트(14)를 끼워 설치하고서 이를 매개로 캔버스를 덮어 씌워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캔버스를 씌우기 위해서는 캔버스브라켓트(14)의 설치를 위한 고정부재(13)의 장착과, 이에 따른 추기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캔버스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캔버스브라켓트(14)를 고정부재(13)으로부터 이탈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적재함의 양쪽 측면문 상단에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캔버스브라켓트를 마련하여 이를 매개로 캔버스의 탈/장착이 용이하도록 된 화물차용 적재함의 캔버스브라켓트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화물차의 후방 적재함의 양쪽 측면문 상단에 내/외측으로 안내홈과 그 상부에 끼움구멍이 소정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이 안내홈에 대응되어 좌/우측 양선단이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턱을 일체로 구비하고서 전장이 대략 적재함의 폭길이만큼 절곡형성된 캔버스브라켓트가 안내홈을 따라 습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이 캔버스브라켓트의 선단에는 상/하로 이격되어 제1, 2끼움구멍이 형성되는 한편, 이중 제1끼움구멍에는 고정핀이 상기 측면문의 끼움구멍중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캔버스브라켓트의 설치상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A부 확대도이며, 제3도는 제2도의 I-I선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차의 후방 적재함(1)의 양쪽 측면문(2) 상단에 내/외측으로 안내홈(3)과 그 상부에 끼움구멍(4)이 소정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이 안내홈(3)에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좌/우측 양선단이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턱(5)을 일체로 구비하고서 전장이 대략적재함(1)의 폭길이만큼 절곡형성된 캔버스브라켓트(6)가 안내홈(3)을 따라 습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이 캔버스브라켓트(6)의 선단에는 상/하로 이격되어 제1, 2끼움구멍(7, 8)이 형성되는 한편, 이중 제1끼움구멍(7)에는 고정핀(9)이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적재함(1)의 양쪽 측면문(2)에 습동가능하게 설치된 캔버스브라켓트(6)는, 측면문(2)의 안내홈(3)을 따라 이동시킨 다음 고정핀(9)을 캔버스브라켓트(6)의 제2끼움구멍(8)과 측면문(2)의 끼움구멍(4)을 관통하여 고정시켜 이 고정설치된 캔버스브라켓트(6)를 매개로 캔버스를 덮어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캔버스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고정된 고정핀(9)을 캔버스브라켓트(6)의 제2끼움구멍(8)과 측면문(2)의 끼움구멍(4)으로부터 이탈시킨 다음, 제1끼움구멍(7)에 끼워 놓고서 캔버스브라켓트(6)를 적재함(1)의 전방위치 즉 운전석이 있는 캐빈방향으로 밀어놓으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화물차용 적재함의 캔버스브라켓트 설치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적재함(1)의 양쪽 측면문(2)을 따라 습동가능하면서도 고정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캔버스브라켓트(6)를 설치하여 이를 매개로 캔버스를 덧씌워 사용토록 함으로써 우천시와 같이 외부로부터 침투하는 물기로부터 적재된 화물을 보호함과 더불어, 캔버스의 사용후 간편하게 캔버스브라켓트(6)를 캐빈쪽으로 수용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Claims (1)

  1. 화물차의 후방 적재함(1)의 양쪽 측면문(2)상단에 내/외측으로 안내홈(3)과 그 상부에 끼움구멍(4)이 소정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이 안내홈(3)에 대응되어 좌/우측 양선단이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턱(5)을 일체로 구비하고서 전장이 대략 적재함(1)의 폭길이만큼 절곡형성된 캔버스브라켓트(6)가 안내홈(3)을 따라 습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이 캔버스브라켓트(6)의 선단에는 상/하로 이격되어 제1, 2끼움구멍(7, 8)이 형성되는 한편, 이중 제1끼움구멍(7)에는 고정핀(9)이 상기 측면문(2)의 끼움구멍(4)중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화물차용 적재함의 캔버스브라켓트 설치구조.
KR2019950008262U 1995-04-22 1995-04-22 화물차용 적재함의 캔버스브라켓트 설치구조 KR2001498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8262U KR200149869Y1 (ko) 1995-04-22 1995-04-22 화물차용 적재함의 캔버스브라켓트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8262U KR200149869Y1 (ko) 1995-04-22 1995-04-22 화물차용 적재함의 캔버스브라켓트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073U KR960034073U (ko) 1996-11-19
KR200149869Y1 true KR200149869Y1 (ko) 1999-06-15

Family

ID=19411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8262U KR200149869Y1 (ko) 1995-04-22 1995-04-22 화물차용 적재함의 캔버스브라켓트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986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073U (ko) 1996-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3336A (en) Pivotally mounted seat back
US3338620A (en) Vehicles and fitting therefor
KR100759326B1 (ko) 자동차의 짐칸
US4630858A (en) Multi-purpose passenger motor vehicle, especially station wagon
US7735890B2 (en) Hatchback assembly
US6186575B1 (en) Re-configurable cargo cover
US20060163297A1 (en) Functional side rail roof rack
US5732995A (en) Tailgate extender
US7543875B2 (en) Tailgate arrangement of a motor vehicle
US7452024B2 (en) Latching arrangement for a tonneau cover
US20070007783A1 (en) Loading space protection device having at least one winding shaft
US4220367A (en) Vehicle removable security curtain
US6447051B1 (en) Extended cab pickup truck with cab load container
ITTO20070454A1 (it) Sistema di sollevamento di un piano di carico per un veicolo, e veicolo provvisto di tale sistema.
KR200149869Y1 (ko) 화물차용 적재함의 캔버스브라켓트 설치구조
EP0745516A1 (en) A drop-down bumper for motor vehicles, in particular motor cars
KR0174346B1 (ko) 승용자동차
KR100508269B1 (ko) 자동차용 커버링 셀프 센터 트림
US4580831A (en) Automobile rear body structure
US2145642A (en) Vehicle body
KR0134173Y1 (ko) 절첩식 뒷좌석의 트렁크차폐장치
KR19980041621U (ko) 화물차 적재함
KR100412349B1 (ko) 스포츠 유틸리티 트럭 차량의 적재함 구조
KR200168204Y1 (ko) 자동차용 보조적재함
KR0146496B1 (ko) 자동차의 트렁크 플로어의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