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9648Y1 - 상하향등 계기판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상하향등 계기판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9648Y1
KR200149648Y1 KR2019960036488U KR19960036488U KR200149648Y1 KR 200149648 Y1 KR200149648 Y1 KR 200149648Y1 KR 2019960036488 U KR2019960036488 U KR 2019960036488U KR 19960036488 U KR19960036488 U KR 19960036488U KR 200149648 Y1 KR200149648 Y1 KR 2001496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filter
electric actuator
flow spac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64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3113U (ko
Inventor
김진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364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9648Y1/ko
Publication of KR199800231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1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96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96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상하향등 계기판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2개의 투광창과 2개의 전구를 하나로 통합하면서도 상향등 및 하향등의 절환상황에 맞추어 2가지의 색깔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향등 스위치(1)와, 이 상향등 스위치의 접속에 따라 작동가능한 전기 액튜에이터(2)와, 이 전기 액튜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되고 2가지의 색깔이 구분된 필터체(5), 그리고 이 필터체가 유동할 수 있는 필터유동공간(9)이 형성되고 이 필터유동공간의 상하에 투광창(10)과 전구(8)가 설치된 하우징(7)을 구비시킨 것으로, 하향등일 때에는 필터체(5)가 정지된 상태로 한가지색이 투광되고, 상향등일 때에는 전기 액튜에이터(2)의 작동에 의하여 필터체(5)가 이동하면서 다른색으로 투광된다.

Description

상하향등 계기판 표시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상하향등 계기판 표시장치(Instrument Cluster Indicator for Indicating Light Course of Head Lamp)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 계기판에는 전조등의 상향등 또는 하향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 표시등은 색깔이 있는 투광창 내에 전구를 설치한 것으로, 표시하기 위한 방법상 2가지 형식이 있다.
그 한가지는 2개의 전구와 2개의 투광창을 계기판에 설치하되 투광창의 색깔을 녹색과 청색으로 구분하여, 하향등일 때에는 녹색의 투광창이 있는 전구에 불이 들어오게 하고, 상향등일 때에는 청색의 투광창이 있는 전구에 불이 들어오게 한 것이다. 나머지 한 가지는 원가절감을 위해 청색의 투광창 1개와 전구 1개만을 설치한 것으로, 이 경우에는 상향등일 때에만 전구에 불이 들어오게 한 것이다.
상기에서 바람직한 표시방법은 상향등일 때와 하향등일 때에 각각 불이 들어오게 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현재 전조등이 상향등인지 아니면 하향등인지 표시등을 보고 식별할 수 있게 해 주는 전자의 방법이 안전한 것이다.
그러나 전자와 같이 하게 되면, 색깔이 다른 2개의 투광창과 이 각각의 투광창을 비추기 위한 2개의 전구가 필요하기 때문에 계기판에서 다른 계기와 착시현상을 유발하는 등의 혼란만이 가중되고, 결국 그 효과보다는 원가상승의 요인만 가져오게되는 결과를 낳았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2개의 투광창과 2개의 전구를 하나로 통합하면서도 상향등 및 하향등의 절환상황에 맞추어 2가지의 색깔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구성단면도.
도 2는 상향등으로 절환되었을 때의 작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향등 스위치, 2 : 전기 액튜에이터, 3 : 솔레노이드, 4 : 플런저, 5 : 필터체, 5' : 녹색필터부, 5 : 청색필터부, 6 : 고정부, 7 : 하우징, 8 : 전구, 9 : 필터유동공간, 10 : 투광창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향등 스위치와, 이 상향등 스위치의 접속에 따라 작동가능한 전기 액튜에이터와, 이 전기 액튜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되고 2가지의 색깔이 구분된 필터체, 그리고 이 필터체가 유동할 수 있는 필터유동공간이 형성되고 이 필터유동공간의 상하에 투광창과 전구가 설치된 하우징을 구비시킨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하향등일 때에는 필터체가 정지된 상태로 한가지색이 투광창을 통하여 투광되고, 상향등일 때에는 상향등 스위치가 접속되면서 전기 액튜에이터가 작동하여 필터체가 필터유동공간 내에서 일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필터체의 다른색 부분이 전구에 비추어져 투광창을 통하여 투광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향등 스위치(1)는 배터리의 양극에 입력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출력단자는 전기 액튜에이터(2)의 솔레노이드(3) 입력측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상향등 스위치(1)는 기존의 차량에서 조향핸들 측에 위치하는 다기능 스위치를 나타낸 것으로, 다기능 스위치를 상향등 위치로 절환하면 상향등 스위치(1)가 접속되고, 하향등 위치로 절환되면 단락된다.
전기 액튜에이터(2)는 상기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3)와 이 솔레노이드(3)의 중앙에 유동가능하게 끼워진 플런저(4)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상기 상향등 스위치(1)가 접속되면 솔레노이드(3)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여자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 여자력은 플런저(4)를 좌측으로 밀어내며, 솔레노이드(3)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으면 플런저(4)가 전기 액튜에이터(2) 내부에 설치되는 리턴 스프링(미도시)에 의하여 원상태로 복귀(우측으로)하게 된다.
필터체(5)는 상부가 사각의 녹색필터부(5')와 사각의 청색필터부(5)가 서로 합처져 하나의 직사각형 평판을 이루고 있고, 일측에는 하향으로 내려오는 고정부(6)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서, 고정부(6)가 전기 액튜에이터(2)의 플런저(4) 단부와 고정된다.
하우징(7)은 하부 중앙에 전구(8)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상기한 필터체(5)가 좌우로 유동할 수 있는 필터유동공간(9)이 형성된 것으로, 상면 중앙에는 상기한 필터체(5)의 녹색필터부(5') 또는 청색필터부(5)와 일치할 수 있는 투명한 투광창(10)이 하우징(7)과 일체를 이루도록 부착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7)의 상부 우측의 하단에는 필터체(5)의 고정부(6)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는 개방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구(8)는 기존의 차량에서 조향핸들 측에 위치하는 다기능 스위치에 의하여 점등 및 소등되도록 한 것으로, 다기능 스위치를 돌려 하향등 또는 상향등에 관계없이 일단 전조등을 점등시키면 동시에 점등되고, 전조등을 소등시키면 동시에 소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도 1와 같은 상황은 전조등이 점등된 상태이고, 이 때 상향등 스위치(1) 및 전기 액튜에이터(2)는 작동되지 않아 하향등이 점등되어 있음을 나타낸 것이다. 이 때에는 필터체(5)의 녹색필터부(5')가 투광창(10) 밑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전구(8)의 불빛에 의하여 녹색빛이 투광창(10) 외부로 투광된다.
도 2는 전조등이 상향등으로 절환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것은 상향등 스위치(1)가 먼저 도 1와 같은 상태에서 도 2와 같이 접속되면, 전기 액튜에이터(2)의 솔레노이드(3)에 전원이 인가되어 전류가 흐르므로 여자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플런저(4)가 좌측으로 밀려나간다.
플런저(4)가 좌측으로 전진할 때 필터체(5)도 필터유동공간(9) 내에서 같이 이동하므로, 결국 투광창(10) 밑에는 녹색필터부(5')로 부터 청색필터부(5)로 바뀌어져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구(8)의 불빛은 청색빛을 띄고 투광창(10) 외부로 투광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1개의 투광창과 1개의 전구를 사용하면서도 상향등 및 하향등의 절환상황에 맞추어 녹색 및 청색의 2가지 색깔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어 계기판에서 다른 계기와 혼란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표시지점이 한 곳으로 통일되어 시각적으로 편한 느낌을 가져올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상향등 스위치와, 이 상향등 스위치의 접속에 따라 작동가능한 전기 액튜에이터와, 이 전기 액튜에이터의 작동에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되고 2가지의 색깔이 구분된 필터체, 그리고 이 필터체가 유동할 수 있는 필터유동공간이 형성되고 이 필터유동공간의 상하에 투광창과 전구가 설치된 하우징을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향등 계기판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체는 상부가 사각의 녹색필터부와 사각의 청색필터부가 서로 합처져 하나의 직사각형 평판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향등 계기판 표시장치.
KR2019960036488U 1996-10-30 1996-10-30 상하향등 계기판 표시장치 KR2001496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6488U KR200149648Y1 (ko) 1996-10-30 1996-10-30 상하향등 계기판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6488U KR200149648Y1 (ko) 1996-10-30 1996-10-30 상하향등 계기판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113U KR19980023113U (ko) 1998-07-25
KR200149648Y1 true KR200149648Y1 (ko) 1999-06-15

Family

ID=19471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6488U KR200149648Y1 (ko) 1996-10-30 1996-10-30 상하향등 계기판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964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690A (ko) * 2002-11-15 2004-05-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전조등의 상태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113U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4479A (en) Automotive, front and side brake/running/turn signal light
KR200149648Y1 (ko) 상하향등 계기판 표시장치
US4459448A (en) Double pull double throw switch
CN220582270U (zh) 一种车前照灯
KR200154237Y1 (ko) 자동차용실내등구조
CN219601079U (zh) 后视镜和具有其的车辆
KR200160066Y1 (ko) 다기능 안개등
KR200145162Y1 (ko) 헤드램프 표시등
KR200142971Y1 (ko) 자동차의 회전룸램프
JPH0218884Y2 (ko)
KR100427237B1 (ko) 차량용 다기능 전조등장치
KR200250021Y1 (ko) 원텃치온오프스위치를구비한차내조명기구
KR0135484Y1 (ko) 자동차의 보조 브레이크 램프 구조
JP3109132U (ja) 車室内用照明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車室内用照明装置
KR100242552B1 (ko) 자동차용 헤드 램프
JPH0417973Y2 (ko)
JP3118400U (ja) 自動車サイドミラーの補助灯装置
KR100231539B1 (ko) 자동차의헤드램프상하향자동조정장치
KR0135546Y1 (ko) 자동차의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
KR0126232Y1 (ko) 자동차의 차폭등
KR200177991Y1 (ko) 점멸신호 기능을 가진 회중전등
KR0123288Y1 (ko) 자동차의 상.하향 전조등 제어장치
KR920003935Y1 (ko) 차량용 전조등의 수 · 자동겸용 점멸장치
JPH0219311Y2 (ko)
KR19980054151U (ko) 자동차용 하향전조등 겸용 안개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