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9309Y1 - 공작기계의 압입장치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의 압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9309Y1
KR200149309Y1 KR2019960066160U KR19960066160U KR200149309Y1 KR 200149309 Y1 KR200149309 Y1 KR 200149309Y1 KR 2019960066160 U KR2019960066160 U KR 2019960066160U KR 19960066160 U KR19960066160 U KR 19960066160U KR 200149309 Y1 KR200149309 Y1 KR 2001493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entation
machine tool
press
fixed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61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2979U (ko
Inventor
김종판
Original Assignee
박문규
주식회사기아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문규, 주식회사기아정기 filed Critical 박문규
Priority to KR20199600661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9309Y1/ko
Publication of KR199800529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29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93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93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9Work-clamping means for pressing workpieces against a work-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작기계의 압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작기계(10)의 본체(10) 상면으로 공작물(30)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치구(40)가 형성되고 상기 치구(40)의 상부로 실린더(7)의 동작에 의하여 상하 작동이 자유로운 압입장치(100)를 포함하는 공작기계의 압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입장치(100)의 몸체(110)에 고정되는 압입구(140)의 상면에 완충재(120)를 형성하고 상기 압입구(14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고정판(130)으로 고정하여 공작물의 볼트 높이에 상관없이 삽입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자의 작업공수를 현저히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품질을 향상시켜 소비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공작기계의 압입장치
본 고안의 공작기계의 압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입장치의 몸체에 고정되는 압입구의 상면에 완충재를 형성하고 상기 압입구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고정판으로 고정하여 공작물의 볼트 높이에 상관없이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자의 작업공수를 현저히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품질을 향상시켜 소비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공작지계의 압입장치에 관하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기계의 압입장치는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작기계(10)의 본체(1) 상부 사방에 지지대(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3)의 상부로 중앙에 관통구멍(9)이 형성된 상판(5)이 형성되어 이 상판(5)의 관통구멍(9)으로부터 상하 작동이 자유로운 실린더(7)가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7)의 하부에는 압입장치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압입장치(20)는 하부로 수개(적어도 2개 이상)의 압입구(21)가 원을 그리며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입장치(20)를 바라보는 본체(1)의 바닥판에는 공작물의 볼트(31)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치구(30)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공작기계의 압입장치는 실린더(7)의 하강으로 치구(40)에 삽입 고정되어 있는 공작물(30)에 볼트(31)를 압입하여 제품의 결합상태를 향상시킨 후에 실린더가 상승하면 준비상태에 있는 공작물과 교체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진행을 반복 실행하도록 한다.
그러나 치구에 삽입 고정되는 공작물에 얹히는 수개 볼트의 높이 차이로 이 수개의 볼트에 가해지는 실린더의 가압에 불균형이 발생되어 일부 볼트의 결합이 불완전하게 체결됨으로서, 작업자가 대기상태에 있다가 하나하나 볼트의 결합상태를 확인하고 일일이 결합시켜 주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공수를 늘려 생산성을 저하시켜서 제품의 품질을 떨어뜨리고 소비자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압입장치의 몸체에 고정되는 압입구의 상면에 완충재를 형성하고 상기 압입구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고정판으로 고정하여 공작물의 볼트 높이에 상관없이 삽입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자의 작업공수를 현저히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품질을 향상시켜 소비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공작기계의 압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한 공작기계의 압입장치는 공작기계의 본체 상면으로 공작물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치구가 형성되고 상기 치구의 상부로 실린더의 동작에 의하여 상하 작동이 자유로운 압입장치를 포함하는 공작기계의 압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입장치의 몸체에 고정되는 압입구의 상면에 완충재를 형성하고 상기 압입구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고정판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압입장치를 제공한다.
제1도는 종래 공작기계의 개략적인 정면도.
제2도는 종래 공작기계의 압입장치에 형성된 압입구를 개략적으로 보인 요부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3 : 지지대
7 : 실린더 10 : 공작기계
30 : 공작물 31 : 볼트
40 : 치구 100 : 압입장치
110 : 몸체 120 : 완충재
130 : 고정판 131 : 고정구멍
140 : 압입구 141 : 걸림턱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고안의 요부 단면도로서, 제품을 압입하는 공작기계(10)의 본체(1) 상면으로 공작물(30)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치구(40)가 형성되고 상기 치구(40)의 상부로 실린더(7)의 동작에 의하여 상하 작동이 자유로운 압입장치(10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압입장치(100)의 몸체(110)에 고정되는 압입구(140)의 상면에는 인조고무의 일종으로 기름에 녹지 않고 마멸도가 적은 우레탄으로 이루어진 완충재(120)을 형성하고, 상기 압입구(140)의 걸림턱(141) 하부로 상기 압입구(140)와 대응하는 수개의 고정구멍(131)을 구비한 고정판(130)이 형성되어 상기 압입구(14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의 사방으로 지지대(3)가 형성되고 이 지지대(3)의 상부로 상판(5)이 형성되어 실린더(7)를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특징적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공작물(30)의 압입을 목적으로 치구(40)에 공작물을 삽입하여 고정하고 난 후에 실린더(7)를 동작시키면 상기 실린더(7)의 하강으로 압입장치는 공작물(30)의 볼트(31)와 밀착하여 압입하는데, 이때 압입되는 공작물(30)의 볼트(31) 높낮이에 따라 완충재(120)의 완충 작용으로 볼트(31)에 공정하여 말착하여 고정할 수 있어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작업자의 작업공수를 현저히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품질을 향상시킴으로서 소비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압입장치의 몸체에 고정되는 압입구의 상면에 완충재를 형성하고 상기 압입구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고정판으로 고정하여 공작물의 볼트 높이에 상관없이 삽입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자의 작업공수를 현저히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품질을 향상시켜 소비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공작기계(10)의 본체(1) 상면으로 공작물(30)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치구(40)가 형성되고 상기 치구(40)의 상부로 실린더(7)의 동작에 의하여 상하 작동이 자유로운 압입장치(100)를 포함하는 공작기계의 압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입장치(100)의 몸체(110)에 고정되는 압입구(140)의 상면에 완충재(120)를 형성하고 상기 압입구(14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고정판(130)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압입장치.
KR2019960066160U 1996-12-31 1996-12-31 공작기계의 압입장치 KR2001493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160U KR200149309Y1 (ko) 1996-12-31 1996-12-31 공작기계의 압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160U KR200149309Y1 (ko) 1996-12-31 1996-12-31 공작기계의 압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979U KR19980052979U (ko) 1998-10-07
KR200149309Y1 true KR200149309Y1 (ko) 1999-06-15

Family

ID=19488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6160U KR200149309Y1 (ko) 1996-12-31 1996-12-31 공작기계의 압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930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037B1 (ko) * 2007-05-15 2009-03-3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유압 쿠션 장치
KR101065635B1 (ko) * 2009-08-21 2011-09-19 티아이씨(주) 독립현가엑슬용 휠허브에 스터드볼트를 압입하기 위한 지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037B1 (ko) * 2007-05-15 2009-03-3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유압 쿠션 장치
KR101065635B1 (ko) * 2009-08-21 2011-09-19 티아이씨(주) 독립현가엑슬용 휠허브에 스터드볼트를 압입하기 위한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979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0568B2 (en) Flush-mount clamping device
KR200149309Y1 (ko) 공작기계의 압입장치
CN208437480U (zh) 一种高效率替代钻孔的冲压模具
CN213196624U (zh) 紧凑型边框夹具
JP3943686B2 (ja) プリント基板打抜き加工装置
CN111890091B (zh) 用于主减速器壳加工的液压夹具
JPS6149734A (ja) プレス型
KR20000056090A (ko) 유니버셜 조인트의 베어링 압입 및 코킹장치
CN215393949U (zh) 加工夹具及铣削机
CN219598797U (zh) 一种精镗曲轴孔液压夹具
CN214643055U (zh) 一种型材加工夹具
CN215037070U (zh) 一种通用销钉装配销套
CN114161314B (zh) 一种高压阀体阀孔珩磨加工的气动悬浮式工艺装备及方法
KR100212813B1 (ko) 프레스금형의 홀가공용 부싱
KR19990058307A (ko) 맞대기레이저용접용 판재고정장치
CN220740294U (zh) 一种压板一体式气动工装
CN220006800U (zh) 发动机缸体夹紧组件及具有该夹紧组件的夹具工装
KR880000374Y1 (ko) 비압축성 유체를 사용한 다수의 동시 코오킹장치
KR100569125B1 (ko) 실린더 헤드의 밸브 가이드 압입장치
CN113681499A (zh) 工程机械油封装配装置
KR0113982Y1 (ko) 다용도 프레스기
JPH08155684A (ja) 複動液圧シリンダ
JP2536248Y2 (ja) 自動加工ライン
EP0974410A2 (en) Machine with hydraulically controlled counterpressure holding element
KR900010268Y1 (ko) 편심하중 보정용 보조 가압장치를 갖춘 프레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