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8426Y1 - 도로용 우수배수조에 있어서 악취차단구조 - Google Patents

도로용 우수배수조에 있어서 악취차단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8426Y1
KR200148426Y1 KR2019970001587U KR19970001587U KR200148426Y1 KR 200148426 Y1 KR200148426 Y1 KR 200148426Y1 KR 2019970001587 U KR2019970001587 U KR 2019970001587U KR 19970001587 U KR19970001587 U KR 19970001587U KR 200148426 Y1 KR200148426 Y1 KR 2001484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sewage
roads
collection container
mosquito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15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7392U (ko
Inventor
임삼식
Original Assignee
임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삼식 filed Critical 임삼식
Priority to KR20199700015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8426Y1/ko
Publication of KR199800573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3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84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84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용 우수배수조에 있어서 악취차단구조에 관한 것이며,
하절기에 하수관에서 서식되는 파리, 모기등이 도로용 우수배수조로 통행되는 통로를 차단하고, 하수의 부패로 발생되는 악취의 발산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로의 우수를 하수관으로 유입시킬때 사용되는 배수조는 상면에는 우수유입망을 설치하고, 그내부에는 받침대를 구성하여 이물질수거 용기를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하수관의 하수가 부패되면서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발산되고, 부패된 하수에 서식되는 파리, 모기등이 도로용 우수배수조의 통로를 통하여 통행이 자유로이 이루어져 위생적이지 못하였다.
이를 해소하고자 하수관에 우수의 유입시에는 열리고, 우수가 없을 경우에는 닫히는 개폐판을 설치하는 고안이 알려진바 있으나, 이물질이 끼이거나 우수량이 많아지면 개폐판의 고장이 발생되어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제반결점을 해소하고 도로용 우수배수조에 설치되는 받침대저부에 오물수거용기의 배수공을 차단할 수 있는 차단판을 핀으로 결합구성하여 파리, 모기 및 악취의 통행로를 차단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도로용 우수배수조에 있어서 악취차단구조
제1도는 본고안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고안의 외통을 절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도로용 우수배수조 3 : 오물수거용기 받침대
4 : 오물수거용기 4a : 벽면
4b : 배수공 5,6b : 브라켓트
6 : 차단판 6a : 윗면
7 : 핀
본고안은 도로용 우수배수조에 있어서 악취차단구조에 관한 것이며,
하절기에 하수관내에서 서식되는 파리, 모기등이 도로용 우수배수조에서 통행되는 통로를 차단하고, 하수의 부패로 발생되는 악취의 발산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로의 우수를 하수관으로 유입시킬때 사용되는 배수조는 상면에는 우수유입망을 설치하고, 그 내부에는 받침테를 구성하여 받침테 위에는 이물질수거용기를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이물질수거용기의 배수통공과 우수유입망으로는 하수에서 서식되는 파리, 모기의 유통통로가 되고, 또 하수관내에서 부패된 악취가 유통되어져 외부로 발산되는등 위생적이지 못하였다.
이를 해소하고자 하수관내에서 개폐판을 설치하여 우수가 유입되면 열리고, 우수의 유입이 없으면 닫히도록 하는 구성이 알려진바 있으나 이는 이물질이 끼이거나 우수량이 많아지면 고장이 발생되어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고안은 종래의 제반결점을 해소하고자 도로용 우수배수조내에 설치되는 받침대 저부에 악취차단판을 설치하여 오물수거용기의 배수공을 차단하여 우수유입시에는 열리고, 우수유입이 없으면 차단되어져 파리, 모기의 통로와 악취를 차단하고, 실용적으로 사용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본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로용 우수배수조(1)의 상부 걸림단턱(1a)에 우수유입망(2)을 설치하고, 그 내측의 단턱(1b)에 오물수거용기 받침대(3)를 설치하고, 오물수거용기 받침대(3)에는 벽면(4a)에 배수공(4b)이 구비된 오물수거용기(4)를 얹어 구성되는 통상의 것에 있어서,
오물수거용기 받침대(3)의 저부에 복수개의 브라켓트(5)를 구성하고, 동 브라켓트(5)의 윗면(6a)에는 브라켓트(6b)를 구비하면서 경사지게 구성한 차단판(6)의 브라캣트(6b)를 위치시켜 핀(7)으로 각 결합하여서 된 구조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과 같이 도로용 우수배수조(1)를 도로에 설치시공하고, 도로용 우수배수조(1)의 상부내 측의 단턱(1b)에 오물수거용기 받침대(3)를 설치하고, 그 내부에 오물수거용기(4)를 얹고 상부설림단턱(1b)에는 우수유입망(2)을 설치하게 되면 우수기에는 도로의 우수가 도로용 우수배수조(1)의 우수유입망(2)으로 유입되어 동 우수와 이물질이 우수유입망(2)을 통과하여 오울수거용기 받침대(3)내에 설치된 오물수거용기(4)로 유입되어지게 된다.
이와같이 유입된 우수와 이물질은 오물수거용기(4)에 모아져 우수는 오물수거용기(4)의 벽면(4a)에 형성된 배수공(4b)을 통하여 배수가 이루어지고, 배수공(4b)을 통과하지 못한 이물질과 비중이 큰 오물은 오물수거용기(4)에 모아지게 된다.
이때 우수가 배수공(4b)을 통과하게 되면 우수의 압으로 경사지게 구비한 차단판(6)은 핀(7)을 중심으로 하여 열리게 되어 우수가 도로용 우수배수조(1)하방으로 통과되어 하수관으로 배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우수의 유입이 완료되면 차단판(6)은 핀(7)을 중심으로 하여 오물수거용기(4)의 외부 벽면(4a)에 밀착되어져 오물수거용기(4)의 배수공(4b)을 차단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하수관내에 서식되는 각종의 파리, 모기는 도로용 우수배수조(1)의 오물수거용기(4)의 각 외벽면에 설치된 차단판(6)에 의해서 차단이 이루어지므로서 통행하지 못하게 되고, 또 하수관내의 오수 또는 우수가 부패되면서 발생되는 악취의 발산도 차단하게 된다.
이와같이 사용하면서 오물수거용기(4)에 이물질과 오물이 쌓이게 되면 종래와 같이 도로용 우수배수조(1)상부에 설치된 우수유입망(2)을 벗기고, 오물수거용기 받침대(3)에 설치된 오물수거용기(4)를 끄집어 내면 오물수거용기 받침대(3) 저부의 브라캣트(5)에 결합된 차단판(6)은 핀(7)을 중심으로 내향되어지게 되고, 끄집어낸 오물수거용기(4)를 비우고 역순으로 다시 오물수거용기(4)를 장착하게 되면 차단판(6)은 오 물수거용기(4)의 외벽에 의해 밀려나가면서 장착이 완료되면 오물수거 용기(4)의 배수공(4b)에 위치되어져 차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본고안은 도로용 우수배수조의 오물수거용기 받침 대저부에 브라켓트를 구성하고, 동 브라켓트에 차단판상면의 브라켓트를 핀으로 결합구성하므로서 하수관과 배수조간의 통로를 차단하게 되므로서 하수관내면에서 우수 또는 하수의 부패로 인하여 서식되는 파리, 모기등과 악취를 도로용 우수배수조의 외부로 통로 또는 발산을 차단하게 되는 매우 실용적이고도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도로용 우수배수조(1)내부에 설치되는 오물수거용기 받침대(3)의 저부에 복수개의 브라켓트(5)를 구성하고, 동 브라켓트(5)에 윗면(6a)에는 브라켓트(6b)를 구비하면서 경사지게 구성한 차단판(6)의 브라켓트(6b)를 위치시켜서 핀(7)으로 결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도로용 우수배수조에 있어서 악취차단구조.
KR2019970001587U 1997-01-31 1997-01-31 도로용 우수배수조에 있어서 악취차단구조 KR2001484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587U KR200148426Y1 (ko) 1997-01-31 1997-01-31 도로용 우수배수조에 있어서 악취차단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587U KR200148426Y1 (ko) 1997-01-31 1997-01-31 도로용 우수배수조에 있어서 악취차단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392U KR19980057392U (ko) 1998-10-15
KR200148426Y1 true KR200148426Y1 (ko) 1999-06-15

Family

ID=19495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1587U KR200148426Y1 (ko) 1997-01-31 1997-01-31 도로용 우수배수조에 있어서 악취차단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842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392U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6471B2 (en) Sediment control drain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20080006707A (ko)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KR100983466B1 (ko) 하수관의 맨홀용 역류 방지 장치
KR20090108277A (ko) 배수트랩
KR200148426Y1 (ko) 도로용 우수배수조에 있어서 악취차단구조
KR20050080155A (ko) 악취차단과 이물질 수거가 용이한 생활하수용 배수조
KR200388943Y1 (ko) 하수 및 악취 역류 방지장치
KR20090008698A (ko) 빗물받이 커튼식 악취 방지 장치
KR100454999B1 (ko) 악취차단기능을 갖는 배수조
KR200300280Y1 (ko) 배수조용 악취차단구
JP3271745B2 (ja) 防臭装置を備えた雨水浸透桝
KR100662712B1 (ko) 악취발산 방지용 맨홀
KR200361559Y1 (ko) 덮개식 하수도 빗물받이
JP2586879Y2 (ja) 雨水升
JPH045592Y2 (ko)
CN214246039U (zh) 一种海绵城市排水装置
KR920001680Y1 (ko) 악취방지를 겸한 빗물받이 통
KR100946171B1 (ko) 역류 현상 해결 비점오염원 관리와 악취 차단 및 해충유입 방지용 우수유입구
KR200294885Y1 (ko) 분류식 하수관용 빗물유도판
JPS636293Y2 (ko)
KR20060018026A (ko) 하수 슬러지 제거 및 냄새 역류 방지용 배수장치
KR200281789Y1 (ko) 악취차단기능을 갖는 배수조
JPH0561285U (ja) 側溝の集排水桝
KR900003373Y1 (ko) 배수전
FI94792C (fi) Huuhdeltava takaiskuventtiilillä varustettu viemärin lattiakaiv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5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