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8140Y1 - 자동차의 피라리드 구조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피라리드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8140Y1
KR200148140Y1 KR2019950026184U KR19950026184U KR200148140Y1 KR 200148140 Y1 KR200148140 Y1 KR 200148140Y1 KR 2019950026184 U KR2019950026184 U KR 2019950026184U KR 19950026184 U KR19950026184 U KR 19950026184U KR 200148140 Y1 KR200148140 Y1 KR 2001481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ament
rod
pillar
pillar lid
op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61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2730U (ko
Inventor
유창국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20199500261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8140Y1/ko
Publication of KR9700127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27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81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81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15/05Inlet covers
    • B60K2015/0515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 B60K2015/0523Arrangements for closing or opening of inlet cover with sliding connection to the vehicle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라리드의 개폐기능이 직선운동에 의해 행해지도록 된 필라리드 구 조체에 관한 것으로, 외부로 노출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가장자리로 부터 내부로 굴곡져 형성된 가이드로 이루어진 필라리드, 상기 가이드의 활주를 가능하게 하는 차체 아웃패널 내부에 구비된 가이드레일, 상기 필라리드의 내벽에 설치되어 내부쪽으로 개방된 요홈을 형성하고 있는 로드걸림 브라켓트 및 측벽에 지탱되어 있는 로드지지 브라켓트에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오프너와 연동되어 상기 요홈에 착탈가능하게 된 로드로 구성되어 필라리드가 그의 개폐상태와 관계없이 차체외곽으로 돌출되지 않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필라리드 구조체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필라리드 구조체의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필라리드 구조체의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선 B-B에 따른 단면도.
제5도는 가이드레일의 사시도.
제6도는 종래형 필라리드 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필라리드 11 : 덮개부
12, 13 : 가이드 14 : 가이드레일
16 : 인장스프링 17 : 로드걸림브라켓트
19 : 오프너 24 : 로드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연료주입용 필라리드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라리드의 개폐기능이 직선운동에 의해 행해지도록 된 필라리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연료 주입구앞에 구비되어 있는 필라리드는 그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힌지를 중심으로 타측에 내외부쪽으로 향하여 회전운동을 하면서 개폐되게 되어 있다.
즉,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라리드(101)를 닫으면 이의 자유단내측에 구 비된 잠금브라켓트(102)의 굴곡형상에 의해 연료주입구(108)의 측벽(109)의 대응하 는 위치에 있는 필라리드 오프너(102)의 굴곡형상에 의해 연료주입구(108)의 측벽 (109)의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필라리드 오프너(105)가 B방향으로 이동되다가 상기 잠금브라켓트(102)의 걸림구멍(103)과 정합되어지면 상기 오프너(105)를 지지하는 스 프링(106)의 탄발력에 의해 A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로킹된 상태를 유지하고, 운전석에서 필라리드손잡이를 당기면 필라리드오프너(105)는 B방향으로 당겨지면서 걸림구멍(103)으로 부터 이탈되고 동시에 필라리드(101)는 토션스프링(104)의 탄발력 에 의해 개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필라리드의 구조체는 부주의등에 의해 연료주입후 필라리드(101)를 완전하게 닫지 않든지, 또는 오프너(105)나 잠금브라켓트(102)의 고장등에 의해 로킹상태가 정상적으로 유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주행할 경우에는 필라리드(101)가 자유로이 여닫히게 되어 이로 인한 소음과 인접하는 다른 차량이나 물체등과 부딪쳐 필라리드 차체와 다른 차의 손상의 위험 및 안전사고 발생될 염려가 있는 등의 결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필라리드 구조체가 갖는 결함을 제거하기 위하여 직선운동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게 한 필라리드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와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연료주입용 필라리드(10)를 채용한 경우의 덮개부(11)를 닫은 상태와 개방시킨 상태를 각각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3도는 제1도의 선 A-A에 의한 단면도이고, 제4도는 제1도의 선 B-B에 의한 단면도이다.
제1 - 4도에서, 필라리드(10)는 외부로 노출되어 차체의 이웃패널과 동일평면을 이루는 덮개부(11)와 상기 덮개부(11)의 가장자리로 부터 내부쪽으로 굴곡지면서 연장되어 형성된 앞뒤쪽의 사하에 있는 가이드(12, 13)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가 이드(12, 13)의 활주를 가능하게 하는 1쌍의 가이드레일(14)이 차체아웃패널의 내측 에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어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덮개부(11)의 앞쪽외부면에는 개폐용 손잡이 홈(15)이 형성되어 있고, 뒤 쪽 양가이드(13) 사이의 플랜지에는 일단이 차체에 고정되어 있는 인장스프링(16)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필라리드(10)의 내측앞부분에는 내부쪽으로 개방된 요홈을 가진 로드걸림브라켓트(17)가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레일(14)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형상을 직선형으로 할 경우 필라리드(10)의 개방동작시에 필라리드(10)와 차체 아웃패널이 간섭될 것이므로 (C부분)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이드레일(14)에 굴곡부를 형성하여 필라리드(10) 가 내측으로 밀려들어가면서 개방될 수 있는 구조로 한다.
한편, 와이어 캐이블(18)을 통해 운전석에 있는 필라리드손잡이와 연동되게 필 라리드오프너(19)는 주입구(20)를 감싸고 있는 측벽(21)을 관통하여 브라켓트(22)에 지탱되면서 필라리드(10)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오프너(19)와 필라리드(10) 사이에는 이들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측벽(21)에 고정되어 있는 로드지지브라켓트(23)가 구성되어 있고, 로드지지브라켓트(23)의 자유 단에는 로드(24)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로드(24)의 일단은 오프너 (19)의 단부(19A)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필라리드(10)의 내벽에 부착된 로드걸림 브라켓트(17)의 요홈에 걸쳐질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에 따른 필라리드 구조체의 작동에 대해 설 명하면 다음과 같다.
필라리드(10)가 닫혀 있을 때는 스프링(25)의 탄발력에 의해 로드(24)는 로드걸림 브라켓트(17)의 요홈속에 끼워져 필라리드(10)가 인장스프링(16)에 의해 개방될려는 것을 저지시키면서 로킹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로킹되어 있는 필라리드를 개방시키기 위해 운전석의 필라라드 손 잡이를 당기면 오프너(19)가 스프링(25)을 압축시키게 되고, 이때 로드지지 브라켓트(23)를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된 로드(24)의 일단은 오프너(19)와 함께 앞쪽으로 이동하고, 타단은 두쪽으로 이동하면서 로드걸림브라켓트(17)의 요홈으로 부터 이탈되게 된다. 즉 필라리드(10)의 로킹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로킹상태가 해제되면 필라리드(10)는 그의 뒤쪽에 연결되어 있는 인장스프링(16)의 힘을 받아 가이드레일(14)을 활주하는 수단에 의해 뒤로 이동하면 서 개방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즉, 필라리드(10)는 차체 아웃패널의 내측으로 들어가면서 개방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개방되어 있는 필라리드(10)를 닫을 때에는 덮개부(11)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홈(15)을 이용하여 필라리드(10)를 앞으로 당기면 로드(24)의 일단이 로드걸 림브라켓트(17)의 요홈을 이루는 앞면과 부딪쳐 회전운동을 한 후 상기 앞면과 이탈되는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원위치로 되돌아와 요홈속에 정착되면서 로킹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필라리드 구조체를 사용하면 필라리드(10)의 개폐시 차체의 외곽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으므로 부주의로 필라리드(10)를 개방시킨 상태로 주행을 하더라도 필라리드가 돌출되지 않아 외부와의 접촉에 의해 손상될 염려가 없고, 또 필라리드(10)의 내부쪽으로 굴곡져 형성된 가장자리의 덕분으로 필라리드(10)와 차체 아웃패널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아 필라리드(10)를 로킹시키면 내부로 먼지나 물이 스며드는 현상도 방지시킬 수 있는 잇점도 얻을 수가 있다.

Claims (3)

  1. 자동차 연료주입용 필라리드 구조체에 있어서, 외부로 노출되는 덮개부(11) 와 상기 덮개부(11)의 가장자리로 부터 내부로 굴곡져 형성된 가이드(12, 13)로 이루어진 필라리드(10), 차체 아웃패널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12, 13)의 활주를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레일(14), 상기 필라리드(10)의 내벽에 설치되어 내부쪽으로 개방된 요홈을 형성하고 있는 로드걸림 브라켓트(17), 및 측벽(21)에 지탱되어 있는 로드지지브라켓트(23)에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오프너(19)와 연동되어 상기 요홈에 착탈가능하게 된 로드(2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리드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14)은 내부쪽으로 굴곡진 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리드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리드(10)는 그의 뒤쪽에 연결된 스프링(16)에 의해 개방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리드 구조체.
KR2019950026184U 1995-09-26 1995-09-26 자동차의 피라리드 구조체 KR2001481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6184U KR200148140Y1 (ko) 1995-09-26 1995-09-26 자동차의 피라리드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6184U KR200148140Y1 (ko) 1995-09-26 1995-09-26 자동차의 피라리드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2730U KR970012730U (ko) 1997-04-25
KR200148140Y1 true KR200148140Y1 (ko) 1999-06-15

Family

ID=19424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6184U KR200148140Y1 (ko) 1995-09-26 1995-09-26 자동차의 피라리드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814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2730U (ko) 199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4618A (en) Automotive sliding door stop for fuel filler access lid
US4596416A (en) Glove compartment for motor vehicle
JP5267013B2 (ja) 車両のスライドドア構造
KR930003580B1 (ko) 자동차의 캔버스톱
EP0357542B1 (en) Vehicle construction of automobile provided with slide door
JP5790221B2 (ja) 車両用ルーフ装置
JP4722262B2 (ja) 乗物用オープンルーフ構造
US5718472A (en) Automotive slide roof system
US20050279025A1 (en) Vehicle slide door apparatus
JPH07149153A (ja) 車両用サンルーフ装置
KR200148140Y1 (ko) 자동차의 피라리드 구조체
US4845890A (en) Side window for motor vehicle
JPH0120087B2 (ko)
JP4101360B2 (ja) 乗り物用オープンルーフ構造
KR20190060403A (ko) 자동차용 도어 레귤레이터
KR100411158B1 (ko) 선바이저에 장착된 거울의개폐장치
GB2433295A (en) Vehicle window regulator
JP4696381B2 (ja) サンルーフ装置
JPH0356095Y2 (ko)
KR20040063357A (ko) 원터치 개폐 방식의 자동차용 컵 홀더
KR200142385Y1 (ko) 승합차량의 슬립방지식 도어구조
KR0131181Y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잠금장치
JP2710057B2 (ja) スライド式ドア車のガイドレール構造
JPH06293220A (ja) 自動車用サンルーフにおけるサンシェードの案内装置
JP3216980B2 (ja) 車両用スライド扉の自動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