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7764Y1 - 유료방송 수신장치 - Google Patents

유료방송 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7764Y1
KR200147764Y1 KR2019940009295U KR19940009295U KR200147764Y1 KR 200147764 Y1 KR200147764 Y1 KR 200147764Y1 KR 2019940009295 U KR2019940009295 U KR 2019940009295U KR 19940009295 U KR19940009295 U KR 19940009295U KR 200147764 Y1 KR200147764 Y1 KR 2001477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cr
output
decoder
signal
ca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92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4602U (ko
Inventor
조현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400092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764Y1/ko
Publication of KR9500046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6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7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7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료방송 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낼+디코더와 TV가 접속된 VCR에 있어서, 이 VCR과 커낼+디코더의 접속여부를 판단하여 커낼+채널이 메모리된 후 커낼+방송채널을 선국할 때 VCR과 디코더의 임피던스 매칭에 의해 VCR과 커낼+디코더의 접속여부를 판단하는 디코더접속검출부를 구비하여 커낼+디코더가 VCR에 접속되지 않아도 유립되는 유료방송을 디코더를 거치지 않고 커낼+방송신호를 수신 및/또는 기록할 수 있는 효과와 스크램블된 커낼+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커낼+디코더와 VCR의 접속여부를 용이하체 판단 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료방송 수신장치
제1도는 종래의 유료방송 수신장치의 블럭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유료방송 수신장치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VCR 2 : 커낼+디코더
3 : TV 20 : 디코더접속검출부
21 : 동기분리기 22 : 평활회로
23 : 비교기 24 : 전원공급제어기
25 : 스위치
본 고안은 유료방송을 수신하는 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료방송디코더와 수신장치와의 접속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유료방송 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프랑스뿐만 아니라 독일, 스페인등 다른 유럽국가에서도 유료방송 프로그램이 늘어나면서 스크램블된 방송신호를 스크램블 해제하기 위한 디코더를 접속할 수 있는 잭을 비디오 기기에 부가하도록 하는 요구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SECAM방식의 TV방송을 수신하는 칼라텔레비젼(TV) 또는 VCR에서는 별도의 커낼+잭(CANAL+ Jack:21pin scart-jack)을 추가하여 유료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커낼+디코더(CANAL+ Decoder:일명 유료방송 디코더라고 한다)를 접속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커낼+채널 방식 또는 커낼+ 방송방식이란 방송사로부터 송출된 스크램블된 방송신호를 해독하는 디코더가 있어야만 수신하여 볼 수 있는 방송으로서, 통상적으로 무선(RF)신호를 이용한 유료방송방식이다. 상술한 커낼+방송은 암호화된 방송신호를 커낼+디코더를 통해 해독하여 수신하는 데, 시청자가 커낼+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경로는 기본적으로 크게 텔레비젼 커낼+(TV CANAL+)과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커낼+(VCR CANAL+)로 분류할 수 있다. TV CANAL+이란 VCR이 전원 오프된 상태에서(이때에도 전원코드는 전원과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 이를 전원대기(stand-by)전원이라고 한다) TV의 튜너로 수신한 커낼+방송을 VCR에 접속된 커낼+디코더를 통해 스크램블을 해제하여 그 결과를 TV에 입력하는 경로를 말한다. 여기서, VCR에 투입되는 전원은 상기 stand-by전원, Power-on전원, 재생시 공급되는 전원인 PB전원 및 기록시 공급되는 전원인 REC전원으로 분류되어 공급된다.
한편, VCR CANAL+이란 VCR의 전원을 온한 상태에서 VCR튜너(11)로 수신한 커낼+방송을 커낼+ 시코더(2)로 전송하여 커낼+방송신호를 스크램블 해제한 다음, VCR로 녹화하면서 TV로는 일반방송을 시청하는 경로, 혹은 VCR의 튜너(11)로는 일반방송을 녹화하고 TV로 수신한 커낼+ 방송은 VCR에 접속된 커낼+ 디코더(2)에서 해독하여 VCR과 연결하기 위한 에이브이(AV) 잭을 통해 TV의 AV포트로 수신하는 경로를 말한다.
제1도는 종래의 커낼+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장치의 블럭도이다.
VCR(1)과 TV(3)와 같은 커낼+방송 수신장치에서, 커낼+ 디코더(2)는 VCR(1) 또는 TV(3)와 직접 접속가능하지만 여기서는 커낼+ 디코더(2)가 VCR(1)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 VCR(1)은 TV(3)와도 접속되어 스크램블이 해재된 방송 또는 일반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즉, VCR(1)을 TV(3) 및 커낼+ 디코더(2)와 접속시켜 커낼+방송을 수신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TV CANAL+과 VCR CANNAL+을 만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제1도에 있어서, VCR(1 )의 제1튜너 (11)의 입력단은 안테나(ANT)에 접속되고, 출력단은 제1복조기(12)의 입력단에 접속된다.
제1스위치(SW1)의 접점 b은 제1복조기(12)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접점 c는 AV입력단(AV. IN)에 접속되고, 제1스위치(SW1)의 출력단은 제1증폭기(13)의 입력단에 접속되고, 제1증폭기 (13)의 출력단은 커낼+ 디코더(2)의 비디오입력단(VIDEO IN)에 접속된다. '4'는 VCR(1)과 커낼+디코더(2)를 연결하는 커낼+ 잭이다.
제2스위치(SW2)의 접점 b는 제1복조기(12)의 출력단에 접점 c는 AV입력단(AV IN)에, 접점 d는 VCR(1)의 라인 입력단(LINE IN)에, 접점e는 커낼+ 디코더(2)의 비디오 출력단(VIDEO OUT)에 각각 접속되고, 제2스위치(SW2)의 출력단(a)은 제1비디오신호처리기(14)의 입력단에 접속된다. 제1비디오신호처리기 (14)의 출력단은 제2증폭기(15) 및 기록/재생기(17)의 입력단에 접속된다.
제3스위치(SW3)의 접점 c은 제2증폭기(15)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접점 b는 커낼+ 디코더(2)의 비디오 출력단(VIDEO OUT)에 접속되고, 출력단(a)는 VCR(1)의 AV출력단(AV OUT) 및 타 입력단은 전원공급기(19)의 출력단에 접속된 변조기(18)의 입력단에 접속된다.
마이크로 컴퓨터(16)는 상기 제1, 제2, 제3스위치(SW1, SW2, SW3)에 커낼+포지션신호, 제1 및 제2선택신호, VCR/TV 모드제어신호를 각각 제공한다. 마이크로컴퓨터(이하 마이콤이라고 함)(16)의 VCR/TV모드 제어신호 출력포트(VCR/TV)는 제3스위치(SW3)의 제어접점, 전원공급기(19)의 제어입력단 및 다이오드(D2)를 통해 커낼잭(5)의 AV제어출력단(AV CTL)에 접속되고, 제1 및 제2선택신호출력포트(SELECT 1, SELECT 2)는 제3 및 제4다이오드(D3,D4)를 통해 제2스위치(SW2)의 제어접점에 접속되고, 커낼+ 포지션출력단(CANAL+ POSITION)은 제1스위치(SW1 )의 제어접점에 접속된다. 다이오드(D5,D6)는 각각 다이오드(D3,D4)와 마이콤(16)의 커낼+ 포지션 출력포트 사이에 접속된다.
TV(3)의 제2튜너(31)의 입력단은, 안테나(ANT)에 연결된 VCR(3)의 RF출력단(35)에 접속된다. 제2복조기(32)의 입력단은 제2튜너(31)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출력단은 커낼잭(5)의 AV입력단(AV IN) 및 VCR/TV모드 선택스위치인 제4스위치(SW4)의 TV신호입력접점 c에 접속된다. 제4스위치(SW4)의 VCR신호입력접점 b는 커낼잭(5)의 AV출력단(AV OUT)에 접속되고, 출력단은 제2비디오신호처리기(33)의 입력단에 접속되며, 제어접점은 커낼잭(5)의 AV제어출력단(AV CTL)에 접속된다. 제2비디오신호처리기(33)의 출력단은 브라운관(34)에 접속된다.
이어서, 제1도에 도시된 수신장치의 동작을 아래의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상기 표 1의 5가지의 기본 상태를 기술한다.
① VCR모드에서 일반방송을 수신하는 경우
커낼+ 방송이 아니므로 커낼+ 포지션신호는 로우이며, 커낼+ 디코더(5)의 제어신호도 로우이다.
VCR(1)은 안테나(ANT)로부터 수신되는 관련있는 일반방송채널을 제1튜너(11)를 이용하여 선택하고, 제1복조기(12)에서 무선방송신호를 비디오신호로 복조한다.
제1스위치(SW1)는 접점 c, 제2스위치(SW2)는 접점 b에 연결 되므로 제1복조기(12)의 출력은 제1비디오신호처리기(14)에서 비디오신호 처리된다. 신호처리된 비디오신호는 VCR모드에서 접점 c로 연결되는 제3스위치(SW3)를 통해 AV출력단(AV OUT)으로 출력되거나 기록/재생기 (17)에 입력되어 기록하게 된다.
VCR모드에서 제4스위치(SW4)는 접점 b로 연결되므로 제1비디오 신호 처리기(14)의 출력은 제2비디오신호처리기(33)에 입력된 후 브라운관(34)으로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일반방송신호는 VCR부(1)에서 신호처리되어 커낼잭(5)의 AV출력단(AV OVT)을 통해 TV부(3)에 출력되어 일반방송을 시청자는 시청할 수 있게 된다.
② VCR모드에서 커낼+ 방송을 수신하는 경우
우선, 사용자는 VCR을 구입하여 처음 방송수신채널을 프리셋(PRESET)할 때, 특별히 CANAL+ 방송채널에 대해서 커낼+ 포지션 채널로 구분시켜 저장하고, 저장된 커낼+ 포지션 채널을 선택하면 마이콤(16)의 커낼+ 포지션포트의 출력은 하이가 된다.
따라서, VCR모드에서 커낼+ 방송을 수신하는 경우, 커낼+포지션 신호는 하이가 되고 커낼+디코더(2)의 제어신호도 하이가 된다. 그리고, 제1스위치(SW1)는 접점 b로 연결되어 튜닝되고 복조된 비디오 신호는 제1증폭기(13)를 통해 커낼+ 디코더(2)의 비디오입력단(VIDEO IN)에 입력된다. 커낼+ 디코더(2)로 입력된 스크램블된 비디오신호는 해제되어 정상 비디오신호로서 다시 비디오출력단(VIDEO OUT)을 통해 VCR(1)로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커낼+ 포지션신호가 하이일 때, 마이콤(16)으로부터 출력되는 제1 및 제2선택신호는 강제적으로 하이, 하이를 출력하게 되므로 제2스위치(SW2)는 접점 e에 연결된다. 따라서 커낼+ 디코더(2)의 비디오출력단(VIDEO OUT)으로부터 스크램블이 해제된 비디오신호를 제1비디오신호처리기(14)에 입력하기 위해서 제2스위치(SW2)를 통해 선택한다.
선택된 스크램블이 해제된 커낼+ 방송신호는 제1비디오신호 처리기 (14)를 거쳐 VCR모드에서 일반방송을 수신하는 경우처럼 TV부(3)에 출력되어 TV화면에 디스플레이되거나 기록/재생기(17)에 입력되어 기록하게 된다.
③ VCR모드에서 일반 커낼+ 방송을 수신하는 경우
커낼+ 방송이 ②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될 때 제1스위치(SW1)는 접점 b에 연결되고, 수신된 방송신호는 커낼+ 디코더(2)에 제공된다.
그러나, 커낼+ 디코더(2)의 제어신호는 로우가 되므로 입력된 방송신호의 스크램블은 해제하지 않는다.
따라서, 스크램블된 커낼+ 방송은 제1 및 제2선택신호에 따라 접점 e로 단락되는 제2스위치(SW2)를 통해 제1비디오신호처리기(14)에 입력 되고, 제1비디오신호처리기(14)의 출력은 접점 c에 연결되는 제3스위치(SW3)와 접접 b에 연결되는 제4스위치(SW4)를 통해 제2비디오신호 처리기(33)에 입력된 후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④ TV모드에서 커낼+ 방송을 수신하는 경우
VCR모드에서 커낼+ 방송을 수신하는 경우에만 하이가 되므로 커낼포지션신호는 로우이고, 커낼+ 디코더(2)의 제어신호는 하이가 된다. 이때 제1스위치(SW1)는 접점 c에 연결되므로 커낼+ 디코더(2)의 비디오입력단(VIDEO IN)은 TV부(3)의 제2복조기(32)의 출력단에 연결된다.
이때, VCR(1)에서 선택되는 방송채널은 커낼+ 방송채널임에 틀림 없으며, 이 커낼+ 방송신호는 제2튜너(31)를 거쳐 제2복조기(32)에 입력된다.
TV(3)의 제2복조기(32)에 의해 복조된 커낼+ 방송신호는 제1스위치(SW1)에 의해 선택되고, 제1증폭기(13)에서 증폭되어 커낼+ 디코더(2)에 공급되고, 커낼+ 디코더(2)에서는 공급된 커낼+ 방송신호의 스크램블을 해제하여 정상 방송신호로 변환한다.
커낼+ 디코더(2)에서 스크램블이 해제된 커낼+ 방송신호는 접점 b에 연결되는 제3스위치(SW3), 커낼+ 디코더(2)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접점 b에 연결되는 제4스위치(SW4)를 통해 TV(3)의 제2비디오신호처리기(33)에 제공된다.
⑤ TV모드에서 일반방송을 수신하는 경우
안테나(ANT)에 의해 수신되는 일반방송신호는 TV(3)의 제2튜너(31)와 제2복조기(32)를 통해 튜닝되고, 복조된다. 복조된 출력은 마이콤(16)으로부터 VCR/TV모드제어신호에 의해 제4스위치(SW4)가 TV신호입력 접점 c에 연결됨에 따라 제2비디오 신호처리기(33)에 제공되어 TV화면에 디스플레이 된다.
이때, 커낼+ 포지션신호와 커낼+ 디코더(2)의 제어신호는 로우이며, 제1스위치(SW1)는 접점 c에, 제2스위치(SW2)는 접점 c에, 제3스위치(SW3)는 접점 b에 연결된다.
한편, 제2스위치(SW2)는 마이콤(16)의 제1 및 제2선택제어포트(SELECT1, SELECT2)로부터 출력되는 선택제어신호가 로우, 로우이면 접점 d로 연결하여 라인입력단(LINE IN)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선택하고, 로우, 하이이면 접점 c로 연결하여 커낼잭(5)의 AV입력단(AV IN)으로 입력되는 제2복조기(32)의 출력신호를 선택하고, 하이, 하이이면 접점 e로 연결하여 커낼+ 디코더(2)의 비디오출력단(VIDEO OUT)으로 출력되는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변조기(18)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설정되는 VCR/TV선택 모드제어신호에 따라 VCR모드이면 변조기(18)는 온되고, TV모드이면 변조기(18)는 오프된다. 그리고, 제3스위치(SW3) 및 제4스위치(SW4)의 절환동작도 사용자의 선택사양이며, VCR/TV선택모드의 지정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VCR모드이면 제3스위치(SW3)는 접점 c에, 제4스위치(SW4)는 접점 b에 연결되고, TV모드이면 제3스위치(SW3)는 접점 b에, 제4스위치(SW4)는 접점 c에 연결된다.
그런데 종래의 VCR부(1)에서는 ③VCR모드에서 커낼+ 방송을 수신하는 경우, 만일 커낼+ 포지션채널을 저장한 후에 커낼+ 디코더(2)가 VCR(1)에 접속되지 않더라도, 제2스위치(SW2)에서는 접점 e에 접속하여 커낼+ 디코더(2)의 출력을 선택하므로 VCR튜너(11)로 수신된 커낼+ 방송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경로가 없었으며, 또한 커낼+ 방송채널의 방송신호중에서 스크램블이 안된 일반프로그램신호는 VCR(1)에 녹화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④ TV모드에서 커낼+ 방송을 수신하는 경우에도 커낼+ 포지션채널을 저장한 후에 커낼+ 방송채널을 선택할 때, 커낼+ 디코더(2)가 VCR(1)에 접속되지 않으면 TV(3)의 튜너(31)로 수신한 커낼+ 방송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없었으며, 커낼+ 방송채널의 방송신호중에서 스크램블이 안된 일반프로그램 신호는 TV(3)를 통해 시청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커낼+ 디코더를 VCR과 접속하고, TV모드로 커낼+ 방송수신시 수동적으로 커낼+ 디코더를 TV와 연결시키지 않고도 정상적인 화면을 볼 수 있는 VCR의 커낼+ 디코더 스위치회로는 동출원인이 출원한 미합중국 특허번호 4, 995,079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유료방송 채널선국시 방송수신기와 유료방송 디코더의 접속여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는 유료방송 수신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방송수신기와 유료방송 디코더의 접속여부를 판단하여 유료방송 채널선국시 유료방송 디코더가 접속되지 않으면 안테나를 통해 유입되는 유료방송을 디코더를 거치지 않고 수신 및/또는 기록하는 유료방송 수신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영상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접속되는 제1영상기기와 제2영상기기의 접속여부를 검출하는 접속검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유료방송 수신장치는 스크램블된 유료방송신호를 정상신호로 변환하는 유료방송 디코더를 구비하여 상기 유료방송 디코더로부터 스크램블이 해제된 신호를 수신하여 TV에 출력하거나 기록/재생하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VCR)에 있어서,
상기 유료방송 디코더의 입력단을 VCR부의 복조기의 출력단 또는 TV부의 복조기의 출력단에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제1스위칭수단;
VCR부의 비디오신호처리기의 입력단을 적어도 상기 VCR부의 복조기의 출력단, 상기 TV부의 복조기의 출력단 또는 상기 유료방송 디코더의 출력단에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제2스위칭수단;
VCR/TV선택모드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며, 출력단을 VCR모드에서는 상기 VCR부의 비디오신호처리기의 출력단에 접속시키고, TV모드에서는 상기 유료방송디코더의 출력단에 접속시키는 제3스위칭수단;
TV부의 비디오신호처리기의 입력단을 상기 TV의 복조기의 출력단 또는 상기 제3스위칭수단의 출력단에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제4스위칭수단;
상기 제1스위칭수단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유료방송 디코더와 VCR과의 접속여부를 임피던스 매칭여부에 따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디코더접속 검출수단; 및
VCR/TV모드와 유료방송/일반방송모드인지를 인식하고, 상기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제2스위칭수단을 제어하여 VCR모드에서 유료방송을 수신시는 상기 제2스위칭수단이 상기 VCR부의 복조기의 출력을 선택하도록 제어하고, TV모드에서 유료방송수신시는 상기 TV부의 복조기의 출력을 선택하여 선택된 출력이 상기 제3스위칭수단을 통해 TV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유료방송 수신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유료방송 수신장치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면이다.
제1도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치고, 동일한 구성 및 동작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도에 의하면, 제1증폭기(13)의 출력단에 접속된 동기분리기(21), 동기분리기(21)의 출력단에 접속된 평활회로(22), 평활회로(22)의 출력단에 접속된 비교기(23), 비교기(23)의 출력단에 접속되며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는 스위치(25), 동기분리기(21), 평활회로(22), 비교기(23), 스위치(25)에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전원공급제어기(24)로 구성되는 디코더 접속검출부(20)와,
스위치(25)의 출력단에 접속된 인버터(INV)와, 마이콤(16)의 VCR/TV모드제어신호 출력포트 및 제3스위치(SW3)의 제어접점 사이에 접속된 다이오드(D7)와, 인버터(INV)의 출력단과 제3스위치(SW3)의 제어접점 사이에 접속된 다이오드(D8)와, 인버터(INV)의 출력단과 잭(5)의 AV CTL단자 사이에 접속된 다이오드(D9)가 부가되어 있다.
이어서, 제2도에 도시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유료방송 수신장치에서도 제1도에 설명한 ① ∼ ⑤모드를 수행한다.
먼저, VCR모드에서 커낼+ 방송을 수신하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가 VCR을 구입하여 처음 방송채널을 프리셋할 때 특별히 커낼+ 방송채널에 대해서 커낼+포지션 채널을 구분시켜 저장하고, 저장된 커낼+ 포지션 채널을 선택하면 커낼+ 포지션신호가 하이가 된다.
커낼+ 포지션신호가 하이가 되면 제1스위치(SW1)는 접점 b로연결되어, VCR 튜너(11)를 통해 입력되는 비디오신호는 제1증폭기(13)를 거쳐 커낼+ 디코더(2)의 비디오입력단(VIDEO IN)에 입력된다.
또한, 커낼+ 포지션신호가 하이일 때 마이콤(16)의 제1 및 제2선택제어포트(SELECT1, SELECT2)로부터 출력되는 하이, 하이신호에 따라 제2스위치(SW2)는 접점 e로 연결되어 커낼+ 디코더(2)의 스크램블이 해제된 비디오신호를 선택한다.
이때, 디코더 접속검출부(20)는 VCR(1)과 커낼+ 디코더(2)와의 접속여부를 검출한다. 검출한 결과가 VCR(1)과 커낼+ 디코더(2)가 접속되지 않으면 제2스위치(SW2)를 제어하는 제1선택스위치(SW1)를 로우로 강제적으로 제어하여 제2스위치(SW2)가 VCR부(1)의 제1튜너(11)를 거친 비디오신호를 선택하게 하므로써 스크램블된 커낼+ 방송을 수신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커낼+ 디코더(2)가 접속되지 않았음을 판단할 수 있으며, 커낼+ 방송신호 중 일반 프로그램을 수신 또는 기록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1. VCR과 커낼+ 디코더가 접속된 경우
커낼+ 포지션채널이 선택되어 커낼+ 포지션신호가 하이가 되면, 전원공급제어기(24)에서는 동기분리기(21), 평활회로(22), 비교기(23), 스위치(25)를 온시키기 위하여 전원을 공급한다.
디코더 접속검출기(20)의 전원이 온될 때, 커낼+ 디코더(2)가 정상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면 VCR(1)과 커낼+ 디코더(2)의 임피던스의 매칭에 의해 동기분리기(21)와 평활회로(22)를 거쳐 비교기(23)에 입력되는 동기신호(SYNC)의 크기는 0.3Vp-p가 된다. 표준비디오신호의 크기는 1Vp-p이고, 이중에서 동기신호의 크기는 0.3Vp-p가 된다.
이 동기신호의 크기는 비교기(23)에서 설정된 기준전압(여기서는 0.45V)과 비교하여 기준전압보다 작으면 로우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스위치(25)는 오프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스위치(25)의 출력신호는 하이가 되며, 이 신호는 인버터 (INV)를 통해 로우신호로 인버팅되어 다이오드(D8)에 입력되지만 다이오드(D8)는 차단되므로 제3스위치(SW3)의 절환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제2스위치(SW2)는 마이콤(16) 으로부터 출력되는 하이, 하이 선택제어신호에 의해 접점 e에 단락되어 커낼+ 디코더(2)의 출력을 선택한다.
2. VCR과 커낼+ 디코더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
커낼+ 디코더(2)에 대해 임피던스가 오픈되어 동기분리기(21)와 평활회로(22)를 거쳐 비교기(23)에 입력되는 동기신호(SYNC)의 크기는 상기 (1)경우의 2배인 0.6Vp-p가 된다.
이 동기신호의 크기는 비교기(23)에서 설정된 기준전압(0.45V)과 비교하여 기준전압보다 크므로 하이를 출력하여 스위치(25)를 온시킨다.
스위치(25)가 온되면 스위치(25)의 출력신호는 로우신호가 되어 마이콤(16)으로부터 출력되는 제1선택제어신호(SELECT1)를 강제적으로 로우로 만든다. 제2스위치(SW2)에 입력되는 선택제어신호가 로우, 하이가 되면, 제2스위치(SW2)는 접점 b로 연결시켜 VCR튜너(11)를 거친 비디오신호를 선택한다. 따라서 커낼+ 디코더(2)가 접속되지 않아도 스크램블이 해제되지 않는 커낼+ 방송, 또는 커낼+ 방송중에서 일반방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스위치(25)의 출력신호는 로우이며, 인버터(INV)를 통해 하이신호가 되고, 다이오드(DS)를 통해 제3스위치(SW3)의 제어신호로 입력된다. 이때, 제3스위치(SW3)는 마이콤(16)으로부터 출력되는 하이상태의 VCR모드제어신호에 의해 접점 c에 단락되어 있으므로 절환동작이 바뀌지 않는다.
다음, TV모드에서 커낼+ 방송을 수신하는 경우에 있어서
3.VCR과 커낼+ 디코더가 접속된 경우
TV튜너(31)에서 수신한 커낼+ 방송은 제1스위치(SW1)를 통해 커낼+ 디코더(2)에서 스크램블이 해제되어 접점 c에 접속되는 제2스위치(SW2), 접점 b에 연결되는 제3스위치(SW3), 접점 b에 접속되는 제4스위치(SW4)를 통해 스크램블이 해제된 커낼+ 방송신호를 TV에서 수신한다.
이때, 디코더 접속검출부(20)의 동작은 상술한 (1) VCR모드에서 커낼+ 방송을 수신하는 경우와 동일하다. 이때, 스위치(25)의 출력신호는 하이가 되며, 이 신호는 인버터(INV)를 통해 로우신호로 인버팅되어 다이오드(D8)에 입력되지만 다이오드(D8)는 차단되므로 제3스위치(SW3)의 절환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4. VCR과 커낼+ 디코더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
디코더 접속검출부(20)의 동작은 상술한 (2) 경우와 동일하다.
이때, 스위치(25)의 출력신호는 로우이며, 인버터(INV)를 통해 하이신호가 되고, 다이오드(D8)를 통해 제3스위치(SW3)의 제어신호로 입력된다. 이때, 제3스위치(SW3)는 마이콤(16)으로부터 출력되는 로우상태의 TV모드제어신호에 의해 접점 c에 단락되어 있으므로 인버터(INV)의 출력 하이신호는 다이오드(D8)를 통해 강제적으로 제3스위치 (SW3)를 접점 b에 단락시킨다.
따라서, 제2튜너(31)로 입력된 커낼+ 방송은 AV입 력단과 접점 c에 접속된 제2스위치(SW2)를 통해 제1비디오신호처리기(14)에 출력되고, 제1비디오신호처리기(14)의 출력은 접점 b에 접속된 제3스위치(SW3)와 AV출력단을 통해 TV에 수신된다. 이때, VCR에 전원이 투입되지 않으면 제1비디오신호처리기(14), 제2증폭기(15)등이 동작되지 않으므로, TV모드에서 커낼+ 방송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Stand-by전원이 투입되어 있어야 한다.
본 고안의 디코더 접속검출부(20)는 처리된 비디오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접속되는 제1 및 제2영상기기와의 접속여부를 검출하는 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유료방송 수신장치는 VCR과 커낼+ 디코더의 접속여부를 검출하여 VCR과 커낼+ 디코더가 접속되지 않아도 VCR모드 또는 TV모드에서 커낼+ 방송을 수신하는 경우 스크램블 해제되지 않은 커낼+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VCR과 커낼+디코더의 접속여부를 용이하게 판단 할 수 있는 효과와, 커낼+ 방송신호 또는 일반 방송프로그램을 수신 또는 기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스크램블된 유료방송신호를 정상신호로 변환하는 유료방송디코더를 구비하여 상기 유료방송디코더로부터 스크램블이 해제된 신호를 수신하여 TV에 출력하거나 기록/재생하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에 있어서, 상기 유료방송 디코더의 입력단을 VCR부의 복조기의 출력단 또는 TV부의 복조기의 출력단에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제1스위칭수단; VCR부의 비디오신호처리기의 입력단을 적어도 상기 VCR부의 복조기의 출력단, 상기 TV부의 복조기의 출력단 또는 상기 유료방송 디코더의 출력단에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제2스위칭수단; VCR/TV선택모드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되며, 출력단을 VCR모드에서는 상기 VCR부의 비디오신호처리기의 출력단에 접속시키고, TV모드 에서는 상기 유료방송디코더의 출력단에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제3스위칭수단; TV부의 비디오신호처리기의 입력단을 상기 TV의 복조기의 출력단 또는 상기 제3스위칭수단의 출력단에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제4스위칭 수단; 상기 제1스위칭수단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유료방송디코더와 VCR과의 접속여부를 임피던스 매칭여부에 따라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디코더접속 검출수단; 및 VCR/TV모드와 유료방송/일반방송모드인지를 인식하고, 상기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제2스위칭수단을 제어하여 VCR모드에서 유료방송을 수신시는 상기 VCR부의 복조기의 출력을 선택하도록 제어하고, TV모드에서 유료방송수신시는 상기 TV부의 복조기의 출력을 선택하여 선택된 출력이 상기 제3스위칭수단을 통해 TV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료방송 수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접속 검출수단은 상기 제1스위칭수단의 출력을 증폭하는 증폭기; 상기 제1스위칭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상기 비디오신호의 동기를 분리하는 동기분리기; 상기 동기분리기의 출력을 입력하여 직류신호로 출력하는 평활회로;상기 평활회로의 출력을 입력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레벨과 비교하는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의 결과에 따라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증폭기의 출력단자와 상기 유료방송디코더의 입력단자 사이의 임피던스 매칭여부에 따라 상기 동기분리기에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의 변화에 대응하여 VCR과 유료방송디코더의 접속여부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료방송 수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VCR모드에서 유료방송수신시 상기 제어수단은 SVCR부와 유료방송디코더가 접속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상기 스위칭수단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스위칭수단이 상기 VCR의 복조기의 출력을 선택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료방송 수신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TV모드에서 유료방송수신시 상기 제어수단은 VCR부와 유료방송디코더가 접속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상기 스위칭수단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스위칭수단이 상기 TV부의 복조기와 출력을 선택하고, 상기 제3스위칭수단이 상기 VCR부의 비디오신호처리기의 출력을 선택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료방송 수신장치.
  5. 처리된 비디오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단자를 갖는 제1영상기기와, 적어도 하나이상의 입력단자를 구비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단자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신호를 입력하는 제2영상기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영상기기와 제2영상기기의 접속여부를 검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영상기기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비디오신호의 동기를 분리하는 동기분리기; 상기 동기분리기의 출력을 입력하여 직류신호로 출력하는 평활회로; 상기 평활회로의 출력을 입력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레벨과 비교하는 비교기; 및 상기 비교기의 비교결과에 따라 비교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제1영상기기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2영상기기의 입력단자사이의 임피던스 매칭여부에 따라 상기 동기분리기에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의 변화에 대응하여 제1영상기기와 제2영상기기의 접속여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접속검출장치.
KR2019940009295U 1994-04-29 1994-04-29 유료방송 수신장치 KR2001477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9295U KR200147764Y1 (ko) 1994-04-29 1994-04-29 유료방송 수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9295U KR200147764Y1 (ko) 1994-04-29 1994-04-29 유료방송 수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602U KR950004602U (ko) 1995-02-18
KR200147764Y1 true KR200147764Y1 (ko) 1999-06-15

Family

ID=19382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9295U KR200147764Y1 (ko) 1994-04-29 1994-04-29 유료방송 수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76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602U (ko) 1995-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41290B2 (ja) 映像表示装置
US6381332B1 (en) Cable television setback decoder automatic control
JP2551513B2 (ja) Vtrとテレビとの結合装置
US5570198A (en) Paid broadcast receiving device with connection detecting capability
KR200147764Y1 (ko) 유료방송 수신장치
EP1280154A2 (en) Combined DVD player and VCR
JPH07240913A (ja) スクランブル信号受信装置
KR0140960B1 (ko) 브이씨알의 시청 가능 티브이 채널 자동 전환 장치
EP0432676B1 (en) Descrambling accessory for television signal receiver
JP3378799B2 (ja) ダブルデコーダ及びそれを備えた衛星放送受信装置
KR200194826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동작 모드 자동 절환 장치
JP2669960B2 (ja) 衛星放送受信信号切り換え装置
KR940008877B1 (ko) 브이씨알의 레코드 제어시스템
KR950005040B1 (ko) 브이씨알의 디스크램블링 시스템
JP3427029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835229B2 (ja) 映像・音声独立切換回路
JP2594816Y2 (ja) 衛星放送受信機
JPH0380689A (ja) 衛星放送受信チュ―ナ内蔵vtr
JPH06153165A (ja) 衛星放送受信機
KR0146137B1 (ko) 캠코더 거치대 및 이에 대응되는 캠코더
JP2911764B2 (ja) プリペイドカード式タイマー装置
KR100198340B1 (ko) 카날 플러스 방송 자동선택 방법
JPH05111023A (ja) スクランブル放送連動電源制御装置
KR20010045816A (ko) 티브이의 브이씨알(vcr)자동 절환장치 및 방법
JPH08317340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