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788Y1 - 에어백 오작동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 오작동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6788Y1
KR200146788Y1 KR2019930025021U KR930025021U KR200146788Y1 KR 200146788 Y1 KR200146788 Y1 KR 200146788Y1 KR 2019930025021 U KR2019930025021 U KR 2019930025021U KR 930025021 U KR930025021 U KR 930025021U KR 200146788 Y1 KR200146788 Y1 KR 2001467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irbag
collision
speed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50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3999U (ko
Inventor
김재영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300250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788Y1/ko
Publication of KR9500139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9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7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7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122Prevention of malfun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04Actuation parameters of safety arrangents
    • B60R2021/01211Expansion of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 B60R2021/0132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comprising variable thresholds, e.g. depending from other collision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에어백 오작동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중에 발생되는 작은 충돌에 의해 에어백이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에어백(air Bag) 오작동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은 차량의 하부보다나 샤시부에 충돌감지센서를 장착하여 상기 충돌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전송받아 에어백이 작동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충돌감지센서에 미약한 충돌현상이 발생하여도 에어백이 작동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30kph 이상의 상대속도로 충돌하였을 때만 충돌감지센서가 감지하여 에어백을 작동시키도록 함으로서 아파트 등에 설치된 범프 등에 의해 충돌이 발생하여도 충돌감지센서가 상대속도 30kph 이하로 감지되면 에어백이 작동하지 않게 되므로 좀더 효과적으로 고객서비스를 하게 된다.

Description

에어백 오작동 방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 오작동 방지장치의 구성배치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충돌속도 감지센서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블럭 회로도.
제4도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동작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에어백 센서 100 : 충돌속도 감지센서
110 : 제1스위치부 120 : 제2스위치부
130 : 커버 140 : 차체
150 : 푸시로드 155 : 스위치 감지부
170 : 스토퍼 190 : 차속센서
200 : 신호변환 인터페이스 300 : 마이크로 프로세서
400 : 에어백 콘트롤러 500 : 에어백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에어백 오작동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중에 발생되는 작은 충돌에 의해 에어백이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에어백 오작동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에어백은 차량의 충돌사고 발생시 운전자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이러한 에어백은 충돌감지센서가 충돌을 감지하여 에어백 모듈 내의 가스발생제를 폭발시켜, 그 폭발로 인하여 발생한 가스가 에어백을 팽창시키며, 팽창된 에어백이 스티어링 휠 커버를 젖히고 스티어링 휠 위로 치솟아 앞으로 기우는 운전자의 상체를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에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여 에어백을 작동시키도록 하는 충돌감지센서는 통상적으로 차량의 하부보다나 샤시부에 장착되어 차체가 받는 충격의 정도를 센싱하게 되므로, 차량의 하부 보디나 샤시가 노면의 장애물 등에 의해 크게 간섭을 받을 경우에도 감지가 되어서, 필요없이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오작동을 하게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다.
영국에 소재하는 교통연구소(Transport Research Lab)의 교통사고 분석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람과 차량의 접촉사고시 치사율을 보면 차량의 속도가 40mph일 경우 90%이고, 30mph일 경우에는 45%이며, 20mph일 경우에는 5%로 그 수치가 떨어지고 있다. 이 데이타로 알 수 있는 것은 20mph(약 30kph)이하의 속도에서는 차량에 부딪히는 사람의 치사율이 5%정도이므로 운전자에게는 거의 충격이 없는 정도이다. 따라서 20mph이하 속도에서의 충돌에서는 에어백이 작동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또는 차량 정비중에 잘못하여 충돌감지센서에 충격을 가하게 되므로서 에어백이 작동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에 미치는 상대차속과 주행속도를 감지하여 임의의 설정된 값 이상일 때만 에어백이 작동되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는 에어백 센서와 : 차량의 주행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와 : 차량의 전방 충돌시 충돌 차량의 상대속도를 감지하는 충돌속도 감지센서와 : 사기 충돌속도 감지세선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입력 받고 신호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변환 인터 페이스와 : 상기 에어백 센서, 차속센서, 및 신호변환 인터페이스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신호를 입력받고, 차량 충돌시의 상대속도와 주행속도 중 어느 하나라도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구동신호를 입력받아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에어백 콘트롤러 : 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에어백 오작동 방지장치의 구성배치도로서,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는 충돌속도 감지센서(100)와, 에어백 센서(40)가 차량의 충돌시에 이를 감지하여 에어백(500)을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충돌속도 감지센터(100)는 차량 전방부에 복수개 설치되며, 차량의 정면충돌시 충돌 차량의 상대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차량이 측방충돌을 받을 경우 상기 충돌속도 감지센서(100)는 작동하지 않더라고 에어백 센서(40)가 그 충돌을 감지하게 되고, 차속센서(190)에서 감지된 차량의 주행속도가 30kph 이상인 경우는 고객의 차량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한다는 뜻에서 에어백(500)을 작동시키도록 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충돌속도 감지센서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충돌속도 감지센터(100)은 차체(140)에 형성된 홀에 장착되는 커머(130)와, 상기 커버(130)의 내부로 끼워지되 상기 커버(130)의 반대측 벽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는 푸시로드(15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푸시로드(150)의 상면에는 스위치 감지부(155)가 돌설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130)의 내측면에 형성된 스토퍼(170)에 상기 스위치 감지부(155)가 걸림으로써 상기 푸시로드(150)는 동작이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130) 내측의 스토퍼(170)가 형성되어 있는 면에는 제1스위치부(110) 및 제2스위치부(120)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같은 상태에서 차량 충돌이 발생되면 그 충격력에 의해 상시 푸시로드(150)가 상기 커버(130)의 내부로 밀려들어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치 감지부(155)에 의해 상기 스토퍼(170)가 부러지면서 상기 제1스위치 감지부(155)가 접속을 하게 된다. 이때 감지된 신호가 신호변환 인터페이스(200)로 입력되고, 상기 신호변환 인터페이스(200)는 입력된 신호를 신호변환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300)로 입력한다. 이어서 상기 제1스위치부(110)도 부러지면 상기 스위치 감지부(155)는 제2스위치부(120)와 접속을 하게 된다. 이때 두번째 접속신호도 역시 신호변환 인터페이스(200)로 입력되며, 상기 신호변환 인터페이스(200)는 제1스위치부(110)의 경우에 서와 마찬가지로 입력된 신호를 신호변환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300)로 입력한다. 이 마일크로 프로세서(300)는 상기의 두 번에 걸쳐 입력된 신호의 시간차이와, 제1스위치부(110)와 제2스위치부(120)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여 푸시로드(150)의 속도를 산출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블럭회로도로서, 제1스위치부(110)와 제2스위치부(120)에 입력된 신호는 신호변환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마이크로 프로세서(300)에 입력된다. 그리고, 차량의 측면 충돌시에는 에어백 센서(40)가 이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300)에 입력하며, 차속센서(190)는 차량의 주행속도를 마이크로 프로세서(300)에 입력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0)는 입력된 각 신호를 임의의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한 후, 그 판단된 값에 따라 에어백 콘트롤러(400)에 구동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게 된다. 즉, 상기 에어백 센서(40)에 의하여 차량의 충돌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차속센서(190)로부터 입력되는 차량의 주행속도가 30kph 이상인 경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0)는 에어백 콘트롤러(400)로 구동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에어백 콘트롤러(400)는 에어백(500)을 작동시키게 된다. 또한, 차량의 정면 충돌시 충돌속도 감지센서(100)로부터 감지되어 신호변환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입력되는 차량의 상대속도가 30kph 이상인 경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0)는 에어백 콘트롤러(400)로 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에어백 콘트롤러(400)는 에어백(500)을 작동시키게 된다.
이에 반해 상기 에어백 센서(40)에 의하여 차량의 충돌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신호변환 인터페이스(200)로부터 입력되는 충돌차량의 상대속도와, 상기 차속센서(190)로부터 입력되는 차량의 주행속도가 모두 30kph 이하인 경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00)는 에어백 콘트롤러(400)에 구동신호를 출력시키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에어백(500)은 작동하지 않는 것이다.
제4도는 제3도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실시 흐름도로서, 차량이 충돌하였는가를 판단하는 충돌감지 단계(310)와, 상기 단계(310)에서 충돌이 감지되었으면 상대차속이 30kph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단계(320)와, 상기 단계(320)에서 상대속도가 30kph 이하이면 실차속도가 30kph이상인가를 판단하는 단계(330)와, 상기 단계(320)와 단계(330)에서 상대속도 또는 실차속도가 30kph 이상이면 에어백(500)을 작동시키는 단계(3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장치를 장착한 에어백 차량으로 아파트내(內)를 주행중 노면에 설치된 범프에 의해 에어백이 터지던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좀더 효과적이로 높은 신뢰도로 서 고객서비스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는 에어백 센서와 ; 차량의 주행속도를 감지하는 차속센서와; 차량의 전방 충돌시 충돌 차량의 상대속도를 감지하는 충돌속도 감지센서와 :
    상기 충돌속도 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입력받고 신호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변환 인터페이스와; 상기 에어백 센서, 차속센서 및 신호변환 인터페이스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신호를 입력받고, 차량 충돌시의 상대속도와 주행속도 중 어느 하나라도 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구동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부터 출력되는 구동신호를 입력받아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에어백 콘트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오작동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속도 감지센서는, 차체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푸시로드와, 상기 푸시로드가 일정 힘으로 홀딩되도록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스토퍼와, 상기 커버의 내측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차량 충돌시의 상대속도에 따라 차례로 스위칭되는 제1,2스위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업개 오작동 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에는 상기 제1스위치부 및 제2스위치부와 전기 접점을 하는 스위치 감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오작동 방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는, 상기 에어백 센서에 의하여 차량의 충돌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차속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차량의 주행속도가 30kph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에어백 콘트롤러로 구동신호를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오작동 방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는, 상기 에어백 센서에 의하여 차량의 충돌이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신호변환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되는 충돌 차량의 상대속도와, 상기 차속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주행속도가 모두 30kph 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상기 에어백 콘트롤러로 구동신호를 출력시키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오작동 방지장치.
KR2019930025021U 1993-11-25 1993-11-25 에어백 오작동 방지장치 KR2001467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5021U KR200146788Y1 (ko) 1993-11-25 1993-11-25 에어백 오작동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5021U KR200146788Y1 (ko) 1993-11-25 1993-11-25 에어백 오작동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999U KR950013999U (ko) 1995-06-16
KR200146788Y1 true KR200146788Y1 (ko) 1999-06-15

Family

ID=19368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5021U KR200146788Y1 (ko) 1993-11-25 1993-11-25 에어백 오작동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7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2024B2 (en) 2009-11-02 2012-05-08 Hyundai Motor Company Airbag control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2024B2 (en) 2009-11-02 2012-05-08 Hyundai Motor Company Airbag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999U (ko) 199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0300B2 (ja) 車両用衝突判定装置
JP3756951B2 (ja) 安全アレンジメント
US6438475B1 (en) Crash detection system
US7881865B2 (en) Collision determination system for vehicle
JPH1044925A (ja) 車両の搭乗者を保護する装置を起動する方法
JPH1081198A (ja) 車両の搭乗者を保護する装置を起動する装置
JPH04361163A (ja) 車両衝突検知装置
JP2006525913A (ja) 車両乗員のためのセーフティシステム
EP0669228B1 (en) Method for activating an occupant restraint in a vehicle
KR200146788Y1 (ko) 에어백 오작동 방지장치
JP2001138856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0154032B1 (ko) 자동차 변형속도에 따른 에어백 구동장치 및 그 방법
KR102227219B1 (ko) 에어백 전개를 위한 스몰 오버랩 충돌 판단 방법
KR960003308B1 (ko) 차량의 에어백 구동용 충격방향 판별방법
KR20080008107A (ko) 에어백 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0362098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작동을 위한 충돌판별 방법
KR100227908B1 (ko) 상하 충격에 의한 에어백 오동작 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100199572B1 (ko) 에어백 전개 시스템
KR100381251B1 (ko) 자동차용 에어백의 충돌감지센서
KR101028368B1 (ko) 에어백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501364B1 (ko) 자동차의 전복 감지장치 및 방법
KR100437245B1 (ko) 자동차 정면 에어백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H0958407A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の衝撃感知センサ配置構造
KR19990031331U (ko) 리어부 충돌시 충격량 감소 장치
KR19980040137A (ko) 에어백의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