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6724Y1 - 전선묶음 밴드 - Google Patents

전선묶음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6724Y1
KR200146724Y1 KR2019950031802U KR19950031802U KR200146724Y1 KR 200146724 Y1 KR200146724 Y1 KR 200146724Y1 KR 2019950031802 U KR2019950031802 U KR 2019950031802U KR 19950031802 U KR19950031802 U KR 19950031802U KR 200146724 Y1 KR200146724 Y1 KR 2001467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wires
insertion fixing
groov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18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0229U (ko
Inventor
한금숙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500318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724Y1/ko
Publication of KR9700202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02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7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7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4Hangers in the form of bands or chai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Insertion, Bundling And Securing Of Wires For Electric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선(16)을 묶어 정리하는 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제품의 내부에 복잡하게 연결된 다수의 전선들을 하나로 묶어 간결하게 정리하도록 한 전선 묶음 밴드(10)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본체에 오목하게 형성된 설치요홈(25)에 결합 고정되어 전기제품의 내부에 복잡하게 배선된 다수의 전선들을 하나로 묶어 정리하는 밴드에 있어서, 길이가 긴 판상의 밴드 일측부를 오목하게 절곡시켜 상기 설치요홈에 삽입 고정시키는 삽입고정부(24)와, 상기 전선을 감은 상태의 밴드 내측면에 일정간격 다수개 형성되어 묶어지는 전선의 굵기에 따라 선택하여 상기 삽입고정부에 결합시키는 위치결정돌기(2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위치결정돌기의 분리가 간편함과 동시에 삽입된 위치결정돌기 및 삽입고정부가 쉽게 빠지지 않은 반면 분리시에는 위치결정돌기부터 분리시키면 쉽게 분리되어지므로 종래에서와 같이 분리가 용이치 못하여 밴드를 절단하여 묶음된 전선을 풀어야 하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선 묶음 밴드
제1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선 묶음 밴드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제2조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선 묶음 밴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 묶음 밴드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 묶음 밴드가 본체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본체 15 : 고정홈
16 : 전선 20 : 전선 묶음 밴드
22 : 위치결정돌기 221 : 단턱
24 : 삽입고정부 242 : 걸림돌기
243 : 걸림턱 25 : 설치요홈
27 : 걸림홈
본 고안은 전선을 묶어 정리하는 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제품의 내부에 복잡하게 연결된 다수의 전선들을 하나로 묶어 간결하게 정리하도록 한 전선 묶음 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전자제품의 내부에는 각 장치나 회로를 연결시키기 위한 다수의 전선들이 연결되어 있으며, 복잡한 구조의 제품일 경우에는 더욱더 많은 전선들이 배선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품의 내부에 많은 전선들이 복잡하게 널려있게 되면 외관상 좋지 않을 뿐아니라 내부수리시 각 전선의 연결관계를 파악하기 어려워지고, 또한 각 전선들과의 접촉에 의해 간섭을 받아 접속불량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내부를 단조롭게 전선을 정리하여 묶어 둘 수 있도록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선 묶음 밴드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2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전선 묶음 밴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길이가 긴 판상의 밴드(10) 일측단에 밴드(10)의 타단이 삽입될수 있도록 절결된 삽입구멍(11)을 형성하고, 상기 밴드(10)에는 정리되는 전선의 묶음 정도에 맞게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다수의 위치결정구멍(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구멍(11)의 일측에는 위치결정구멍(12)을 고정하는 스토퍼(111)가 형성되어 있고, 밴드(10)의 하측면에는 본체(14)에 형성된 고정홈(15)에 삽입되어 전선(16)을 묶은 밴드(1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돌기(1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한 사용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기제품의 내부에 복잡하게 배선된 전선(16)들을 정리하여 이들을 밴드(10)로 감은 후 상기 밴드(10)의 삽입구멍(11)에 밴드(10)의 타단을 삽입시켜 전선(16)들을 조인다. 상기 전선(16)들이 조여지게 되면 삽입구멍(11)에 형성된 스토퍼(111)가 위치결정구멍(12)에 삽입되어 조여진 밴드(10)가 다시 풀어지지 않도록 유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전선(16)이 묶어지면 밴드(1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돌기(13)를 본체(14)에 형성된 설치홈에 삽입하여 묶어진 전선(16)들이 유동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밴드(10)는 삽입구멍(11)에 형성된 스토퍼(111)가 위치결정구멍(12)에 들어가 잘 빠지지 않게 되므로 만약 제품의 수리를 위해 다시 묶어진 전선(16)을 풀어야 할 경우에는 이를 풀기가 아주까다로워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대부분 밴드(10)를 절단하여 풀었으며, 때문에 수리후 다시 풀어진 전선(16)을 다시 묶을때는 새 밴드(10)를 사용하여 묶어야 하는 불합리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밴드의 구조를 개선하여 전선(16)을 간단하면서 견고하게 묶어 정리할 수 있도록 하고, 내부수리를 위해 분리시에는 절단시키지 않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분리 되도록 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단은, 본체에 오목하게 형성된 설치요홈에 결합 고정되어 전기제품의 내부에 복잡하게 배선된 다수의 전선들을 하나로 묶어 정리하는 밴드에 있어서, 길이가 긴 판상의 밴드 일측부를 오목하게 절곡시켜 상기 설치요홈에 삽입 고정시키는 삽입고정부와, 상기 전선을 감은 상태의 밴드 내측면에 일정간격 다수개 형성되어 묶어지는 전선의 굵기에 따라 선택하여 상기 삽입고정부에 결합시키는 위치결정돌기로 이루어진 전선 묶음 밴드를 구비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고정부의 양측에 돌출형성된 걸림돌기와, 상기 삽입고정부가 삽입되는 본체의 설치요홈의 내부 양측면에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되는 걸림홈이 구비되어 삽입고정부의 삽입시 걸림돌기가 걸림홈에 삽입되게하여 설치요홈에 삽입된 삽입고정부가 설치요홈으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위치결정돌기는 삽입홈에 삽입시 상부로 빠지지 않도록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고정부의 내측 상단부에도 상기 위치결정돌기의 삽입시 삽입된 위치결정돌기가 이탈되지 못하도록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 묶음 밴드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선 묶음 밴드가 본체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상시한 도면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선 묶음 밴드(20)는 일측부에 오목한 구조로 절곡시켜 본체(14)에 형성된 설치홈에 삽입되는 삽입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밴드를 한번 감은 상태에서의 타측부 내측면에 다수의 위치결정돌기(22)가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위치결정돌기(22)는 상부로 단턱(2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고정부(24)의 내측면의 상단은 상기 위치결정돌기(22)의 삽입시 빠지지 않도록 걸림턱(24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삽입고정부(24)의 양측면에는 외향되게 돌출된 걸림돌기(2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4)에 형성된 설치홈의 내부 양측면에는 상기 삽입고정부(24)의 걸림돌기(242)와 대응되는 걸림홈(27)이 형성되어 있다.
상시와 같은 구조로된 본 고안의 사용관계와 그에 따른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기제품의 내부에 무질서하게 연결되어 널려진 전선(16)을 간추려 정리한 다음 이를 도면 제4도에서와 같이 밴드로 감는다. 감아진 전선 묶음 밴드(20)의 내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위치결정돌기(22)중 전선(16)을 묶기에 가장 적당한 위치에 있는 위치결정돌기(22)를 선택한 후 이를 삽입고정부(24)의 내부로 삽입시킨다. 그런다음 위치결정돌기(22)가 삽입된 삽입고정부(24)를 본체(14)의 설치요홈(25)에 억지끼움하여 전선(16)을 묶음 전선 묶음 밴드(20)를 본체(14)에 고정시키거나, 먼저 전선 묶음 밴드(20)의 삽입고정부(24)를 본체(14)의 설치요홈(25)에 삽입시킨후, 전선(16)을 간추려 정리하여 이에 밴드를 감은 다음 그 굵기에 적당한 길이의 위치의 위치결정돌기(22)를 상기 삽입고정부(24)의 상부에서 눌러 삽입시키는 순서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조립되는 전선 묶음 밴드(20)는 상기한 위치결정돌기(22)가 삽입고정부(24)의 내부로 삽입시 상기 위치결정돌기(22)의 단턱(221)부가 삽입고정부(24)의 걸림턱(243)부에 걸림되어 쉽게 빠지지 않게 되며, 이 상태에서 본체(14)의 설치요홈(25)에 삽입시키게 되면 상기 삽입고정부(24)는 설치요홈(25)에 의해 외측면이 지지 받아 벌어짐이 방지되기 때문에 더욱더 걸림돌기(242)가 삽입고정부(24)로 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고정부(24)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돌기(242)가 상기 설치요홈(25)의 내부양측에 형성된 걸림홈(27)에 대응 삽입되어 걸림되므로 상기 삽입고정부(24) 또한 본체(14)로 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전선(16)을 묶어 정리한 상태에서 제품의 수리를 위해 다시 전선 묶음 밴드(20)를 풀어야 할 경우에는 전선 묶음 밴드(20)의 끝단을 손으로 잡고 이를 상부로 힘을 가하여 들어올리게 되면 위치결정돌기(22)의 단턱(221)부가 탄성수축하여 삽입고정부(24)의 걸림턱(243)부를 빠져나오게 되므로 전선 묶음 밴드(20)에 묶인 전선(16)을 풀수 있게 되며, 전선 묶음 밴드(20)를 본체(14)로 부터 완전히 분리시킬 때에는 상기 삽입고정부(24)가 위치결정돌기(22)가 이탈된 공백부로 수축이 가능하기 때문에 걸림홈(27)으로 부터 걸림돌기(242)가 쉽게 분리되게 되고, 이로 인해 본체(14)의 설치요홈(25)으로 부터 쉽게 이탈 시킬수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시시 전선의 굵기에 따라 선택된 위치결정돌기를 동일 전선 묶음 밴드의 타측부에 절곡형성된 삽입고정부의 상부로 눌러 삽입시키고, 이를 다시 본체의 설치요홈에 삽입시켜 고정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정 및 분리가 간편함과 동시에 삽입된 위치결정돌기 및 삽입고정부가 쉽게 빠지지 않은 반면 분리시에는 위치결정돌기부터 분리시키면 쉽게 분리되어지므로 종래에서와 같이 분리가 용이치 못하여 밴드를 절단하여 묶음된 전선을 풀어야 하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작업성이 향상되고, 또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전선 묶음 밴드 일측부를 오목하게 절곡시켜 설치요홈(25)에 삽입 고정시키는 삽입고정부(24)에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전선 묶음 밴드 내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위치결정돌기(22)가 형성되어 다수의 전선들이 하나로 묶여 정리되도록 전선의 굵기에 따라 선택하여 결합 고정시키도록 된 전선 묶음 밴드에 있어서, 상기 삽입고정부(24)의 양측에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돌기(242)와, 상기 삽입고정부(24)가 삽입되는 본체의 설치요홈(25)의 내부 양측면에 상기 걸림돌기(242)와 대응되는 걸림홈(27)이 구비되어 삽입고정부(24)의 삽입시 걸림돌기(242)가 걸림홈(27)에 삽입되게하여 설치요홈(25)에 삽입된 삽입고정부(24)가 설치요홈(25)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묶음 밴드.
KR2019950031802U 1995-10-31 1995-10-31 전선묶음 밴드 KR2001467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1802U KR200146724Y1 (ko) 1995-10-31 1995-10-31 전선묶음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1802U KR200146724Y1 (ko) 1995-10-31 1995-10-31 전선묶음 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229U KR970020229U (ko) 1997-05-26
KR200146724Y1 true KR200146724Y1 (ko) 1999-06-15

Family

ID=19427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1802U KR200146724Y1 (ko) 1995-10-31 1995-10-31 전선묶음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7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723B1 (ko) 2011-11-25 2013-03-11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케이블타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723B1 (ko) 2011-11-25 2013-03-11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케이블타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229U (ko) 199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19682B2 (ja) 予め曲げたストラップを備える低プロフィールケーブルタイ
US6578239B2 (en) Low profile latchable tie
JPH0478842B2 (ko)
FI63284B (fi) Spaennband
JPH01501269A (ja) 電気コネクタ装置及び方法
KR200146724Y1 (ko) 전선묶음 밴드
CA1274493A (en) Bundling band
EP0134742B1 (fr) Dispositif de connexion pour faisceau de fils électriques, et procédé de réalisation
EP1615838B1 (en) Device in a bundle tie
US4892979A (en) Multi-piece insulating bushing and method of securing an electrical conductor thereto
KR100233875B1 (ko) 케이블의 이탈방지장치
KR200420687Y1 (ko) 재사용이 가능한 케이블타이
KR0131265Y1 (ko) 트윈 전선결속밴드
JPH0338811Y2 (ko)
KR200413714Y1 (ko) 밴드케이블
JP3051491B2 (ja) 絶縁電線端末の引留方法
JPH0528788Y2 (ko)
JPS6084910A (ja) 耐張碍子用の電線引止めクランプ
KR0140721Y1 (ko) 와이어 결속장치
KR890006939Y1 (ko) 전원 코드 고정장치
KR940003296Y1 (ko) Crt 소켓의 고압케이블 결속장치
KR100199488B1 (ko) 밴드 케이블
JP3544702B2 (ja) 電線束固定機構
KR20070056349A (ko) 전선 연결용 콘넥터
KR200157156Y1 (ko) 포장용 밴드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