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721Y1 - 와이어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721Y1
KR0140721Y1 KR2019960000957U KR19960000957U KR0140721Y1 KR 0140721 Y1 KR0140721 Y1 KR 0140721Y1 KR 2019960000957 U KR2019960000957 U KR 2019960000957U KR 19960000957 U KR19960000957 U KR 19960000957U KR 0140721 Y1 KR0140721 Y1 KR 01407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wire
fastening
fastene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09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0382U (ko
Inventor
최인술
Original Assignee
최인술
동진화학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인술, 동진화학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인술
Priority to KR20199600009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721Y1/ko
Publication of KR9700503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03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7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7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4Installation of lines or cables on walls, ceilings or floors by means of insul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수개의 와이어를 묶는 와이어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 결속장치는 중심부에 성형된 복수개의 체결구멍을 구비하는 밴드와, 와이어를 묶은 상태에서 상기 밴드를 일정위치에서 체결,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는 양측으로 개구된 밴드수납부와, 밴드의 체결구멍의 대응면에 맞닿아 역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면의 일부를 절개하여 그 단부를 하단으로 탄성적으로 밴딩시킨 스토퍼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와이어 결속장치
제1도는 종래의 결속장치를 보인 것으로,
a도는 결속전의 사시도.
b도는 결속후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결속장치를 보인 것으로,
a도는 결속장치의 사시도.
b도는 체결구의 정면도.
c도는 체결구의 작동을 보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결속장치의 작동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밴드 10 : 체결구
20 : 밴드 22 : 체결구멍
30 : 체결구 32 : 밴드수납부
34 : 스토퍼
본 고안은 와이어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러개의 와이어를 간단한 고정으로 결속할 수 있는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먼저 제1도를 참조하면서 종래의 결속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결속장치는 단순히 띠형상의 결속밴드(1)와 상기 결속밴드(1)의 양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10)로 구성된다.
밴드(1)는 전체적으로 단순히 띠형상의 것으로, 금속재로 성형된다. 그리고 와이어의 피복이 벗겨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금속재 위에 합성수지재의 코팅을 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체결구(10)는 양쪽 단부가 개구된 관체상의 밴드수납부(12)를 구비하고 있으며, 양측벽에서 상부로 직립한 한쌍의 체결편(1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결속장치의 사용시에는, 원하는 양의 와이어를 결속하기 위한 밴드(1)의 일단부(3)를 밴드수납부(12) 속에 수납한 상태에서 하방으로 밴딩시켜 임의로 해체되지 아니하도록 한다. 그리고 밴드(10)의 타단부(5)는 와이어를 묶은 상태에서 다시 상기 밴드수납부(12) 속으로 삽입시킨 후에, 상방으로, 즉 밴드의 역방향으로 밴딩시켜서 체결편(14) 속으로 위치케 한다. 다음에 체결편(14)을 내측으로 눌러 밴딩시킴으로써 그 사이에 위치하는 밴드(1)의 타단부(5)의 상단을 고정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와이어 결속과정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사용상의 불편함이 제기된다.
와이어를 결속하기 위한 밴드(1)의 타단부(5)를 절곡시킨 후에, 다시 체결편(14)을 내측으로 절곡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의 공정수가 많아진다. 이렇게 공정수가 많아지는 것은 생산성의 측면에서 여러가지 불리한 점을 가지게 되는 단점이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와이어 밴드(1)와 체결구(10)가 통상 금속재로 만들어지는 점을 고려하면 상기와 같은 공정을 단순히 수작업으로 행하는 것은 생산성의 면에서 상당히 불리한 요소로 제기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체결구속으로 간단하게 밴드를 삽입하는 공정만으로도 밴드가 와이어를 결속한 상태에서 체결되는 와이어 결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결속장치는, 중심부에 성형된 복수개의 체결구멍을 구비하는 밴드와, 와이어를 묶은 상태에서 상기 밴드를 일정위치에서 체결,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로 구성되고, 상기 체결구는 양측으로 개구된 밴드수납부와, 밴드의 체결구멍의 대응면에 맞닿아 역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면의 일부를 절개하여 그 단부를 하단으로 탄성적으로 밴딩시켜 스토퍼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결속장치에 의하면, 와이어의 결속시 상기 밴드의 일단을 체결구에 고정하고, 와이어를 묶은 상태에서 밴드의 타단부를 상기 체결구속으로 단순하게 삽입시키는 것에 의하여 와이어는 단단하게 결속되어 임의의 해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결속장치는, 복수개의 체결구멍(20)이 일렬로 형성된 띠형상의 밴드(20)와, 상기 밴드의 양단부를 수납한 상태에서 체결할 수 있는 체결구(30)로 구성된다.
상기 밴드(20)는 와이어를 결속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 금속재로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체결구멍(20)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결속되는 와이어(도시없음)의 피복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재 상에 합성수지재의 코팅을 할 수도 있다.
다음에는 체결구(3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체결구(30)는 상기 밴드(20)의 양단부를 체결, 고정함으로써 밴드(20)를 이용하여 와이어를 단단하게 결속하는 것이며, 통상 밴드(20)와 동일한 재질인 금속재로 형성된다.
체결구(30)는, 양단부가 개구된 관체형상으로 중심부분에 밴드(20)를 수납하는 밴드수납부(32)와, 상기 밴드수납부(32)에 수납된 밴드를 체결고정하는 스토퍼(34)를 구비한다. 상기 스토퍼(34)는 일방향으로 수납된 밴드(20)가 그 역방향으로 임의로 해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체결구(30)의 상면의 일부를 절개하고, 그 단부를 체결구(30)의 내측으로 탄성적으로 밴딩시킨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별도의 스토퍼를 체결구에 부착하는 구조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체결구(30)의 스토퍼(34)는, 제2도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구(30)의 내측에 일방향으로 삽입되는 밴드(20)의 역방향 이탈을 막기 위한 것으로, 스토퍼(34)의 단부는, 밴드(20)의 체결구멍(22)의 대응면(22a)과 맞닿아 밴드가 삽입방향으로는 빠지지 않도록 한다. 즉 본 고안에 의한 스토퍼(34)의 구조에 의하면, 밴드(20)는 일방향으로는 삽입이 가능하지만, 일단 삽입되면 역방향으로는 절대 빠지지 않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다음에 상기 체결구멍(22)과 스토퍼(34)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밴드의 체결구멍(22)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34)도 직사각형의 단부를 가지고 있어서, 상기 스토퍼(34)의 단부가 직사각형의 체결구멍(22)내에서 일면과 걸려서 밴드가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서, 상기 체결구멍을 타원형상으로 하는 경우, 상기 스토퍼는 반타원형으로 하여, 상기 체결구멍에 걸려서 반대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체결구멍과 스토퍼와의 관계에 있어서는 스토퍼가 상기 체결구멍의 일측에 걸려서 역방향으로의 임의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충분하게 가능할 것이다.
다음에는 제3도를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의한 결속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밴드(20)의 일단부(23)를 체결구(30)의 밴드수납부(32) 속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를 밴딩시켜 길이 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타단부(25)는 와이어를 감싼 상태에서 체결구(30)의 밴드수납부(32) 속으로 결속되는 와이어가 단단하게 결속될 때까지 삽입시킨다. 이 때 삽입되는 밴드는, 그 중심부의 길이방향의 체결구멍(22)이 상기 스토퍼에 의하여 역방향으로의 해체가 방지되기 때문에 충분하게 삽입시키는 과정만으로 와이어는 단단하게 결속되고, 밴드는 역방향으로 해체되지 아니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에 체결구의 밴드수납부 속으로 밴드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밴드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밴드 및 체결편을 밴딩시키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의 결속공정이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되어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잇점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종래의 체결구에 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체결구의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의 면에서도 유리한 면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Claims (1)

  1. 길이방향의 복수개의 체결구멍을 구비하는 밴드와; 양측으로 개구된 밴드수납부와, 밴드의 체결구멍의 대응면에 맞닿아 역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면의 일부를 절개하여 그 단부를 하단으로 탄성적으로 밴딩시킨 스토퍼를 구비하는 체결구; 로 구성되는 와이어 결속장치.
KR2019960000957U 1996-01-24 1996-01-24 와이어 결속장치 KR01407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0957U KR0140721Y1 (ko) 1996-01-24 1996-01-24 와이어 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0957U KR0140721Y1 (ko) 1996-01-24 1996-01-24 와이어 결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0382U KR970050382U (ko) 1997-08-12
KR0140721Y1 true KR0140721Y1 (ko) 1999-05-15

Family

ID=19449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0957U KR0140721Y1 (ko) 1996-01-24 1996-01-24 와이어 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72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0382U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70149A1 (en) Cord Keeper strap
JP2980587B1 (ja) 固定具
WO1996000176A1 (en) Tie strips
JPH09104466A (ja) 結束具
JPS59137611A (ja) クランプ
FI63284C (fi) Spaennband
JPH10229283A (ja) 電線束線固定構造
EP0884738B1 (en) Assembly device for a wiring harness
JPH0629524Y2 (ja) 結束バンド
KR0140721Y1 (ko) 와이어 결속장치
JPH0735269A (ja) 結束バンド
US3100922A (en) Unitary sheet metal tie-clip
US5279335A (en) Device for assembling a plurality of harness cords
KR100219085B1 (ko) 와이어링 묶음 띠
JPS633444Y2 (ko)
KR200211367Y1 (ko) 타이 랩
JPS6133342Y2 (ko)
JP2000118554A (ja) 結束具
JP2601077Y2 (ja) 線材等の結束具
JPH0240370Y2 (ko)
KR0131265Y1 (ko) 트윈 전선결속밴드
JPH0893723A (ja) ベルトクランプ
JPS59545Y2 (ja) 管状、線状物の結締具
KR100710584B1 (ko) 신속한 결착 및 해지가 용이한 밴드케이블
KR890006939Y1 (ko) 전원 코드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